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얼굴에 생긴 대양증[面戴陽證]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1393 추천 수 0
◎ 面戴陽證 ○ 諸病面赤雖伏火熱禁不得攻裏爲陽氣?鬱邪氣在經宜發表以去之經曰火鬱則發之是也瘡瘍亦然[東垣] ○ 面戴陽者浮火所衝也又曰面戴陽者面雖赤而不紅活乃下虛也醫者不察誤用凉藥則氣消而成大病矣[入門] ○ 面赤色者陽氣?鬱在表當解之發汗卽愈[仲景] ○ 傷寒少陰證面戴陽者下虛故也宜通脈四逆湯(方見寒門)加?白九莖煎服[仲景] ○ 面赤色爲陽氣?鬱在表故用?白以通陽氣也[綱目]

☞ 얼굴에 생긴 대양증[面戴陽證]

 ○ 여러 가지 병 때 얼굴이 벌겋게 되고 잠복된 화열(火熱)이 있다고 하여도 속을 함부로 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양기(陽氣)가 몰리고 떠올라서 사기(邪氣)가 경맥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표(表)를 풀어서 낫게 해야 한다. 『내경』에 "화(火)가 몰리면 표를 풀어야 한다"고 씌어 있는 것이 이것을 말한다. 창양(瘡瘍)도 마찬가지다[동원]. ○ 얼굴에 대양증(戴陽證)이 생기는 것은 화(火)가 떠올라 치밀기 때문이다. 또한 얼굴에 생긴 대양증이라고 하는 것은 얼굴이 벌겋게 되고 생기가 없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하초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의사가 잘 알지 못하고 함부로 성질이 찬약을 쓰면 기가 줄어들어서 중병이 생길 수 있다[입문]. ○ 얼굴이 벌건 것은 양기(陽氣)가 몰리고 떠올라 표(表)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표를 풀어서 땀을 내야 곧 낫는다[중경]. ○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 때 얼굴에 대양증(戴陽證)이 생긴 것은 하초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파밑(총백) 9대를 넣어서 달여 먹는 것이 좋다[중경]. ○ 얼굴이 벌건 것은 양기가 몰리고 떠올라 표(表)에 있는 것이다. 때문에 파밑(총백)을 써서 양기를 통하게 해야 한다[강목].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입니다) 사지궐랭,복랭,생리통 by 열별 *1
  2. 동의보감 음극사양(陰極似陽)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상한음궐(傷寒陰厥)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by 한닥터
  6. 방약합편 296. 通脈四逆湯(통맥사역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by 한닥터
  8. 고방 처방집 통맥사역탕 通脈四逆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형태[膀胱形象] 75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4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