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중설(重舌)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1003 추천 수 0
◎ 重舌 ○ 附舌根而重生小舌謂之重舌鍼刺去惡血卽愈[入門] ○ 舌根下生形如舌而小謂之重舌其着頰裏及上 如此者名曰重 其着齒?上如此者名曰重?皆刺之去血可也[綱目] ○ 重舌者心脾熱盛也宜靑黛散[入門] ○ 舌腫滿口不能聲飮食不通名曰重舌蒲黃頻?患處調竹瀝尤妙黃連煎湯頻?之以瀉心火[入門] ○ 黃栢末以竹瀝調塗又百草霜焰硝滑石末酒調傅之[入門] ○ 重舌用如聖勝金錠(方見咽喉)以開關竅[得效] ○ 重舌紫雪(方見火門)和竹瀝塗之嚥其汁[綱目]

☞ 중설(重舌)

 ○ 혀 밑에 조그마한 혀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을 중설이라고 하는데 침으로 찔러 나쁜 피를 빼면 곧 낫는다[입문]. ○ 혀 밑에 조그마한 혀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을 중설(重舌)이라고 하며 볼 안과 입 천정에 나오는 것은 중악(重 )이라고 하고 잇몸에 나오는 것은 중은(重?)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 침을 놓아 피를 빼면 좋다[강목]. ○ 중설은 심(心)과 비(脾)에 열이 성한 것인데 이런 데는 청대산을 쓴다[입문]. ○ 혀가 입 안에 가득 차게 부어서 소리를 내지 못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도 중설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포황를 아픈 곳에 자주 바르면 된다. 죽력에 개어 바르면 더 좋다. 그리고 황련을 달인 물을 자주 입에 물어서 심화를 사(瀉)해야 한다[입문]. ○ 죽력에 황백가루를 개어 바르거나 백초상, 염초, 활석을 가루를 내어 술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입문]. ○ 중설 때에는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처방은 인후문에 있다)을 써서 목구멍이 막힌 것을 열어야 한다[득효]. ○ 중설에는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죽력에 타서 바르고 마신다[강목]. 

? 靑黛散 ○ 治重舌黃連黃栢各三錢靑黛馬牙硝朱砂各六分雄黃牛黃鵬砂各三分龍腦一分右爲末先以薄荷汁拭口中以藥末?之咽瘡腫亦佳[入門]
☞ 청대산(靑黛散) ○ 중설(重舌)을 치료한다. ○ 황련, 황백 각각 12g, 청대, 마아초, 주사 각각 2.4g, 웅황,우황, 붕사 각각 1.2g, 용뇌 0.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먼저 박하즙으로 입 안을 씻어 낸 다음 뿌린다. 목구멍이 헐고 부은 데도 좋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적열(積熱)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토하게 하는 약[吐藥]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반진의 예후[?疹吉凶證]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전후풍(纏喉風)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급후비(急喉痺)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혀가 부은 것[舌腫]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자설(紫雪)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청대산(靑黛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청대산(靑黛散)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18 청대산(靑黛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8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