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풍설(風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29 추천 수 0
◎ 風泄 ○ 惡風自汗或帶淸血由春傷風夏感濕而發動故其瀉暴<入門> ○ 風邪入於腸胃故大便不聚而瀉<直指> ○ 瀉而便帶淸血宜胃風湯<回春> ○ 風邪內縮宜桂枝麻黃湯汗之(方見寒門)<綱目>

☞ 풍설(風泄)

  ○ 풍설이란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대변으로 선지피[淸血]가 섞여 나오는 것이다. 봄에 풍(風)에 상하거나 여름에 습에 상하면 갑자기 설사가 난다[입문]. ○ 장위(腸胃)에 풍사(風邪)가 들어가면 걷잡을 수 없이 설사가 난다[직지]. ○ 설사로 선지피가 섞여 나오는 데는 위풍탕(胃風湯)을 쓴다[회춘]. ○ 속에 풍사가 몰려 있으면 계지마황탕(桂枝麻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내는 것이 좋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흑두즙 설사 - 푸른색, 청녹색 , 흑색 변 색 설사 by 구절창포
  2.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풍리(風痢)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손설(飱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by 한닥터
  8. 동의보감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탈장 - 김운정 - 위풍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위풍탕 - 胃風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06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