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面)

위풍증(胃風證)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1625 추천 수 0
◎ 胃風證 ○ 胃風爲面腫[入門] ○ 面腫曰風[內經] ○ 初飮食訖乘風凉而致其證飮食不下形瘦腹大惡風頭多汗膈塞不通脈右關弦而緩帶浮[東垣] ○ 虛風麻木牙關緊急目內?動胃中有風獨面腫宜升麻胃風湯[東垣] ○ 一人患鼻額角痛或麻痺不仁脣口頰車髮際連牙腫痛口不得開額與頰車常如糊繩手觸則痛此陽明經絡受風熱毒氣而然宜犀角升麻湯[本事]

☞ 위풍증(胃風證)

 ○ 위풍(胃風)이란 얼굴이 붓는 것을 말한다[입문]. ○ 얼굴이 붓는 것을 풍(風)이라고도 한다[내경]. ○ 음식을 먹은 다음 곧 서늘한 바람을 쏘이면 생기는데 증상은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몸이 여위며 배가 불러 오르고 바람을 싫어하며 머리에서 땀이 많이 나오고 목이 메어 잘 넘어가지 않으며 오른쪽 관맥이 현(弦)하고 완(緩)하면서 부(浮)한 것을 겸한다[동원] ○ 허풍(虛風) 때는 감각이 없어지거나 뻣뻣해지고 이를 악물며 눈내자[目內 ]가 푸들거린다. 위 속에 풍이 있으면 오직 얼굴만 붓는데 이런 데는 승마위풍탕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 어떤 사람이 코와 이마 모서리가 아프거나 감각이 마비되면서 말째며[不仁] 입술과 협거(頰車)㈜ 부위와 발제(髮際)㈜에서 이빨까지 붓고 아파서 입을 벌릴 수 없으며 이마에서 협거까지는 늘 풀을 바른 것처럼 조이는 감이 있으면서 손만 대도 아파하였다. 이것은 양명경락(陽明經絡)이 풍열독기(風熱毒氣)를 받아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서각승마탕을 쓰는 것이 좋다[본사]. 

[註] 협거(頰車) : 아래 이틀 
[註] 발제(髮際) : 머리털이 난 데와 나지 않은 곳의 경계 

◈ 升麻胃風湯 ○ 治胃風面腫升麻二錢白芷一錢二分當歸葛根蒼朮各一錢甘草一錢半麻黃不去節五分柴胡藁本羌活黃栢草豆?各三分蔓荊子二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食後[東垣]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위풍(胃風)으로 얼굴이 부은 것을 치료한다. ○ 승마 8g, 백지 4.8g, 당귀, 갈근, 창출 각각 4g, 감초 6g, 마황(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2g, 시호, 고본, 강활, 황백, 초두구 각각 1.2g, 순비기열매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 犀角升麻湯 ○ 治陽明胃經風熱毒犀角一錢半升麻羌活防風各一錢川芎白附子白芷黃芩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食後臨臥各一服[本事]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 족양명경[陽明胃經]위에 풍열독기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 서각 6g, 승마, 강활, 방풍 각각 4g, 천궁, 백부자,백지, 황금,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끼니 뒤와 잠잘 때에 한번씩 먹는다[본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138 升麻胃風湯(승마위풍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탑시종(搭?腫) by 한닥터
  6. 태암 처방집 面(면)에 여드름 나는데 犀角升麻湯(서각승마탕) by 한닥터
  7. 태암 처방집 面腫(면종)(脾虛(비허)하면 面腫(면종)하고 무겁다.) 升麻胃風湯(승마위풍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by 한닥터
  11. 임상 경험방 얼굴 부종 - 홍설후 - 승마위풍탕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승마위풍탕 - 면부종 - 홍설후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23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9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위치[大腸部位] 1029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大腸外候] 855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형태[膀胱形象] 75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6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