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풍설(風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29 추천 수 0
◎ 風泄 ○ 惡風自汗或帶淸血由春傷風夏感濕而發動故其瀉暴<入門> ○ 風邪入於腸胃故大便不聚而瀉<直指> ○ 瀉而便帶淸血宜胃風湯<回春> ○ 風邪內縮宜桂枝麻黃湯汗之(方見寒門)<綱目>

☞ 풍설(風泄)

  ○ 풍설이란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대변으로 선지피[淸血]가 섞여 나오는 것이다. 봄에 풍(風)에 상하거나 여름에 습에 상하면 갑자기 설사가 난다[입문]. ○ 장위(腸胃)에 풍사(風邪)가 들어가면 걷잡을 수 없이 설사가 난다[직지]. ○ 설사로 선지피가 섞여 나오는 데는 위풍탕(胃風湯)을 쓴다[회춘]. ○ 속에 풍사가 몰려 있으면 계지마황탕(桂枝麻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내는 것이 좋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흑두즙 설사 - 푸른색, 청녹색 , 흑색 변 색 설사 by 구절창포
  2.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풍리(風痢)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손설(飱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by 한닥터
  8. 동의보감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탈장 - 김운정 - 위풍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위풍탕 - 胃風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06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용약(用藥)]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1092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3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