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오풍(烏風)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368 추천 수 0
◎ 烏風 ○ 眼雖痒痛而頭不旋但漸漸昏暗如物遮定全無?障或時生花此肝有實熱宜瀉肝散[得效]

☞ 오풍(烏風)

 ○ 눈은 가렵고 아프나 머리는 어지럽지 않으면서 눈이 점차 어두워져 마치 무엇이 가리운 것 같은데 예장(?障)은 전혀 없고 혹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간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생긴 것인데 사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폭풍객열(暴風客熱)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瞖]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천행적목(天行赤目)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녹로전관(轆轤轉關)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도첩권모(倒睫拳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돌기정고(突起睛高) by 한닥터
  7. 동의보감 간장적열(肝臟積熱)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간허목암(肝虛目暗) by 한닥터 *2
  9. 동의보감 처방집 사간산(瀉肝散)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996
[기침(咳嗽)] 효증(哮證) 995
[담음(痰飮)]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병[痰飮諸病] 994
[이빨(牙齒)]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994
[적취(積聚)] 수적(水積) 994
[목구멍(咽喉)]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咽喉閉通治] 992
[짐승(獸部)] 아교(阿膠) 991
[기(氣)] 단방(單方)/기 989
[목구멍(咽喉)] 인후가 허는 것[咽喉瘡] 989
[화(火)] 술을 마시고 열이 나는 것[飮酒發熱] 989
[진액(津液)] 심한(心汗) 988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7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7
[서(暑)] 서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暑病吐瀉] 987
[학질(?疾)] 노학(勞?) 987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신(神)] 심은 신을 간직하고 있다[心藏神] 984
[입과 혀(口舌)] 입맛이 신 것[口酸] 984
[허로(虛勞)] 폐가 허한 데 쓰는 약[肺虛藥] 984
[기(氣)] 기(氣)는 위(衛)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983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1
[젖(乳)] 젖을 나오게 하는 것[下乳汁] 980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978
[배(腹)] 열로 배가 아픈 것[熱腹痛] 975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의 원인[?膈反胃病因] 975
[구급(救急)] 얼어죽은 사람을 살리는 방법[救凍死] 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