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707 추천 수 0
◎ 通聖散加減法 ○ 治眼目赤腫風熱爛弦內外障?羞明?日倒睫出淚兩瞼赤爛紅筋瘀血等證通聖散(方見風門)去硝黃加甘菊細辛羌活獨活白?藜木賊蔓荊子草決明玄參蟬退[回春]

☞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 눈이 피지고 부은 것과 풍열로 눈시울이 진무는 것, 내장, 외장, 예막,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 속눈썹이 말려들어가 눈물이 나오는 것, 눈꺼풀이 벌겋게 진무는 것, 눈에 핏발이 서거나 피가 몰린 것에는 통성산(通聖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망초와 대황을 빼고 단국화(감국), 세신, 강활, 독활, 백질려,목적,순비기열매(만형자), 결명씨(초결명), 현삼, 선퇴을 넣어 쓴다[회춘].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독(丹毒)/피부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귀가 먹은 것[耳聾]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통성산(通聖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물고기(魚部)] 즉어(?魚, 붕어) 768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물고기(魚部)]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37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9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628
[짐승(獸部)] 야저황(野猪黃) 야저육(野猪肉) 야저지(野猪脂) 789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짐승(獸部)]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모구육(牡狗肉) 모구혈(牡狗血) 602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