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707 추천 수 0
◎ 通聖散加減法 ○ 治眼目赤腫風熱爛弦內外障?羞明?日倒睫出淚兩瞼赤爛紅筋瘀血等證通聖散(方見風門)去硝黃加甘菊細辛羌活獨活白?藜木賊蔓荊子草決明玄參蟬退[回春]

☞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 눈이 피지고 부은 것과 풍열로 눈시울이 진무는 것, 내장, 외장, 예막,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 속눈썹이 말려들어가 눈물이 나오는 것, 눈꺼풀이 벌겋게 진무는 것, 눈에 핏발이 서거나 피가 몰린 것에는 통성산(通聖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망초와 대황을 빼고 단국화(감국), 세신, 강활, 독활, 백질려,목적,순비기열매(만형자), 결명씨(초결명), 현삼, 선퇴을 넣어 쓴다[회춘].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독(丹毒)/피부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귀가 먹은 것[耳聾]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통성산(通聖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줌(小便)] 임병(淋病)에는 8가지가 있다[淋病有八] 794
[오줌(小便)] 고림(膏淋) 933
[오줌(小便)] 사림(沙淋) 931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1124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7
[오줌(小便)] 고병백음(蠱病白淫) 813
[오줌(小便)] 포비증(?痺證) 765
[오줌(小便)]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1361
[오줌(小便)] 교장증(交腸證) 894
[오줌(小便)] 소변이 많고 적은 것[小便多寡] 637
[오줌(小便)] 마신 뒤에 곧 소변이 나오는 것[飮後卽小便] 809
[오줌(小便)] 단방(單方)/오줌 702
[오줌(小便)] 침뜸치료[鍼灸法]/오줌 770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7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80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8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