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頭)

미릉골통(眉稜骨痛)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1633 추천 수 0
◎ 眉稜骨痛 ○ 眉心幷眉梁骨痛者痰也二陳湯(方見痰飮)煎水呑下靑州白元子(方見風門)[得效] ○ 眉稜骨痛連目不可開晝靜夜劇或因濕痰眉?骨痛身重者宜芎辛導痰湯(方見上)加川烏白朮[入門] ○ 眉稜骨痛宜選奇湯上淸散 ○ 眉?痛屬風熱與痰白芷酒片芩等分爲末茶淸調下二錢溫酒亦可[丹心] ○ 眉輪骨痛痰火也眉?痛亦痰火之徵也[回春] ○ 因風寒眉骨痛川烏草烏各一錢童尿俱浸二宿炒用細辛羌活酒片芩甘草灸各半錢同爲末分二貼茶淸調下食後[正傳]

☞ 미릉골통(眉稜骨痛)

 ○ 양미간[眉心]이나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증이므로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달인 물에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처방은 풍문에 있다)를 먹는다[득효]. ○ 미릉골(眉稜骨)이 아파서 눈을 뜰 수 없고 낮에는 진정되었다가 밤이면 심해지는 것과 습담(濕痰)으로 눈 둘레의 뼈가 아프며 몸이 무거운 데는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처방은 위에 있다)에 오두, 백출를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미릉골통(眉稜骨痛)에는 선기탕과 상청산이 좋다. ○ 눈 둘레의 뼈가 아픈 것은 풍열(風熱)과 담(痰)에 속하는데 백지, 황금(술에 법제한 것)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찻물로 먹거나 데운 술로 먹으면 좋다[단심]. ○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화(痰火) 때문이고 눈 둘레뼈가 아픈 것도 담화의 증상이다[회춘]. ○ 풍한(風汗)으로 미릉골이 아픈 데는 오두, 초오 각각 4g(동변에 2일 동안 담갔다가 볶은 것)을 세신, 강활, 황금(술에 법제한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g과 함께 가루를 내어 두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찻물에 타 먹는다[정전]. 

? 選奇湯 ○ 治眉稜骨痛不可忍羌活防風半夏製各二錢酒片芩一錢半甘草一錢右?作一貼入姜三片水煎服[回春]
☞ 선기탕(選奇湯) ○ 미릉골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강활, 방풍, 반하(법제한 것) 각각 8g, 황금(술에 법제한 것) 6g, 감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上淸散 ○ 治風頭痛眉骨眼?俱痛不可忍川芎鬱金芍藥荊芥薄荷芒硝各二錢半乳香沒藥各五分龍腦二分半右爲末每取一字鼻內?之[丹心]
☞ 상청산(上淸散) ○ 풍(風)으로 머리가 아프고 미릉골[眉骨]과 눈 둘레뼈[眼?]가 모두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천궁, 울금, 백작약, 형개, 박하, 망초 각각 10g, 유향, 몰약 각각 2g, 용뇌 1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콧구멍에 밀어 넣는다[단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만비풍(慢脾風)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담연이 몹시 성한 것[痰涎壅盛]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담궐두통(痰厥頭痛)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풍담(風痰)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청주백원자(淸州白元子)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상청산(上淸散)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선기탕(選奇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청주백원자(淸州白圓子)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형태[膀胱形象] 75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4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