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위풍증(胃風證)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1625 추천 수 0
◎ 胃風證 ○ 胃風爲面腫[入門] ○ 面腫曰風[內經] ○ 初飮食訖乘風凉而致其證飮食不下形瘦腹大惡風頭多汗膈塞不通脈右關弦而緩帶浮[東垣] ○ 虛風麻木牙關緊急目內?動胃中有風獨面腫宜升麻胃風湯[東垣] ○ 一人患鼻額角痛或麻痺不仁脣口頰車髮際連牙腫痛口不得開額與頰車常如糊繩手觸則痛此陽明經絡受風熱毒氣而然宜犀角升麻湯[本事]

☞ 위풍증(胃風證)

 ○ 위풍(胃風)이란 얼굴이 붓는 것을 말한다[입문]. ○ 얼굴이 붓는 것을 풍(風)이라고도 한다[내경]. ○ 음식을 먹은 다음 곧 서늘한 바람을 쏘이면 생기는데 증상은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몸이 여위며 배가 불러 오르고 바람을 싫어하며 머리에서 땀이 많이 나오고 목이 메어 잘 넘어가지 않으며 오른쪽 관맥이 현(弦)하고 완(緩)하면서 부(浮)한 것을 겸한다[동원] ○ 허풍(虛風) 때는 감각이 없어지거나 뻣뻣해지고 이를 악물며 눈내자[目內 ]가 푸들거린다. 위 속에 풍이 있으면 오직 얼굴만 붓는데 이런 데는 승마위풍탕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 어떤 사람이 코와 이마 모서리가 아프거나 감각이 마비되면서 말째며[不仁] 입술과 협거(頰車)㈜ 부위와 발제(髮際)㈜에서 이빨까지 붓고 아파서 입을 벌릴 수 없으며 이마에서 협거까지는 늘 풀을 바른 것처럼 조이는 감이 있으면서 손만 대도 아파하였다. 이것은 양명경락(陽明經絡)이 풍열독기(風熱毒氣)를 받아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서각승마탕을 쓰는 것이 좋다[본사]. 

[註] 협거(頰車) : 아래 이틀 
[註] 발제(髮際) : 머리털이 난 데와 나지 않은 곳의 경계 

◈ 升麻胃風湯 ○ 治胃風面腫升麻二錢白芷一錢二分當歸葛根蒼朮各一錢甘草一錢半麻黃不去節五分柴胡藁本羌活黃栢草豆?各三分蔓荊子二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食後[東垣]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위풍(胃風)으로 얼굴이 부은 것을 치료한다. ○ 승마 8g, 백지 4.8g, 당귀, 갈근, 창출 각각 4g, 감초 6g, 마황(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2g, 시호, 고본, 강활, 황백, 초두구 각각 1.2g, 순비기열매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 犀角升麻湯 ○ 治陽明胃經風熱毒犀角一錢半升麻羌活防風各一錢川芎白附子白芷黃芩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食後臨臥各一服[本事]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 족양명경[陽明胃經]위에 풍열독기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 서각 6g, 승마, 강활, 방풍 각각 4g, 천궁, 백부자,백지, 황금,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끼니 뒤와 잠잘 때에 한번씩 먹는다[본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138 升麻胃風湯(승마위풍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탑시종(搭?腫) by 한닥터
  6. 태암 처방집 面(면)에 여드름 나는데 犀角升麻湯(서각승마탕) by 한닥터
  7. 태암 처방집 面腫(면종)(脾虛(비허)하면 面腫(면종)하고 무겁다.) 升麻胃風湯(승마위풍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by 한닥터
  11. 임상 경험방 얼굴 부종 - 홍설후 - 승마위풍탕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승마위풍탕 - 면부종 - 홍설후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23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9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벌레(蟲部)] 청령(??, 잠자리) 401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406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벌레(蟲部)] 회충(?蟲) 365
[벌레(蟲部)] 고충(蠱蟲) 359
[과실(果部)] 연실(蓮實, 연밥)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하엽(荷葉, 연잎) 연화(蓮花, 연꽃) 연의(蓮薏, 연실의 심) 775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
[과실(果部)] 유자(柚子) 759
[과실(果部)] 유감자(乳柑子) 528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과실(果部)] 포도(葡萄) 포도근(葡萄根, 포도나무뿌리) 영욱(??, 머루) 653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2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과실(果部)] 앵도(櫻桃, 앵두)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575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5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2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