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1506 추천 수 0
◎ 歷節風治法 ○ 痛風多屬血虛血虛然後寒熱得以侵之多用芎歸佐以桃仁紅花薄桂威靈仙或用?痛散[東垣] ○ 丹溪治痛風法主血熱血虛血汚或挾痰皆不離四物潛行黃栢牛膝生甘草桃仁陳皮蒼朮薑汁隨證加減可謂發前人之所未發也[綱目] ○ 治痛風大法蒼朮南星川芎白芷當歸酒芩在上加羌活威靈仙桂枝桔梗在下加牛膝防己木通黃栢[丹心] ○ 薄桂治痛風無味而薄者能橫行手臂領南星蒼朮等至痛處[丹心] ○ 風寒濕入於經絡以致氣血凝滯津液稽留久則沸鬱堅牢阻碍榮衛難行正邪交戰故作痛也須氣味辛烈暴悍之藥開鬱行氣破血豁痰則沸鬱開榮衛行而病方已也[方廣] ○ 痛風宜用大羌活湯蒼朮復煎散防風天麻散疎風活血湯四妙散麻黃散潛行散二妙散龍虎丹活絡丹五靈丸 ○ 歷節風宜用神通飮定痛散虎骨散加減虎骨散麝香元乳香黑虎丹乳香定痛丸捉虎丹 ○ 肢節腫痛宜用靈仙除痛飮 ○ 痰飮注痛宜用芎夏湯控涎丹(方見痰飮)消痰茯?丸(方見手部)半夏芩朮湯 ○ 痛風?烙宜用拈痛散當歸散

☞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 통풍(痛風)은 흔히 혈(血)이 허(虛)한데 속한다. 이 병은 혈이 허해졌을 때에 한(寒)과 열(熱)이 침범하면 생긴다. 이런 데는 천궁, 당귀를 많이 쓰고 도인, 잇꽃(홍화), 박계(薄桂), 위령선 등을 보조약으로 쓴다. 그리고 진통산을 쓰기도 한다[동원]. ○ 단계(丹溪)는 통풍을 치료할 때 혈열(血熱), 혈허(血虛), 혈오(血汚), 담(痰)까지 겸한 것은 사물탕이나 잠행산으로 주로 치료했는데 여기에 황백, 우슬, 감초(생것), 도인, 陳皮, 창출, 생강즙 등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썼다. 이것은 옛날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강목]. ○ 통풍을 치료하는 처방은 천남성, 천궁, 백지, 당귀, 황금(술에 법제한 것)로 되어 있는데 병이 윗도리에 있으면 강활, 위령선, 계지, 길경를 더 넣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우슬, 황백, 목통, 방기를 더 넣어 쓴다[단심]. ○ 박계로는 통풍을 치료한다. 맛이 없는 박계의 기운은 손과 팔로 가는데 이때에 천남성, 창출 등의 약 기운을 이끌고 아픈 곳으로 간다[단심]. ○ 풍(風), 한(寒), 습(濕)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들어가면 기혈(氣血)이 엉키고 진액(津液)이 머물러 있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고 경락에 기혈(氣血)이 몰려 뜬뜬해지며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싸우게 되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몹시 세고 빠른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잘 돌게 하며 어혈(瘀血)을 풀어 주고 담을 삭여야 속이 답답하뎐 것이 풀리고 영위(榮衛)가 잘 돌아가면서 병이 낫는다[방광]. ○ 통풍(痛風) 때에는 대강활탕, 창출부전산, 방풍천마산, 소풍활혈탕, 사묘산, 마황산, 잠행산, 이묘산, 용호단, 활락단, 오령환 등을 쓴다. ○ 역절풍(歷節風) 때에는 신통음, 정통산, 호골산, 가감호골산, 사향원, 유향흑호단, 유향정통환, 착호단 등을 쓴다. ○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으면서 아프면 영선제통음을 쓴다. ○ 담음(痰飮)이 왔다갔다하면서 아프면 궁하탕, 공연단(控涎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소담복령환(消痰茯?丸, 처방은 손문에 있다), 반하금출탕 등을 쓴다. ○ 통풍이 생겨 찜질할 때에는 점통산, 당귀산을 쓴다. 

? ?痛散 ○ 治痛風多屬血虛血汚宜調血行血桃仁紅花當歸地龍五靈脂牛膝酒浸羌活酒浸香附子童便浸甘草生各二錢乳香沒藥各一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丹心]
☞ 진통산(?痛散) ○ 통풍(痛風)을 치료한다. 통풍은 대체로 혈허(血虛)와 혈오(血汚)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혈을 고르게[調] 하고 잘 돌게 해야 한다. ○ 도인, 잇꽃(홍화), 당귀, 지룡,오령지, 우슬(술에 담갔던 것), 강활(불에 담갔던 것), 향부자(동변에 담갔던 것), 감초(생것) 각각 8g, 유향, 몰약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 大羌活湯 ○ 治風濕相搏肢節腫痛不可屈伸羌活升麻各一錢半獨活一錢蒼朮防己威靈仙白朮當歸赤茯?澤瀉甘草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 대강활탕(大羌活湯) ○ 풍, 습의 사기가 서로 부딪쳐서 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파 굽혔다 폈다 할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 강활, 승마 각각 6g, 독활 4g, 창출, 방기, 위령선, 백출, 당귀, 적복령, 택사,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蒼朮復煎散 ○ 治風濕熱痛風蒼朮四兩黃栢三錢柴胡升麻藁本澤瀉羌活白朮各五分紅花二分右?先以水二椀煮蒼朮至二鍾去渣入餘藥再煎至一鍾去渣服[入門]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 ○ 풍(風), 습(濕), 열(熱)로 생긴 통풍을 치료한다. ○ 창출 160g, 황백 12g, 시호, 승마, 고본, 택사, 강활, 백출 각각 2g, 잇꽃(홍화)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먼저 물 2사발에 창출를 넣고 2종지가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여기에 나머지 약을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입문]. 

? 防風天麻散 ○ 治風濕麻痺走注疼痛或偏枯或暴?滑石二兩防風天麻川芎羌活白芷草烏?白附子荊芥穗當歸甘草各五錢右爲末蜜丸彈子大每取半丸或一丸熱酒化下覺藥力運行微麻爲度此散鬱開結宣風通氣之妙劑也[正傳] ○ 或爲末蜜酒調下一錢[正傳]
☞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풍습(風濕)으로 피부의 감각이 둔해지고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과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면서 살이 빠지는 것,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활석 80g, 방풍, 천마, 천궁, 강활, 백지, 초오(싸서 구운 것), 백부자,형개수, 당귀,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반 알 또는 1알을 따끈한 술에 풀어 먹는다. 약 기운이 퍼지면 살이 약간 저린데 이렇게 될 때까지 먹어야 한다. 이 약은 몰린 것을 헤치고 뭉친 것을 풀어 주며 풍(風)을 몰아내고 기(氣)를 통하게 하는 좋은 약이다[정전]. ○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봉밀술에 타서 먹는다[정전]. 

? 疎風活血湯 ○ 治四肢百節流注刺痛皆是風濕痰死血所致其痛處或腫或紅當歸川芎威靈仙白芷防己黃栢南星蒼朮羌活桂枝各一錢紅花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醫鑑]
☞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팔다리의 뼈마디 여기저기가 쑤시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다 풍, 습, 담(痰)과 궂은 피[死血]로 생긴 통증이다. 아픈 곳이 혹 붓기도 하고 벌겋게 되기도 한다. ○ 당귀, 천궁, 위령선, 백지, 방기, 황백, 천남성, 창출, 강활, 계지 각각 4g, 홍화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四妙散 ○ 治痛風走注威靈仙酒蒸五錢羊角灰三錢蒼耳子一錢半白芥子一錢右爲末每一錢薑湯調下[入門] ○ 一方無蒼耳子有蒼朮
☞ 사묘산(四妙散) ○ 통풍증(痛風證)으로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위령선(술에 축여 찐 것) 20g, 양각(羊角, 태워 가루낸 것) 12g, 창이자 6g, 백개자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 어떤 처방에는 창이자가 없고 창출이 들어 있다. 

? 麻黃散 ○ 治歷節痛風無汗麻黃二錢羌活一錢半黃?細辛各七分半右?作一貼水煎服[得效]
☞ 마황산(麻黃散) ○ 역절통풍(歷節痛風) 때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마황 8g, 강활 6g, 황기, 세신 각각 3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潛行散 ○ 治血虛陰火痛風及腰以下濕熱注痛黃栢酒浸焙乾爲末每一錢薑汁和酒調服必兼四物湯間服之妙[丹心]
☞ 잠행산(潛行散) ○ 혈허(血虛)와 음화(陰火)로 생긴 통풍과 허리 아래에 습열(濕熱)이 몰려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황백(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즙을 탄 술에 타서 먹는데 겸해서 사물탕을 사이사이에 먹는다[단심]. 

? 二妙散 ○ 治濕熱痛風筋骨疼痛黃栢酒浸焙蒼朮?浸焙右等分爲末熱薑湯調下一錢[丹心]
☞ 이묘산(二妙散) ○ 습열(濕熱)로 생긴 통풍으로 힘줄과 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황백(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창출(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 龍虎丹 ○ 治痛風走注或麻木半身痛草烏蒼朮白芷各一兩用童便薑?汁拌?熱入乳香沒藥各三錢當歸牛膝各五錢右爲末酒糊和丸彈子大每一丸溫酒化下[入門]
☞ 용호단(龍虎丹) ○ 통풍(痛風)으로 몸의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고 몸 한 쪽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초오, 창출, 백지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동변, 생강즙, 파즙에 버무려 열이 나게 띠운다), 유향, 몰약 각각 12g, 당귀, 우슬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입문]. 

? 活絡丹 ○ 治一切痛風筋脈拘攣沈痛時或上衝川烏?草烏?南星?地龍焙各一兩乳香沒藥各二錢二分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空心溫酒下二三十丸[局方]
☞ 활락단(活絡丹) ○ 모든 통풍으로 힘줄이 가드라들면서 아프고 혹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 천오(싸서 구운 것), 초오(싸서 구운 것), 천남성(싸서 구운 것), 지룡(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40g, 유향, 몰약 각각 8.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국방]. 

? 五靈丸 ○ 治風冷氣血閉身體麻痛五靈脂二兩川烏?一兩半沒藥一兩乳香五錢右爲末水丸彈子大生薑湯和溫酒磨化一丸服之[綱目]
☞ 오령환(五靈丸) ○ 풍랭(風冷)으로 기혈(氣血)이 막혀서 몸의 피부에 감각이 둔해지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오령지 80g, 오두(초오, 싸서 구운 것) 60g, 몰약 40g, 유향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 달인 물을 탄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강목]. 

? 神通飮 ○ 治歷節風木通二兩?細長流水煎湯頓服空心[正傳] ○ 一人因風濕得白虎歷節風--遍身疼痛足不履地者--三年百方不效一日夢與木通湯愈遂服此藥服後遍身痒甚上體發紅丹--如小豆大隨手沒去--出汗至腰而止上體不痛矣次日又如前煎服下體又發紅丹汗出至足而無痛後治數人皆驗一名曰木通湯[正傳]
☞ 신통음(神通飮) ○ 역절풍(歷節風)을 치료한다. ○ 목통 80g. ○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강물에 달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정전]. ○ 어떤 사람이 풍습(風濕)이 침범하여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 생겼다. --번역생략--그리하여 여러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어느 날 누가 목통탕을 주는 것을 먹고 병이 낫는 꿈을 꾸었다. 그 후에 이 약을 먹으니 온몸이 몹시 가렵고 몸 웃도리에 --번역생략-- 벌건 반진이 돋았다가 곧 없어지고 땀이 허리까지 나다가 멎었고 몸웃도리가 아프지 않았다. 다음날 다시 먼저 쓰던 방법대로 달여 먹었더니 몸아랫도리에 또 벌건 반진이 내돋고 땀이 발에까지 나고는 아프지 않았다. 후에 몇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다 효과가 있었다. 일명 목통탕(木通湯)이라고도 한다[정전]. 

? 定痛散 ○ 治風毒攻注皮膚骨髓之間痛無常處晝靜夜劇筋脈拘攣不得屈伸蒼耳子骨碎補自然銅血竭白附子赤芍藥當歸肉桂白芷沒藥防風牛膝各七錢半虎脛骨龜板各五錢天麻檳?羌活五加皮各二錢半右爲末每一錢溫酒調下[入門]
☞ 정통산(定痛散) ○ 풍독(風毒)이 피부와 골수(骨髓)로 몰려 들어가서 여기저기가 아프고 낮에는 덜하다가 밤에 더 심해지며 힘줄이 가드라들어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창이자,골쇄보, 자연동, 혈갈, 백부자,적작약, 당귀, 육계, 백지, 몰약, 방풍, 우슬 각각 30g, 호경골, 귀판@) 각각 20g, 천마, 빈랑, 강활, 오가피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 虎骨散 ○ 治歷節風百節?痛無定處久則變成風毒痛入骨髓不移其處又云骨髓痛者宜此藥虎骨?炙二兩白花蛇肉天麻防風牛膝白?蠶炒當歸酒浸乳香桂心各一兩全蝎炙甘草炙各五錢麝香一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豆淋酒尤好[齊生] ○ 一方加有自然銅白附子檳?羌活白芷川芎各一兩地龍沒藥雄黃各五錢服法亦同治白虎歷節風走痛[直指]
☞ 호골산(虎骨散) ○ 역절풍(歷節風)으로 여러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여기저기가 다 아픈 것과 이것이 오래되어 풍독(風毒)이 생겨 골수로 들어가서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골수가 아픈 데도 이 약을 쓴다고 하였다. ○ 범뼈(호골, 연유를 발라 구운 것) 80g, 백화사육(白花蛇肉), 천마, 방풍, 우슬, 백강잠(볶은 것), 당귀(술에 담갔던 것), 유향, 계심 각각 40g, 전갈(볶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사향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두림주에 타서 먹으면 더 좋다[제생]. ○ 어떤 처방에는 자연동, 백부자,빈랑, 강활, 백지, 천궁 각각 40g, 지룡,몰약, 웅황@) 각각 20g이 더 있다. 먹는 방법은 위와 같다. 백호역절풍으로 여기저기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직지]. 

? 加減虎骨散 ○ 治白虎歷節痛晝夜不止虎脛骨三兩沒藥五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入門]
☞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으로 아픈 것이 밤낮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호경골 120g, 몰약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 麝香元 ○ 治白虎歷節疼痛遊走無定狀如?行晝靜夜劇川烏大者三箇全蝎二十一箇地龍生五錢黑豆生二錢半麝香一字右爲末?米糊和丸菉豆大空心溫酒下七丸或十丸出汗便差[得效]
☞ 사향원(麝香元) ○ 백호역절풍으로 일정한 곳이 없이 여기저기가 아프고 마치 벌레가 다니는 것 같은 것이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더 심한 것을 치료한다. ○ 오두(천오, 큰 것) 3개, 전갈 21개, 지룡(산 것) 20g, 검정콩(흑두, 생것) 10g, 사향 1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10알씩 빈속에 데운 술에 풀어 먹고 땀을 내면 낫는다[득효]. 

? 乳香黑虎丹 ○ 治諸風寒濕骨節渾身疼痛立效草烏五兩蒼朮三兩白芷五靈脂羌活當歸川芎自然銅醋?七次各二兩乳香一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百草霜爲衣臨睡溫酒下五丸或七丸忌食熱物[十三方]
☞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로 생긴 역절풍 때에 뼈마디와 온몸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 초오@) 200g, 창출 120g, 백지, 오령지, 강활, 당귀, 천궁, 자연동(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각각 80g, 유향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백초상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 이때에는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십삼방]. 

? 乳香定痛丸 ○ 治遍身骨節痛蒼朮二兩川烏?當歸川芎各一兩丁香五錢乳香沒藥各三錢右末棗肉和丸梧子大溫酒呑下五六十丸[醫鑑]
☞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창출 80g,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당귀, 천궁 각각 40g, 정향 20g, 유향, 몰약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의감]. 

? 捉虎丹 ○ 治一切痛風走注??麻木白虎歷節及寒濕脚氣(方見足部)
☞ 착호단(捉虎丹) ○ 일체 통풍(痛風)으로 여기저기가 아프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감각이 둔해지는 것과 백호역절풍, 한습(寒濕)으로 생긴 각기(脚氣)를 치료한다(처방은 발문에 있다). 

? 靈仙除痛飮 ○ 治肢節腫痛痛屬火腫屬濕兼受風寒而發動於經絡之中濕熱流注於肢節之間麻黃赤芍藥各一錢防風荊芥羌活獨活威靈仙白芷蒼朮片芩酒炒枳實桔梗葛根川芎各五分當歸梢升麻甘草各三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 一名麻黃芍藥湯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어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은 화(火)에 속하고 부어오르는 것은 습(濕)에 속한다. 겸하여 풍한(風寒)이 경락(經絡)에까지 들어가 작용하므로 습열(濕熱)이 팔다리의 뼈마디 사이에 돌아다니는 것도 치료한다. ○ 마황, 적작약 각각 4g, 방풍, 형개, 강활, 독활, 위령선, 백지, 창출,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지실, 길경, 갈근, 천궁 각각 2g, 당귀(잔뿌리), 승마,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일명 마황작약탕(麻黃芍藥湯)이라고도 한다. 

? 半夏芩朮湯 ○ 治濕痰流注肩臂痛蒼朮二錢白朮一錢半半夏南星香附子片芩酒炒各一錢陳皮赤茯?各五分威靈仙三分甘草二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一方有羌活[丹心]
☞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 습담(濕痰)이 돌아다녀 어깨와 팔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창출 8g, 백출 6g, 반하, 천남성, 향부자,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陳皮, 적복령 각각 2g, 위령선 1.2g, 감초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강활이 있다[단심]. 

? 拈痛散 ○ 可?烙痛風羌活獨活細辛肉桂防風白朮良薑麻黃天麻川烏吳茱萸乳香川椒全蝎當歸各五錢白薑二錢半右粗末每一兩或一兩半鹽一升同炒極熱絹袋盛?烙痛處冷則易或炒用之[寶鑑]
☞ 점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때에 찜질하는 것이다. ○ 강활, 독활, 세신, 육계, 방풍, 백출, 양강, 마황, 천마, 오두(천오), 오수유, 유향, 산초(천초), 전갈, 당귀 각각 20g, 건강 1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0-60g을 소금 1되와 함께 뜨겁게 볶아 비단주머니에 넣어 아픈 곳에 찜질한다. 식으면 바꾼다. 다시 볶아 쓰기도 한다[보감]. 

? 當歸散 ○ ?烙寒濕痛風防風當歸藁本獨活荊芥穗?荊葉各一兩右粗末一兩鹽四兩同炒熱袋盛?之冷則易[醫林] ○ 宜去?荊葉代椒葉亦佳
☞ 당귀산(當歸散) ○ 한습(寒濕)으로 생긴 통풍 때에 찜질하는 것이다. ○ 방풍, 당귀, 고본, 독활, 형개수, 난형잎(頑荊葉)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0g을 소금 160g과 함께 뜨겁게 볶아 비단주머니에 넣어 아픈 곳에 찜질한다. 식으면 바꾼다[의림]. ○ 난형잎 대신에 조피나무잎(椒葉)을 쓰는 것도 좋다.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견비통 by 한닥터
  2. 회원임상례 (등업용) 하지 위약증에 대장정격 사용예 by healinghandherb
  3. 방약합편 소풍활혈탕 疏風活血湯 by 한닥터
  4. 방약합편 대강활탕 大羌活湯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154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K134 疎風活血湯(소풍활혈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132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by 한닥터
  8. 기본방 모음 100 궁하탕(芎夏湯) by 한닥터
  9. 방약합편 HK070 半夏芩朮湯(반하금출탕)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HK053 大羌活湯(대강활탕)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HM362 半夏芩朮湯(반하금출탕)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대강활탕 大羌活湯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수적(水積)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풍한천(風寒喘)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한습(寒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뼈가 아픈 것[骨痛]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음심통(飮心痛)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복음(伏飮)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유음(留飮)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것[心澹澹大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정충증[怔忡] by 한닥터
  37. 방약합편 175. 疎風活血湯(소풍활혈탕)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마황산(麻黃散)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 by 한닥터
  40. 임상 경험방 소풍활혈탕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처방집 대강활탕(大羌活湯)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처방집 당귀산(當歸散)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처방집 점통산(拈痛散)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처방집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처방집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처방집 착호단(捉虎丹)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처방집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처방집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처방집 사향원(麝香元)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풍병은 도지지 않도록 미리 막아야 한다[風病須防再發] 652
[풍(風)] 중풍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지나치게 치료할 필요가 없다[小中不須深治] 442
[풍(風)] 중풍 때 음식을 잘 먹는 것[中風能食] 443
[풍(風)] 상풍증(傷風證) 612
[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594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풍(風)]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756
[풍(風)] 풍비증의 시초[風痺之始] 785
[풍(風)] 3가지 비증[三痺] 855
[풍(風)] 5가지 비증[五痺] 647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풍(風)] 비증의 형태[痺病形證] 627
[풍(風)] 비증의 예후[痺病吉凶] 433
[풍(風)]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503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6
[풍(風)] 비증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痺病難治] 588
[풍(風)]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485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28
[풍(風)]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538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06
[풍(風)] 금기법(禁忌法) 471
[풍(風)]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481
[풍(風)] 치와 경을 일반적으로 파상풍이라고 한다[ 與痙通稱破傷風] 393
[풍(風)] 파상풍의 증상[破傷風形證] 465
[풍(風)] 파상풍의 맥상[破傷風脈] 521
[풍(風)]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1145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풍(風)]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790
[풍(風)] 치병은 간질과 비슷하나 실지는 다르므로 풍병으로 보고 치료해서는 안 된다[?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