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1248 추천 수 0
◎ 頭目不淸利 ○ 此由風濕熱痰涎鬱于精明之府故頭目不爲淸爽宜川芎丸防風散川芎散沃雪湯淸神養榮湯

☞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 풍(風), 습(濕), 열(熱), 담연(痰涎)이 정명지부(精明之府)㈜에 몰리면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하다. 이런 데는 천궁환, 방풍산, 천궁산, 옥설탕, 청신양영탕이 좋다. 
[註] 정명지부(精明之府) : 정신작용을 하는 뇌수가 들어 있는 곳을 말한다. 

? 川芎丸 ○ 淸頭目止旋暈消風化痰桔梗五兩川芎薄荷各三兩二錢半細辛防風甘草各一兩二錢半右爲末蜜和每一兩半作五丸每一丸茶淸嚼下[丹心]
☞ 천궁환(川芎丸) ○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고 어지럼증을 멎게 하며 풍(風)을 없애고 담(痰)을 삭힌다. ○ 길경 200g, 천궁, 박하 각각 130g, 세신, 방풍, 감초 각각 5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60g으로 알약 5알씩 만들어 1알씩 씹어서 찻물로 넘긴다[단심]. 

? 防風散 ○ 治頭目不淸去風明目防風川芎白芷甘菊甘草各一兩右爲末每二錢茶淸調下[丹心]
☞ 방풍산(防風散) ○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는데 풍(風)을 없애고 눈을 밝아지게 한다. ○ 방풍, 천궁, 백지, 단국화(감국), 감초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 먹는다[단심]. 

? 淸神養榮湯 ○ 淸頭目聰耳竅助精神麥門冬當歸各一錢二分川芎一錢白芷七分薄荷甘菊羌活梔子各五分甘草四分升麻二分右?作一貼薑三茶一撮煎服[集略]
☞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고 귀를 밝게 하며 정신을 돕는다. ○ 맥문동, 당귀 각각 4.8g, 천궁 4g, 백지 2.8g, 박하, 단국화(감국), 강활, 산치자 각각 2g, 감초 1.6g, 승마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차 한 줌과 함께 달여 먹는다[집략]. 

? 沃雪湯 ○ 治頭目昏眩精神不爽咽乾鼻塞薄荷葉三兩甘草一兩四錢荊芥穗白鹽各一兩二錢天花粉二錢七分縮砂一錢右末每一錢湯點服[類聚]
☞ 옥설탕(沃雪湯) ○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하며 정신이 맑지 못하고 목이 마르며 코가 메는 것을 치료한다. ○ 박하잎 120g, 감초 56g, 형개수, 소금 각각 48g, 천화분 10.8g, 사인 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유취]. 

? 川芎散 ○ 治頭目不淸利酒炒黃連酒炒片芩各一兩生乾地黃甘草灸各七錢半羌活防風藁本升麻生甘草各五錢柴胡三錢半川芎二錢半右爲末每二錢食後茶淸調下[正傳]
☞ 천궁산(川芎散) ○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생건지황, 감초(볶은 것) 각각 30g, 강활, 방풍, 고본, 승마, 생감초 각각 20g, 시호 14g, 천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찻물에 타 먹는다[정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토하게 하는 방법[吐法]/머리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열궐두통(熱厥頭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편두통(偏頭痛)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풍훈(風暈)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옥설탕(沃雪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방풍산(防風散)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천궁산(川芎散)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천궁산(川芎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옥설탕(沃雪湯)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방풍산(防風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천궁환(川芎丸)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천궁산(川芎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장(腎臟)] 신장을 수양하는 법[腎臟修養法] 764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부(膽腑)] 담의 형태[膽形象] 693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7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4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9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