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1446 추천 수 0
◎ 癰疽五發證 ○ 發腦發?發眉發?發背是爲五發至險其證皆令人頭痛惡心寒熱氣急拘攣宜五香散五香湯[直指] ○ 正腦上一處起爲腦癰及腦疽腦??在大#骨上入髮際生 ○ 腦癰皮起易得破穴急破出膿不害 ○ 腦疽皮厚難得破穴須急發內毒使破穴方可 ○ 腦?初起如橫木色靑黑如靴皮大硬不見膿難愈 ○ 左右?生癰疽是爲?發亦危篤左右額角及太陽穴生皆同 ○ 左右眉稜發爲發眉亦重 ○ 鼻下人中及下?發爲發?亦曰發?亦害人 ○ 背後五藏兪分生癰疽是爲發背最重[涓子] ○ 究其病源有風有氣有食有藥毒有勞損(卽房勞)風則多痒氣則多痛食則發寒熱藥毒則堅硬勞損則瘦弱風氣食三種易療宜二香散藥毒勞損二者難醫[直指] ○ 外因四氣宜服黃甘散連翹散毒散蒼朮復煎散(方見風門) ○ 內因七情宜遠志酒獨勝散 ○ 不內外因藥毒房勞宜國老膏槐花酒 ○ 金石藥毒之發則堅硬如石不痛宜甘豆湯(方見解毒)蠟礬元 ○ 虛勞瘦弱榮衛否澁患處重着如負石不可用香燥疎泄之藥宜腎氣丸(方見虛勞)托裏散(方見上)[丹心] ○ 五發證?腫作痛煩渴引冷宜黃連消毒散(方見上)當歸羌活湯淸熱消毒飮(方見上) ○ 若腫痛口渴好飮熱湯爲腎虛陽火熾宜托裏消毒散(方見上)托裏益氣湯腎氣丸 ○ 若色?不潰不斂爲陰精消?名腦?不治 ○ 發?因怒火宜柴胡淸肝湯鬱怒者十六味流氣飮(方見下)甚者仙方活命飮(方見上)[入門] ○ 發?最險毒氣灌注頭面腫大可畏牙齒亦脫疽內疎黃連湯千金漏蘆湯(二方見上)[入門] ○ 通用玄靈散[活心]

☞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 발뇌(發腦), 발빈(發?), 발미(發眉), 발이(發?), 발배(發背)를 5발이라고 하는데 대단히 위험하다. 그 증상은 머리가 아프고 메스꺼우며 오한이 나고 열이 나며 숨결이 가쁘고 가드라들며 켕긴다[拘攣]. 이런 때에는 오향산(五香散)이나 오향탕(五香湯)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 뒤통수에 생기는 것이 바로 뇌옹(腦癰)이거나 뇌저(腦疽), 뇌삭(腦?)인데 대추골(大椎骨) 위의 털이 난 경계에 생긴다. ○ 뇌옹 때에는 피부가 들뜨므로 째기 쉽다. 그러므로 빨리 째서 고름을 빼내면 해를 입지 않는다. ○ 뇌저 때에는 피부가 두꺼워져서 째기 힘들기 때문에 빨리 속에 있는 독을 겉으로 몰리게 해서 자리잡은 다음에 째는 것이 좋다. ○ 뇌삭이 처음 생길 때에는 가름대나무[橫木]처럼 단단하고 빛이 검푸르며 신가죽같이 몹시 굳으면서 고름은 없는데 치료하기 힘들다. ○ 양쪽 귀 앞의 털이 난 경계에 생긴 옹저를 빈발(?發)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위중하다. 양쪽 이마 모서리와 태양혈(太陽穴) 부위에 생긴 것도 다 같다. ○ 양쪽 눈썹 밑에 생긴 것을 발미(發眉)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위중하다. ○ 코 아래의 인중 부위와 아래턱에 생긴 것을 발이(發?)라고 하는데 일명 발자(發?)라고도 한다. 이것 역시 위험한 것이다. ○ 잔등의 오장수혈(五藏兪穴) 부위에 생긴 옹저를 발배(發背)라고 하는데 제일 위중하다[연자]. ○ 병의 원인은 풍(風)과 기(氣)이다. 그리고 음식으로나 약독으로 생기는 것도 있으며 노손(勞損, 즉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생긴 것)으로 생긴 것도 있다. 풍으로 생겼으면 몹시 가렵고 기로 생겼으면 몹시 아프며 음식으로 생겼으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 그리고 약독(藥毒)으로 생겼으면 단단하고 노손으로 생겼으면 여위고 약해진다. 풍, 기, 음식 3가지 원인으로 생긴 것은 치료하기 쉬운데 이런 데는 이향산을 쓰는 것이 좋다. 약독과 노손 이 2가지 원인으로 생긴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 외인(外因) 4가지 사기가 원인이 되어 생긴 5발(五發)에는 황감산, 연교패독산,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내인(內因) 7정으로 생긴 5발에는 원지술[遠志酒]이나 독승산을 쓰는 것이 좋다. ○ 내인(內因)도 아니고 외인도 아닌 약독이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생긴 5발에는 국로고나 괴화술을 쓰는 것이 좋다. ○ 광물성 약독으로 생긴 것은 돌같이 단단하기만 하고 아프지는 않다. 이런 데는 감두탕(甘豆湯, 처방은 해독문에 있다)이나 납반원(蠟礬元)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허로(虛勞)로 여위고 쇠약하여 영위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픈 곳이 돌을 졌을 때처럼 무거운 데는 맛이 향기롭고 성질이 건조하며 발산시키는 작용이 있는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이런 데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탁리산(托裏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 5발증으로 화끈화끈 열나고 부으며 아프고, 갈증이 나서 물을 켜는 데는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처방은 위에 있다), 당귀강활탕(當歸羌姜活湯),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붓고 아프며 갈증이 나면서도 뜨거운 물을 좋아하는 것은 신(腎)이 허(虛)하여 양화(陽火)가 성한 것이므로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처방은 위에 있다),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신기환(腎氣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빛이 어둡고 터지지도 않고[不潰] 아물지도 않는 것은 음정(陰精)이 줄어든 것인데 이것을 뇌삭(腦?)이라고 한다. 치료하기도 어렵다. ○ 발빈이 성을 내서 생긴 화가 원인이 되어 생겼을 때에는 시호청간탕을 쓰는 것이 좋으며 노기가 몰려서 생긴 데는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은데 심하면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턱에 생긴 것이 제일 위험하다. 이때에 독기가 머리와 얼굴로 퍼지면 몹시 붓고 위태로운데 이빨까지도 빠진다. 이런 데는 내소황련탕이나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이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현령산도 두루 쓴다[활심]. 

? 五香散 ○ 治陰陽之氣鬱結不消結核腫痛或似癰癤使人寒熱頭痛木香丁香沈香乳香麝香各等分爲#末每取三錢水煎服 ○ 一方無麝香有藿香[局方]
☞ 오향산(五香散) ○ 음양의 기운이 몰린 것이 풀리지 않아 멍울이 생겨 붓고 아프며 혹 옹저와 절저(癤疽) 때처럼 오한과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목향, 정향, 침향, 유향, 사향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는다. ○ 다른 어떤 처방에는 사향이 없고 곽향이 있다[국방]. 

? 五香湯 ○ 凡癰疽因血凝氣滯而生氣血聞香則行故宜用此透達經絡木香沈香丁香乳香麝香甘草各五分人參黃?犀角屑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或爲末點服[綱目]
☞ 오향탕(五香湯) ○ 대체로 옹저는 혈이 엉키고 기가 머물러 있어서 생긴다. 그런데 기와 혈은 향기를 만나면 잘 돌기 때문에 이 약을 써서 경락을 통하게 해야 한다. ○ 목향, 침향, 정향, 유향, 사향, 감초 각각 2g, 인삼, 황기, 서각(가루)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물에 타 먹는다[강목]. 

? 二香散 ○ 治癰疽因風氣食三證而生通用此調暢胃氣益智仁縮砂仁各三錢木香藿香白豆?白茯?半夏麴厚朴陳皮蒼朮甘草各一錢半丁香七分半右爲#末每服三錢薑五片棗二枚同水煎服[直指]
☞ 이향산(二香散) ○ 옹저는 풍(風), 기(氣), 음식 이 3가지 원인으로 생기는데 이런 때에는 이 약을 써서 위(胃)의 기운을 고르게 해야 한다. ○ 익지인, 사인 각각 12g, 목향, 곽향, 백두구, 백복령, 반하국, 후박, 陳皮, 창출, 감초 각각 6g, 정향 3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 黃甘散 ○ 治外因四氣生癰疽大黃半生半熟甘草節各等分右爲末每二錢空心酒調服以利爲度[丹心]
☞ 황감산(黃甘散) ○ 외인 4가지 사기로 생긴 옹저를 치료한다. ○ 대황(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은 것), 감초(마디)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술에 타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단심]. 

? 連翹敗毒散 ○ 治癰疽初發憎寒壯熱甚者頭痛拘急狀似傷寒四五日前二三服輕者自消若不消宜服仙方活命飮羌活獨活柴胡前胡桔梗川芎赤茯?金銀花枳殼連翹防風荊芥薄荷甘草各七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醫鑑]
☞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가 생길 때 오한과 열이 나다가 심해져서 머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가드라드는 것[拘急]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것을 치료한다. 4-5일에 2-3번 먹으면 경(輕)한 것은 저절로 삭는다. 만일 삭지 않으면 선방활명음을 쓰는 것이 좋다. ○ 강활, 독활, 시호, 전호, 길경, 천궁, 적복령, 금은화, 지각, 연교, 방풍, 형개, 박하,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遠志酒 ○ 治七情內鬱成癰疽遠志?浸去心爲末溫酒一盞調末三錢澄淸取飮以滓傳患處 ○ 有死血陰毒在中則不痛而傳此卽痛 ○ 有七情內鬱則痛不可忍而傳此卽不痛 ○ 或蘊熱內蓄則手不可近傳此必淸凉[三因]
☞ 원지술[遠志酒] ○ 7정(七情)으로 기가 속에 울결되어 생긴 옹저를 치료한다. ○ 원지. ○ 위의 약을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쓰는데 가라앉혀서 윗물만 마시고 찌꺼기는 헌데에 붙인다. ○ 궂은 피[死血]가 음독(陰毒)㈜ 속에 있어서 아프지 않다가도 이것을 붙이면 금방 아프다. [註] 음독(陰毒): 음독은 저이고 양독은 옹이다. ○ 7정으로 기가 속에 울결되어 참을 수 없이 아프다가도 이것을 붙이면 곧 아픔이 멎는다. 혹 속에 열이 몰리면 손도 가까이 대지 못하게 하다가도 이것을 붙이면 반드시 시원하다고 한다[삼인]. 

? 獨勝散 ○ 治癰疽結硬聚毒作痛盖此疾多因怒氣得之宜服此香附子杵去皮毛?薑汁浸一宿?乾爲末每二錢白湯調下或甘草紫蘇葉煎湯調下數服腫硬自消有膿卽出[精要]
☞ 독승산(獨勝散) ○ 성을 몹시 내서 생긴 옹저가 뭉쳐서 단단해지고 독기가 몰려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향부자. ○ 위의 약을 절구에 짓찧어 껍질과 털뿌리를 없앤 다음 생강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혹은 감초와 자소엽을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좋은데 몇 번 먹으면 단단하게 부었던 것이 저절로 삭고 고름이 있으면 곧 나온다[정요]. 

? 國老膏 ○ 治癰疽能消腫逐毒使不內攻大甘草二斤槌碎河水浸一宿?令漿汁濃盡去筋滓用絹濾過以銀石器慢火熬成膏分六次溫酒或白湯調下能疎導惡毒[綱目]
☞ 국로고(國老膏) ○ 옹저를 치료하는데 부은 것을 삭게 하고 독을 몰아내서 속으로 퍼지지 못하게 한다. ○ 감초(굵은 것) 1,200g. ○ 위의 약을 부스러뜨려서 강물에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주물러서 물을 다 빼낸다. 다음 심과 찌꺼기를 버리고 천에 밭아서 은이나 돌그릇에 넣고 약한 불에 고약이 되게 달인다. 이것을 6번에 나누어 데운 술이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데 나쁜 독을 잘 빠지게 한다[강목]. 

? 槐花酒 ○ 治百種瘡毒初覺五發癰疽雖有大勢服此卽退槐花四兩炒香入淸酒二椀煎數沸去滓盡服卽消若末消再進一服[入門]
☞ 괴화술[槐花酒] ○ 여러 가지 창독(瘡毒)과 5발(五發)이나 옹저가 처음 생기려는 것을 치료하는데 아무리 증상이 심하다가도 이것을 먹으면 곧 없어진다. ○ 괴화(고소한 냄새가 나게 볶은 것) 160g. ○ 위의 약을 청주 2사발에 넣고 두어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 먹으면 금방 삭는다. 만일 삭지 않으면 또 한번 먹어야 한다[입문]. 

? 蠟礬丸 ○ 治癰疽發背??瘻瘡惡瘡衛護內膜驅解諸毒自然內消如因藥毒發疽非此莫治黃蠟二兩入明白礬末四兩衆手和勻作丸梧子大每三十丸溫酒或熟水下日二服內疽腸癰尤妙[入門]
☞ 납반환(蠟礬丸) ○ 옹저, 발배, 나력, 누창, 악창 때 내막(內膜)을 보호하며 모든 독을 몰아내고 풀리게 하여 저절로 속으로 삭게 한다. 약독으로 생긴 옹저는 이 약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 황랍 80g, 백반가루(투명한 것) 160g. ○ 위의 약을 함께 넣고 잘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하루 2번 데운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 내저(內疽)나 장옹(腸癰)에 더 좋다[입문]. 

? 當歸羌活湯 ○ 治五發癰疽膏粱熱鬱者最宜當歸黃芩黃連?酒製各一錢半酒黃栢連翹防風羌活梔子甘草各七分獨活藁本各五分澤瀉三分右?作一貼水浸半日入酒一匙煎熱服日二次三日盡六服却將藥淸汁調下木香檳?末各一錢[入門]
☞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열이 몰려 생긴 5발이나 옹저를 치료한다. ○ 당귀, 황금, 황련(다 술에 씻은 것) 각각 6g, 황백(술에 법제한 것), 연교, 방풍, 강활, 치자, 감초 각각 2.8g, 독활, 고본 각각 2g, 택사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가두었다가 술 1숟가락을 넣고 달여서 하루 2번 뜨겁게 하여 먹는다. 3일 동안에 6번을 먹은 다음에는 이 약물에 목향, 빈랑가루 각각 4g씩을 타서 먹어야 한다[입문]. 

? 托裏益氣湯 ○ 治癰疽肉色不變或潰而不斂一切虛證白朮二錢人參白茯?貝母陳皮香附子白芍藥熟地黃當歸各一錢桔梗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 옹저 때 살빛은 변하지 않으나 혹 터져서 아물지 않는 것과 일체 허한 증상을 치료한다. ○ 백출 8g, 인삼, 백복령, 패모, 陳皮, 향부자, 백작약, 숙지황, 당귀 각각 4g, 길경,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柴胡淸肝湯 ○ 治?疽及肝膽三焦風熱怒火以致耳項胸乳脇肋腫痛寒熱柴胡二錢梔子一錢半黃芩人參川芎靑皮各一錢連翹桔梗各八分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빈저(?疽)나 간(肝), 담(膽) 3초(三焦)에 풍열이 있거나 성내서 화기가 생겨 귀와 목과 가슴과 젖과 옆구리가 붓고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시호 8g, 치자 6g, 황금, 인삼, 천궁, 청피(靑皮) 각각 4g, 연교, 길경 각각 3.2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玄靈散 ○ 治五發癰疽及諸般?腫魚臍惡瘡腫毒??草一兩繭七箇燒灰乳香二錢右爲末每取二錢好熱酒調服連進三貼得汗爲效[活心]
☞ 현령산(玄靈散) ○ 5발(五發)과 옹저(癰疽), 여러 가지 정종(?腫), 어제창(魚臍瘡), 악창(惡瘡),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 진득찰(희렴초) 40g, 누에고치(잠견) 7개(태워서 가루낸다), 유황 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데 연이어 3첩을 먹고 땀을 내면 효과가 있다[활심]. 
관련된 글
  1. 저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치질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시호청간탕 柴胡淸肝湯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K219 托裡消毒散(탁리소독산)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152 連翹敗毒散(연교패독산)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K105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7. 방약합편 HH246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8. 방약합편 168.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주마감(走馬疳)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자림(子淋)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여러 가지 물건에 중독된 것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百物毒]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약쑥중독[艾毒]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미치광이풀중독[??毒]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철죽중독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바꽃이나 오두나 천웅이나 부자에 중독된 것[草烏川烏天雄附子毒]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인면창(人面瘡)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영류(?瘤)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나력(??) by 한닥터 *3
  20. 동의보감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탈저정(脫疽?)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유주골저(流注骨疽) by
  24. 동의보감 변옹(便癰) by
  25. 동의보감 현옹(懸癰) by
  26. 동의보감 둔옹(臀癰) by
  27. 동의보감 신옹(腎癰) by
  28. 동의보감 간옹(肝癰) by
  29. 동의보감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by
  30. 동의보감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by
  31. 동의보감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by
  32. 동의보감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by
  33.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39. 동의보감 한습(寒濕)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탑시종(搭?腫)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단기(短氣)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by 한닥터
  47. 태암 처방집 肝硬化(간경화) 膽石症(담석증) 柴胡淸肝湯(시호청간탕) by 한닥터
  48. 태암 처방집 癰疽腫毒皆效(옹저종독개효)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by 한닥터
  49. 태암 처방집 乳癌(유암)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by 한닥터
  50. 태암 처방집 耳下線炎(이하선염) 連翹敗毒散(연교패독산)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49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6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1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0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8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8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5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5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894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56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비옹(臂癰) 430
[옹저(癰疽)] 둔옹(臀癰) 675
[옹저(癰疽)] 현옹(懸癰) 955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옹저(癰疽)] 낭옹(囊癰) 366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0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옹저(癰疽)] 유주골저(流注骨疽) 750
[옹저(癰疽)] 정저(?疽) 457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