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777 추천 수 0
◎ 口舌瘡外治法 ○ 宜茱萸散如聖散濯足法化毒法

☞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 수유산이나 여성산과 발 씻는 방법, 독을 푸는 방법 등이 있다. 

? 茱萸散 ○ 治口瘡及咽痛吳茱萸地龍等分爲末米醋入生麴調塗足心神效[得效] ○ 或只用茱萸爲末水調付足心亦愈[得效] ○ 治滿口生瘡草烏南星各一箇生薑一塊爲末每二錢醋調臨臥時貼手足心便愈[本事]
☞ 수유산(茱萸散) ○ 입 안이 헐거나 목 안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오수유, 지렁이(구인)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생누룩과 함께 쌀초[米醋]에 개어 발바닥 가운데 붙이면 잘 낫는다[득효]. ○ 오수유만 가루를 내어 물에 개서 발바닥 가운데 붙여도 낫는다[득효]. ○ 입 안이 모두 헌 것을 치료하는 데는 초오,천남성 각각 1개, 생강 1덩어리를 쓰는데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식초에 개어 자기 전에 손 발바닥 가운데 붙이면 곧 낫는다[본사]. 

? 如聖散 ○ 治小兒口瘡不能?乳巴豆一粒或二粒去皮硏爛不去油入朱砂黃丹各少許付紙上剃開兒?上髮貼在?門上如四邊起粟米泡便用溫水洗去藥更用菖蒲水洗之便安如神[簡易]
☞ 여성산(如聖散) ○ 어린이가 입 안이 헐어서 젖을 잘 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파두 1-2알. ○ 위의 약을 껍질을 버리고 짓찧어 기름을 빼지 않은 채 주사, 황단 각각 조금씩과 섞어서 종이에 발라 어린이의 숫구멍이 있는 곳의 머리털을 깎고 거기에 붙여 준다. 약을 붙인 둘레에 좁쌀알만한 물집이 생기면 더운물로 약을 씻어 버린 다음 석창포 달인 물로 씻어 주면 잘 낫는다[간이]. 

◈ 濯足法 ○ 治下虛上壅口舌生瘡白礬二三兩爲末用熱湯化以浸足半日卽效[丹心]
☞ 발을 씻는 방법[濯足法] ○ 하초가 허하고 상초가 막혀서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백반 80-120g을 쓰는데 가루를 내서 뜨거운 물에 녹인 다음 여기에 발을 한나절 동안 담그고 있으면 곧 낫는다[단심]. 

◈ 化毒法 ○ 凡口瘡無問新久夜臥將自已兩丸以手左右交?三五十遍睡覺行之三五度便差[東垣]
☞ 독을 푸는 방법[化毒法] ○ 대체로 입이 허는 것이 오래 되었거나 갓 생겼거나에 관계없이 밤에 자리에 누울 때 음낭을 두 손으로 번갈아 가면서 30-50번 비빈 다음 자고 나서 또 하는데 세번에서 다섯번 하면 낫는다[동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개선(疥癬, 옴과 버짐)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by 한닥터 *1
  3.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수유산(茱萸散)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782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2
[부종(浮腫)] 결양증(結陽證) 782
[온역(瘟疫)] 온역예방법[ 瘟疫豫防法] 78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얼굴(面)] 두드리기[按摩法] 781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1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제상(諸傷)] 여러 가지 짐승한테 상한 것[諸獸傷] 781
[잡방(雜方)]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781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잡방(雜方)] 경분을 만드는 방법[造輕粉法] 780
[기(氣)] 6자기결㈜(六字氣訣) 7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9
[용약(用藥)] 풍증, 열증, 조증, 습증, 한증을 치료하는 방법[風熱燥濕寒治法] 779
[허로(虛勞)] 단방(單方) 779
[제창(諸瘡)] 탕화상[湯火瘡] 779
[신(神)] 신병에 치료하지 못하는 증[神病不治證] 778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이빨(牙齒)] 치뉵(齒?) 778
[목구멍(咽喉)]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778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777
[발(足)] 위증의 원인[?病之因] 777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