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870 추천 수 0
◎ 語遲行遲 ○ 語遲者五軟中口軟是也兒在胎時母有驚怖驚氣入於心包絡使心神不足舌本不通宜服菖蒲丸[錢乙] ○ 小兒諸病後不能言宜鷄頭丸[錢乙] ○ 一小兒五歲不能言咸以爲廢人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加五味子鹿茸及補中益氣湯(方見內傷)將半年始發一二言至一年始言語如常[回春] ○ 行遲者脚軟是也氣血不充骨髓不滿軟弱不能行或肝腎俱虛肝主筋筋弱不能束骨宜六味地黃元加鹿茸牛膝五味子五加皮久服之虎骨丸亦佳或用五加皮散[得效] ○ 凡小兒行遲齒遲解?五軟鶴膝睛白多愁皆因稟受腎氣不足宜以六味地黃元加鹿茸補之或用調元散[回春] ○ 小兒鶴膝者由稟受不足血氣不充故肌肉瘦瘠骨節呈露如鶴之膝乃腎虛得之宜六味地黃元加當歸牛膝鹿茸久服仍以大南星?爲末醋調烘熱貼之甚良[回春]

☞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 말을 늦게 하는 것은 5연 가운데서 구연(口軟)을 말한 것이다. 태아가 뱃속에 있을 때에 어머니가 놀라면 놀란 기운이 심포락(心包絡)에 들어가서 심신이 부족해지고 혀에 기가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말을 늦게 한다. 이런 때에는 창포환(菖蒲丸)을 먹이는 것이 좋다[전을]. ○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고 나서 말을 못하는 데는 계두환(鷄頭丸)이 좋다[전을]. ○ 어떤 어린이가 5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였는데 사람들이 모두 병신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어린이에게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오미자와 녹용을 더 넣은 것과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반 년 안에 처음 한두 마디씩 말을 하였고 1년 만에는 제대로 말을 하였다[회춘]. ○ 걸음마가 늦는 것은 각연(脚軟)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기혈이 충실치 못하고 골수가 충만되어 있지 못하여 힘이 없어서 걷지 못하거나 간(肝)과 신(腎)이 다 허하기 때문이다. 간은 힘줄을 주관하므로 힘줄이 약하면 뼈마디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 쇠무릎(우슬), 오미자, 오갈피(오가피)를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인다. 호골환(虎骨丸)도 좋고 오가피산(五加皮散)도 쓴다[득효]. ○ 대개 어린이가 걸음발을 더디게 타고 이가 더디게 나오고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과 5연, 학슬풍(鶴膝風), 눈알이 희고 근심이 많은 것은 다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을 더 넣어 보하거나 조원산(調元散)을 쓴다[회춘]. ○ 어린이의 학슬풍은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고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살이 빠지고 뼈마디가 드러나서 학의 무릎같이 된다. 이것은 신(腎)이 허하여 생긴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당귀, 쇠무릎(우슬), 녹용 등을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이고 이어 천남성(큰 것을 싸서 구운 것)을 가루내어 식초로 개어 불에 쪼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붙이면 매우 좋다[회춘]. 

? 菖蒲丸 ○ 治心氣不足五六歲不能言石菖蒲人參麥門冬遠志川芎當歸各二錢乳香朱砂各一錢右爲末蜜丸麻子大米飮下十丸至二十丸日三服[入門]
☞ 창포환(菖蒲丸) ○ 심기가 부족하여 5-6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석창포, 인삼, 맥문동, 원지, 천궁,당귀 각각 8g, 유향, 주사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 鷄頭丸 ○ 治小兒諸病後不能言雄鷄頭灸一箇鳴蟬灸焦三箇大黃?甘草灸各一兩當歸川芎遠志麥門冬各七錢半木通黃?各五錢右爲末蜜丸菉豆大空心米飮下五丸日三四服[錢氏]
☞ 계두환(鷄頭丸) ○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은 뒤에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수탉의 머리(雄鷄頭, 구운 것) 1개, 매미(鳴蟬, 눋도록 구운 것) 3개,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40g, 당귀, 천궁,원지, 맥문동 각각 30g, 목통,황기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알씩 하루 서너번 미음으로 빈속에 먹인다[전씨]. 

? 虎骨丸 ○ 治行遲虎脛骨生乾地黃酸棗仁白茯?肉桂防風當歸川芎牛膝黃?各等分右爲末蜜丸麻子大木瓜湯下五丸或十丸[得效]
☞ 호골환(虎骨丸) ○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을 치료한다. ○ 호경골, 생건지황, 메대추씨(산조인), 백복령, 육계, 당귀, 천궁,쇠무릎(우슬), 황기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10알씩 모과 달인 물로 먹인다[득효]. 

? 五加皮散 ○ 治三歲不能行五加皮二錢半牛膝木瓜各一錢二分半右末每一錢米飮調下[得效]
☞ 오가피산(五加皮散) ○ 3살이 되어도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오갈피(오가피) 10g, 쇠무릎(우슬), 모과 각각 5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먹인다[득효]. 

? 調元散 ○ 治行遲山藥五分白朮白芍藥熟地黃當歸川芎黃?蜜炒各二分半人參白茯?茯神各二分甘草一分半石菖蒲一分右?作一貼薑三棗二水煎服[回春]
☞ 조원산(調元散) ○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을 치료한다. ○ 산약@) 2g. 백출,백작약,숙지황, 당귀, 천궁,황기(꿀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1g, 인삼, 백복령, 복신 각각 0.8g, 감초 0.6g, 석창포 0.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회춘].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소음인 비염 한출후지침 by 짜안
  2. 저널 특발성 파킨슨병·파킨슨증후군 환자 7례의 치료경과사례 고찰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상례 비염에 소청룡탕, 이후 보중익기탕 by 겨누자
  4.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웃으면서살아요
  5. 명의방론 보중익기탕 – 면역기능부활자!② by 한닥터
  6. 명의방론 보중익기탕 – 면역기능부활자!① by 한닥터
  7. 임상 경험방 현훈 by 한닥터
  8.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9.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10.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 7세 소아 식욕부진 치험예 by 일랑
  12. 회원임상례 (등업) 재발성 방광염 by 사자의서
  13. 방약합편 보중익기탕 , 補中益氣湯, Bojungikgi-tang by 한닥터
  14. 회원임상례 (등업용) 보중익기탕 임상례 by 붉나은비
  15. 회원임상례 (등업용) 구건이 극심한 할머니 by 무명
  16. 방약합편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by 한닥터
  17. 회원임상례 (등업용) 보중익기탕가미 by 유준아빠 *1
  18. 기본방 모음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HK121 少陰人(소음인)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HK080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HH81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HH78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by 한닥터
  23. 방약합편 341. 調元散(조원산)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by
  25. 동의보감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노학(勞?)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밤에 나는 기침[夜嗽]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주하병(注夏病)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41. 동의보감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조열(潮熱)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장열(壯熱) 715
[소아(小兒)] 실열(實熱) 760
[소아(小兒)] 허열(虛熱) 1128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1284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560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5
[소아(小兒)]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痰涎喘嗽] 573
[소아(小兒)] 설사와 이질[泄痢] 754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소아(小兒)] 5연과 5경[五軟五硬] 574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소아(小兒)] 신전과 신함[?塡?陷] 473
[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870
[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580
[소아(小兒)] 구배와 구흉[龜背龜胸] 762
[소아(小兒)] 체이(滯?) 417
[소아(小兒)] 단독(丹毒) 652
[소아(小兒)] 여러 가지 헌데[諸瘡] 773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