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풍설(風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29 추천 수 0
◎ 風泄 ○ 惡風自汗或帶淸血由春傷風夏感濕而發動故其瀉暴<入門> ○ 風邪入於腸胃故大便不聚而瀉<直指> ○ 瀉而便帶淸血宜胃風湯<回春> ○ 風邪內縮宜桂枝麻黃湯汗之(方見寒門)<綱目>

☞ 풍설(風泄)

  ○ 풍설이란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대변으로 선지피[淸血]가 섞여 나오는 것이다. 봄에 풍(風)에 상하거나 여름에 습에 상하면 갑자기 설사가 난다[입문]. ○ 장위(腸胃)에 풍사(風邪)가 들어가면 걷잡을 수 없이 설사가 난다[직지]. ○ 설사로 선지피가 섞여 나오는 데는 위풍탕(胃風湯)을 쓴다[회춘]. ○ 속에 풍사가 몰려 있으면 계지마황탕(桂枝麻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내는 것이 좋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흑두즙 설사 - 푸른색, 청녹색 , 흑색 변 색 설사 by 구절창포
  2.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풍리(風痢)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손설(飱泄)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by 한닥터
  8. 동의보감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피똥[便血]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226. 胃風湯(위풍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탈장 - 김운정 - 위풍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위풍탕 - 胃風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06 위풍탕(胃風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1422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6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51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얼굴(面)] 얼굴에 열이 있는 것[面熱] 1820
[얼굴(面)] 얼굴이 시린 것[面寒] 996
[얼굴(面)] 위풍증(胃風證) 1625
[얼굴(面)] 탑시종(搭?腫) 1421
[얼굴(面)]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1585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예막(瞖膜) 961
[눈(眼)] 눈에 넣는 약[點眼藥] 906
[코(鼻)] 비사(鼻?) 1049
[입과 혀(口舌)]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1488
[입과 혀(口舌)] 입 안이 헤진 것[口?] 1099
[이빨(牙齒)]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940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0
[젖(乳)] 유옹(乳癰) 1509
[배(腹)] 차서 배가 아픈 것[寒腹痛] 1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