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1452 추천 수 0
◎ 疥癬 ○ 疥瘡有五一日乾疥皮枯屑起宜吳茱萸散 ○ 二日濕疥?腫作痛流汁淋?宜一上散 ○ 三日砂疥細如砂子或痛或痒宜剪草散 ○ 四日?疥痒不知痛易於傳染宜硫黃餠 ○ 五日膿疥含漿稠膿色厚?痛宜三黃散 ○ 癬瘡亦有五一日濕癬狀如?行搔之汁出 ○ 二日頑癬全然不知痛痒 ○ 一日風癬又名乾癬搔生白屑 ○ 四日馬癬微痒白點相連 ○ 五日牛癬如牛領皮厚且堅 ○ 疥癬皆血分熱燥以致風毒剋於皮膚浮淺者爲疥深沈者爲癬疥多俠熱癬多俠濕疥狀如被介甲癬狀如走苔蘚大槪相同[入門] ○ 治疥宜升麻和氣飮一掃散神異膏如聖散油調立效散 ○ 治癬宜麻豆膏蝎猫膏胡粉散連粉散 ○ 通治疥癬宜一上散秘傳一擦光當歸飮子何首烏散蕪荑散浮萍散[諸方] ○ 凡疥痛甚加寒水石痒加黑狗脊微痒加蛇床子有?加雄黃喜溫熱加硫黃[丹心]

☞ 개선(疥癬, 옴과 버짐)

 ○ 개창(疥瘡)에는 5가지가 있다. 그 첫째는 건개(乾疥)인데 피부가 마르고 비듬이 생긴다. 이런 데는 오수유산을 쓰는 것이 좋다. ○ 둘째는 습개(濕疥)인데 이 때에는 화끈화끈하게 달고 부으며 아프고 진물이 흐른다. 이런 데는 일상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셋째는 사개(砂疥)인데 모래알 같이 작고 혹 아프거나 가렵다. 이런 데는 전초산을 쓰는 것이 좋다. ○ 넷째는 충개(蟲疥)인데 이 때에는 가렵기만 하고 아픈 것은 모른다. 그리고 이것은 쉽게 옮아가는데 유황병을 쓰는 것이 좋다. ○ 다섯째는 농개(膿疥)인데 이 때에는 잡혀 있는 물이 걸쭉하고 고름빛이 진하며 화끈화끈 달고 아프다. 이런 데는 삼황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선창(癬瘡)에도 역시 5가지가 있는데 그 첫째는 습선(濕癬)이다. 이 때에는 마치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은 감이 있는데 긁으면 그 자리에서 진물이 나온다. ○ 둘째는 완선(頑癬)인데 이 때에는 전혀 아프거나 가렵지 않다. ○ 셋째는 풍선(風癬)인데 건선(乾癬)이라고도 한다. 긁으면 흰 비듬이 생긴다. ○ 넷째는 마선(馬癬)인데 이 때에는 약간 가렵고 흰 반점이 생기면서 서로 연결된다. ○ 다섯째는 우선(牛癬)인데 이 때에는 피부가 소 목덜미 가죽처럼 두터워지고 단단해진다. ○ 옴과 버짐은 다 혈분(血分)에 열이 있어 건조해지고 피부에 풍독이 침범하여 생긴 것인데 풍독이 얕은 곳에 있으면 옴이 되고 깊이 스며들어 가면 버짐이 된다. 옴은 거의 열을 겸하고 버짐은 거의 습기를 겸한다. 옴의 모양은 게껍데기를 쓴 것 같고 버짐의 모양은 돌 이끼가 퍼진 것 같은데 대체로 비슷하다[입문]. ○ 옴을 치료하는 데는 승마화기음, 일소산, 신이고, 여성산, 유조입효산을 쓰는 것이 좋다. ○ 버짐을 치료하는 데는 마두고, 갈묘고, 호분산, 연분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옴과 버짐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일상산, 비전일찰광, 당귀음자, 하수오산, 무이산, 부평산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 대체로 옴 때에 통증이 심하면 한수석을 넣고 가려우면 쇠고비(흑구척)를 더 넣으며 약간 가려우면 사상자@)를 더 넣고 충이 있으면 석웅황을 더 넣으며 따뜻하거나 뜨거운 것을 좋아하면 유황을 더 넣어 쓴다[단심]. 

? 吳茱萸散 ○ 治乾疥及春月發者以此開鬱蛇床子三錢寒水石二錢半白礬吳茱萸各二錢黃栢大黃硫黃輕粉各一錢樟腦半錢檳?一箇右爲末香油調付[入門]
☞ 오수유산(吳茱萸散) ○ 봄철에 건개(乾疥)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 사상자@) 12g, 한수석 10g, 백반, 오수유 각각 8g, 황백, 대황, 유황, 경분 각각 4g, 장뇌 2g, 빈랑 1개.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입문]. 

? 一上散 ○ 治疥癬痛痒蛇床子炒黑狗脊(卽貫衆)白膠香寒水石各一兩枯白礬黃連各五錢雄黃三錢半硫黃吳茱萸各三錢斑猫十四箇去翅足右爲末臘猪脂或香油調先以蒼耳煎湯洗去痂後掌中擦藥令熱鼻中嗅二三次却擦瘡上一擦卽愈[丹心]
☞ 일상산(一上散) ○ 옴과 버짐으로 아프고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 사상자(볶은 것), 관중@), 백교향, 한수석 각각 40g, 백반(구운 것), 황련 각각 20g, 웅황 14g, 유황, 오수유 각각 12g, 반묘(날개와 발을 버린 것) 14개.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이나 참기름에 갠다. 그리고 먼저 도꼬마리씨(창이자)를 달인 물로 헌데를 씻고 딱지를 떼버린 다음 약을 손바닥에 발라 뜨겁게 하여 두세번 냄새를 맡고 헌데에 바르면 잘 낫는다[단심]. 

? 剪草散 ○ 治砂疥蛇床子三錢寒水石蕪荑各二錢剪刀草枯白礬吳茱萸黃栢各一錢蒼朮厚朴雄黃各五分輕粉一錢右爲末香油調付[丹心]
☞ 전초산(剪草散) ○ 사개(砂疥)를 치료한다. ○ 사상자@) 12g, 한수석, 참느릅나무열매(蕪荑) 각각 8g, 전도초, 백반(구운 것), 오수유, 황백 각각 4g, 창출, 후박, 웅황 각각 2g, 경분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입문]. 

? 硫黃餠 ○ 治?疥及喜湯火灸?者礬製硫黃一兩爲末用水調成餠貼磁椀底覆轉用熟艾一兩川椒三錢爲末火燃熏乾硫黃臨用先以藥湯水洗拭後用麻油調硫黃末擦之[入門]
☞ 유황병(硫黃餠) ○ 충개(蟲疥) 때 뜨거운 김과 불에 쪼이거나 찜질하기를 좋아하는 것을 치료한다. ○ 백반으로 법제한 유황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떡 같이 되게 개서 사기그릇 바닥에 바른다. 다음 비빈 쑥 40g과 산초 12g을 가루내어 태우면서 그 위에 사발을 엎어 놓아 유황떡이 마르게 한다. 쓸 때마다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참기름에 유황가루를 개서 바른다[입문]. 

? 三黃散 ○ 治膿疱疥瘡治熱爲主黃芩黃連大黃各三錢蛇床子寒水石各二錢白礬一錢黃丹五分輕分無名異白芷木香各三分右爲末香油調付[入門]
☞ 삼황산(三黃散) ○ 옴이 진물어 고름집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데 주로 열증[熱]을 낫게 한다. ○ 황금, 황련, 대황 각각 12g, 사상자,한수석 각각 8g, 백반 4g, 황단 2g, 경분, 무명이, 백지, 목향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입문]. 

? 升麻和氣飮 ○ 治疥瘡痛痒乾葛二錢陳皮甘草各一錢半升麻蒼朮桔梗各一錢赤芍藥七分半大黃五分半夏當歸茯?白芷各三分乾薑枳殼各二分右?作一貼入薑五片燈心十五莖水煎服[入門]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옴으로 헐어서 아프며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 갈근(乾葛) 8g, 陳皮, 감초 각각 6g, 승마, 창출, 길경 각각 4g, 작약 3g, 대황 2g, 반하, 당귀, 백복령, 백지 각각 1.2g, 건강, 지각 각각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등심 15오리[莖]와 함께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一掃散 ○ 治一切瘡疥藜蘆皮三錢蚌粉鉛粉各一錢半雄黃七分輕粉一錢右爲末?用大?魚一箇入香油煎候熟去魚?冷調藥擦瘡[得效]
☞ 일소산(一掃散) ○ 여러 가지 헌데와 옴을 치료한다. ○ 박새뿌리껍질(여로피) 12g, 진주조개가루(방분), 연분 각각 6g, 웅황 2.8g, 경분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따로 붕어(?魚, 큰 것) 1마리를 참기름에 넣고 끓여 익혀서 붕어는 버리고 여기에 약가루를 개서 헌데에 바른다[득효]. 

? 神異膏 ○ 治同上全蝎七箇?角二錢巴豆去皮七箇蛇床子末三錢雄黃?硏三錢輕粉一字淸油一兩黃蠟半兩右先用全蝎?角巴豆入油煎變色去三味入蠟熔化放冷入雄黃蛇床輕粉和勻成膏先以藥水洗瘡拭乾後乃上藥擦之神效[得效]
☞ 신이고(神異膏)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전갈 7개, 조협(조각) 8g, 파두(껍질을 버린 것) 7개, 뱀도랏열매가루(사상자) 12g, 웅황(따로 간 것), 12g, 경분 1g, 참기름 40g, 황랍 20g. ○ 위의 약들 가운데서 먼저 전갈, 조협, 파두를 참기름에 넣고 빛이 변하게 달여서 이 3가지 약은 꺼내고 거기에 황랍을 넣어 녹여서 식힌다. 여기에 석웅황, 뱀도랏열매, 경분을 넣고 반죽하여 고약을 만들어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고 바르면 효과가 신기하다[득효]. 

? 如聖散 ○ 治肺藏風變生瘡疥浸展胡粉一兩黃連七錢半蛇床子五錢水銀二錢半右爲末生麻油調塗[局方]
☞ 여성산(如聖散) ○ 폐에 있던 풍사가 전변되어 헌데나 옴이 생겨 퍼지는 것을 치료한다. ○ 호분 40g, 황련 30g, 사상자@) 20g, 수은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날참기름에 개서 바른다[국방]. 

? 油調立效散 ○ 治濕疥浸淫久不差輕粉綠礬黃栢硫黃各等分右爲末生麻油調洗瘡後塗擦[局方]
☞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 ○ 습개(濕疥)가 퍼지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경분, 녹반, 황백, 유황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날참기름에 개서 먼저 헌데를 씻은 다음 바른다[국방]. 

? 麻豆膏 ○ 通治諸癬麻油二兩入巴豆肉?麻子肉各十四粒斑猫七粒熬煎至枯黑色去滓却入白蠟五錢蘆?末三錢攪勻成膏塗擦之[入門] ○ 遍身生癬獨莖羊蹄狼?搗白礬末以米醋調成膏塗擦之加輕粉黃丹尤妙[丹心]
☞ 마두고(麻豆膏) ○ 여러 가지 버짐을 두루 치료한다. ○ 참기름(마유) 80g, 파두살, 아주까리씨(피마자) 각각 14알, 반묘 7개. ○ 위의 약들을 함께 넣고 검게 되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백랍 20g, 노회(蘆?)가루 12g을 넣고 고루 저어서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입문]. ○ 온몸에 버짐이 생긴 데는 외줄기 범싱아뿌리[獨莖羊蹄]를 따로 짓찧어 백반가루와 함께 쌀초에 개서 고약을 만들어 쓰는데 헌데에 바른다. 경분과 황단을 넣어 쓰면 더 좋다[단심]. 

? 蝎猫膏 ○ 治牛皮癬全蝎斑猫各十枚巴豆肉二十枚香油一兩右同熬候色焦者先去之去盡三物了乃入黃蠟一錢候熔收貯朝擦暮愈不損皮肉[綱目] ○ 一方治遍身牛皮癬川烏草烏何首烏白芷蘇木各等分右#?入臘猪脂同熬至白芷焦色去滓候冷入鹽少許常挑一匙空心酒調下[得效]
☞ 갈묘고(蝎猫膏) ○ 소버짐[牛皮癬]을 치료한다. ○ 전갈, 반묘 각각 10개, 파두살 20개, 참기름 40g. ○ 위의 약들을 함께 넣고 달이는데 검게 된 것부터 건져낸다. 3가지 약을 다 건져낸 다음 황랍 4g을 넣고 녹여서 보관해둔다. 이것을 아침에 바르면 저녁에 낫는데 피부는 조금도 상하지 않는다[강목]. ○ 또 한 가지 처방은 온몸에 퍼진 소버짐을 치료하는 것인데 오두(천오), 초오,하수오, 백지, 소목 각각 같은 양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굵게 썰어서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에 넣고 백지가 검누렇게 되도록 졸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힌다. 다음 소금을 조금 넣어서 늘 1 숟가락씩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 胡粉散 ○ 治癬神效胡粉硫黃雄黃各二錢半砒?一錢二分半大草烏生一箇斑猫一箇蝎梢七枚麝香少許右爲末先以羊蹄根?醋擦動患處次用藥少許擦之[得效]
☞ 호분산(胡粉散) ○ 버짐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신기하다. ○ 호분, 유황, 웅황 각각 10g, 비상 5g, 초오(크고 생것) 1개, 반묘 1개, 전갈꼬리 7개, 사향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먼저 소리쟁이뿌리(양제근)에 식초를 묻혀서 헌데에 바른 다음 약가루를 조금 바른다[득효]. 

? 連粉散 ○ 治風癬濕瘡黃連胡粉黃栢黃丹枯白礬各五錢輕粉龍骨爐甘石各五分右爲末乾?或油調塗[丹心]
☞ 연분산(連粉散) ○ 풍선(風癬)과 습창을 치료한다. ○ 황련, 호분, 황백, 황단, 백반(구운 것) 각각 20g, 경분, 용골, 노감석 각각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리거나 기름에 개서 바른다[단심]. 

? 秘傳一擦光 ○ 治疥癬及請般惡瘡神效白礬枯六錢蛇床子苦參蕪荑各五錢雄黃硫黃川椒大風子肉各二錢半輕粉樟腦各一錢右爲末生猪脂調付[正傳]
☞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 옴과 버짐, 여러 가지 악창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신기하다. ○ 백반(구운 것) 24g, 사상자,고삼,참느릅나무열매(무이) 각각 20g, 웅황, 유황, 산초(천초), 대풍자살 각각 10g, 경분, 장뇌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날돼지기름[生猪脂]에 개서 바른다[정전]. 

? 當歸飮子 ○ 治遍身疥癬腫痒流膿當歸赤芍藥川芎生地黃防風荊芥白?藜各一錢二分何首烏黃?甘草各七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入門]
☞ 당귀음자(當歸飮子)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부으며 가렵고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당귀, 적작약, 천궁, 생지황, 방풍, 형개, 백질려@) 각각 4.8g, 하수오, 황기,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何首烏散 ○ 治遍身疥癬瘙痒荊芥穗威靈仙蔓荊子??草卽??何首烏防風甘草各等分右爲末每取二錢溫酒調下[丹心]
☞ 하수오산(何首烏散)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 형개수, 위령선, 순비기열매(만형자), 진득찰(희렴), 하수오, 방풍,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 蕪荑散 ○ 治疥無問新久亦治癬白蕪荑一兩檳?吳茱萸各五錢硫黃二錢右爲末猪脂或香油調擦之[本事]
☞ 무이산(蕪荑散) ○ 옴이 갓 생겼거나 오래되었거나를 막론하고 다 치료하는데 버짐도 낫게 한다. ○ 참느릅나무열매(무이) 40g, 빈랑, 오수유 각각 20g, 유황 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돼지기름이나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본사]. 

? 浮萍散 ○ 治諸疥癬及癩瘡浮萍四兩當歸川芎赤芍藥荊芥穗麻黃甘草各二錢右?分作二貼入?白三莖豆?六十箇同煎服出汗[醫鑑]
☞ 부평산(浮萍散) ○ 여러 가지 옴과 버짐, 대풍창을 치료한다. ○ 개구리밥(부평) 160g, 당귀, 천궁, 적작약, 형개수, 마황, 감초 각각 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파밑 3대, 약전국 60알과 함께 달여 먹고 땀을 낸다[의감]. 

? 洗藥 ○ 治疥癬瘙痒生瘡細辛荊芥白芷川芎黃芩防風地骨皮甘草各等分右#末每取二兩水二大椀煎十餘沸乘溫淋?患處名曰八仙散[精義] ○ 何首烏陳艾等分濃煎浸洗治遍身疥癬[本草] ○ 冬瓜藤煎湯浸洗亦佳本草 ○ 溫泉浴最妙[本草]
☞ 씻는 약[洗藥] ○ 옴과 버짐으로 가렵고 허는 것을 치료한다. ○ 세신, 형개, 백지, 천궁, 황금, 방풍, 지골피, 감초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서 한번에 80g씩 물 큰 사발로 2사발에 넣고 10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 따뜻하게 해서 헌데를 씻는다. 일명 팔선산(八仙散)이라고도 한다[정의]. ○ 하수오과 묵은 쑥(陳艾)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진하게 달여서 거기에 몸을 담그고 씻으면 온몸의 옴과 버짐이 낫는다[본초]. ○ 동아덩굴(冬瓜藤)을 달인 물에 담그고 씻어도 좋다. ○ 온천에 목욕하는 것이 제일 좋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나두창(癩頭瘡) by
  2. 동의보감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탈항(脫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전풍(?風), 역양풍(?瘍風), 백철(白?)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방법[出牙蟲殺蟲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鼻痔]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by 한닥터 *1
  12. 회원임상례 (등업용) 피부 가려움증 by 랄라라 *1
  13. 방약합편 72. 當歸飮子(당귀음자)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신이고(神異膏)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부평산(浮萍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무이산(蕪荑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하수오산(何首烏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당귀음자(當歸飮子)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연분산(連粉散)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호분산(胡粉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갈묘고(蝎猫膏)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마두고(麻豆膏)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유조입효산(油調立 散)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일소산(一掃散)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삼황산(三黃散)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유황병(硫黃 )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전초산(剪草散)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일상산(一上散)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오수유산(吳茱萸散)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신이고(神異膏)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부평산(浮萍散)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삼황산(三黃散)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일소산(一笑散)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처방집 신이고(辛夷膏)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처방집 무이산(蕪荑散)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처방집 여성산(如聖散) by 한닥터
  41. 방약합편 154 통순산(通順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外治法] 569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84
[제창(諸瘡)] 바르거나 붙이는 약[?貼藥] 815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있는 증[難治可治證] 497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4
[제창(諸瘡)] 결핵(結核, 멍울) 1437
[제창(諸瘡)] 영류(?瘤) 1178
[제창(諸瘡)] 지류를 치료하는 방법[治脂瘤方] 539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7
[제창(諸瘡)] 감루(疳瘻) 823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91
[제창(諸瘡)] 단방(單方) 500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84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52
[제창(諸瘡)] 단방(單方) 582
[제창(諸瘡)] 침뜸치료[鍼灸法] 479
[제창(諸瘡)] 나두창(癩頭瘡) 935
[제창(諸瘡)] 인면창(人面瘡) 1807
[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1457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453
[제창(諸瘡)] 염창(?瘡) 917
[제창(諸瘡)] 단방(單方) 524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467
[제창(諸瘡)] 쏘이거나 씻는 약처방[熏洗方] 533
[제창(諸瘡)] 염창의 벌레를 없애는 법[取蟲方] 532
[제창(諸瘡)] 신장풍창(腎臟風瘡) 1236
[제창(諸瘡)] 단방(單方) 359
[제창(諸瘡)] 침음창(浸淫瘡) 415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