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1457 추천 수 0
◎ 陰蝕瘡 ○ 夫陰瘡大槪有三等一曰濕陰瘡二曰妬精瘡三曰陰蝕瘡亦曰下疳瘡也 ○ 濕陰瘡者由腎虛風濕邪氣乘之瘙痒成瘡浸淫汁出狀如疥癬 ○ 妬精瘡者由壯年久曠房室思色動慾以致敗精流入莖內陰上生瘡赤腫潰爛作臼痛痒妨悶 ○ 陰蝕瘡者由熱結下焦經絡澁滯或婦人子宮有敗精停留或月水未斷與之交合房勞後又不洗浴邪穢留滯遂令陰莖連睾丸腫痛小便如淋經久潰爛侵蝕肌肉膿血不止遂成下疳瘡久不愈則必成楊梅瘡宜服仙遺粮湯(方見上)預防之寒熱尿澁宜八正散(方見小便)濕熱甚則腫痛尿澁莖中痒痛或出白津宜龍膽瀉肝湯(方見前陰)腫潰後八物湯(方見虛勞)加柴胡梔子知母久服[入門] ○ 下疳瘡日久不愈或成便毒或損爛陽物多致危篤俗云疳瘡未已便毒復來生也[醫鑑] ○ 陰頭腫痛生瘡名爲下疳乃督任衝三脈之會其瘡一生則便毒?風瘡次第而來先宜升麻葛根湯(方見寒門)發出繼服凉血解毒丸卽愈不必服輕粉毒藥[醫鑑] ○ 妬精瘡初發在陰頭如粟拂之卽痛甚出淸膿作臼孔蝕之大痛婦人有生於玉門內正似疳蝕瘡但不痛爲異[醫鑑] ○ 治法以大豆甘草湯漬之洗毒散煎湯浴之磨風膏溫潤之[精義] ○ 通用消疳敗毒散凉血解毒丸[回春]

☞ 음식창(陰蝕瘡)

 ○ 음창(陰瘡)에는 대체로 3가지가 있는데 그 첫째는 습음창(濕陰瘡), 둘째는 투정창(妬精瘡), 셋째는 음식창(陰蝕瘡)이다. 음식창을 하감창(下疳瘡)이라고도 한다. ○ 습음창은 신기(腎氣)가 허(虛)할 때 풍습(風濕)의 사기(邪氣)가 침범하여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가렵고 헌데에서 진물이 나오므로 옴이나 버짐과 비슷하다. ○ 투정창이란 젊은 사람이 오랫동안 성생활을 하지 못하여 성욕만 동(動)하면서 정액이 사출되지 못하고 음경 속에 남아 있어서 음경에 헌데가 생긴 것을 말하는데 이 때에는 벌겋게 붓고 진물어서 푹 패이고 아프며 가려워 안타까와 한다. ○ 음식창은 열이 하초(下焦)에 몰려서 경락이 잘 돌지 못하고 막혀서 생기거나 자궁 속에 상한 정액이 머물러 있거나 월경이 끝나기 전에 성생활을 하거나 성생활을 하고 나서 씻지 않아 더러운 것이 쌓이면 생긴다. 이때는 음경에서 고환까지 붓고 아프며 소변이 임병(淋病) 때 같이 잘 나오지 않는다. 오래되면 음경이 진물면서 살이 패이고 피고름이 계속 나오다가 하감창(下疳瘡)이 된다.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반드시 양매창(楊梅瘡)이 된다. 그러므로 선유량탕(仙遺粮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어서 미리 막는 것이 좋다. 추웠다 열이 나고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는 팔정산(八正散, 처방은 소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습열이 심하고 붓고 아프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음경 속이 가려우면서 아프고 혹 뿌연 소변이 나오는 데는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부어서 터진 다음에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시호, 치자, 지모를 넣어서 오랫동안 써야 한다[입문]. ○ 하감창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변독(便毒)으로 되거나 음경이 진물어 떨어질 위험이 있다. 민간에서는 감창이 낫지 않으면 변독이 다시 생긴다고 한다[의감]. ○ 음경 끝이 붓고 아프며 헌데가 생긴 것을 하감(下疳)이라고 한다. 음경 끝은 독맥(督脈)과 임맥(任脈), 충맥(衝脈) 이 3가지 맥이 모이는 곳이므로 하감창이 한 번 생기면 변독, 여풍창(?風瘡)이 계속 생긴다. 이런 때에는 먼저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발산시키고 계속하여 양혈해독환을 쓰면 곧 낫는다. 경분같이 성질이 독한 약은 반드시 쓰지 말아야 한다[의감]. ○ 투정창(妬精瘡)이 생길 때에는 처음에 음경 끝에 좁쌀알 같은 것이 생기는데 만지면 아프다. 심하면 멀건 고름이 나오며 구멍이 나고 패여서 몹시 아프다. 부인의 음문 속에 생기는 것도 바로 감식창 비슷하나 아프지 않은 것이 다르다[의감]. ○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대두감초탕으로 축여주고 세독산을 달인 물로 씻어준 다음 마풍고를 따뜻하게 하여 적셔 주어야 한다[정의]. ○ 소감패독산, 양혈해독환도 두루 쓴다[회춘]. 

? 凉血解毒丸 ○ 治下疳瘡苦參四兩黃連二兩連翹一兩半大黃一兩二錢半惡實生乾地黃白芷各一兩防風石膏各五錢右爲末荊芥煎湯打糊和丸梧子大空心溫水下百丸[回春]
☞ 양혈해독환(凉血解毒丸) ○ 하감창을 치료한다. ○ 고삼@) 160g, 황련 80g, 연교 60g, 대황 50g, 악실,생건지황, 백지 각각 40g, 방풍, 석고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형개를 달인 물로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회춘]. 

? 消疳敗毒散 ○ 專治下疳瘡柴胡一錢半黃栢赤芍藥赤茯?木通草龍膽各九分連翹荊芥黃連蒼朮知母各七分防風獨活各六分甘草三分右?作一貼燈心一團水煎服[回春]
☞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주로 하감창을 치료한다. ○ 시호 6g, 황백, 적작약, 적복령, 목통, 용담초 각각 3.6g, 연교, 형개, 황련, 창출, 지모 각각 2.8g, 방풍, 독활 각각 2.4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洗瘡藥 ○ 凡下部諸瘡常須藥湯淋洗以去膿汁惡水宜洗疳湯大豆甘草湯洗毒散洗下疳瘡方[諸方]
☞ 헌데를 씻는 약[洗瘡藥] ○ 하체에 생긴 모든 헌데는 늘 약을 달인 물로 씻어서 고름과 진물을 없애야 하는데 세감탕, 대두감초탕, 세독산과 하감창을 씻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 洗疳湯 ○ 治下疳瘡川鍊子黃連瓦松川椒?根艾葉右等分煎水以靑布?洗立效[醫鑑]
☞ 세감탕(洗疳湯) ○ 하감창을 치료한다. ○ 고련자(川練子), 황련, 와송(瓦松), 산초(천초), 파뿌리(총백), 약쑥잎(애엽)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달인 물에 쪽물 들인 천을 적셔서 씻으면 곧 효과가 난다[의감]. 

? 大豆甘草湯 ○ 治陰蝕下疳瘡甘草一兩赤皮?三莖黑豆一合槐條一握右濃煎取淸候溫浸浴日二[精義]
☞ 대두감초탕(大豆甘草湯) ○ 음식창, 하감창을 치료한다. ○ 감초 40g, 껍질이 붉은 파 3대, 검정콩(흑두) 1홉, 홰나무가지(괴조) 1줌. ○ 위의 약들을 진하게 달여서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받아 따뜻하게 하여 하루 두번 목욕한다[정의]. 

? 洗毒散 ○ 治陰蝕瘡及諸般惡瘡蛇床子地骨皮大?麻黃荊芥防風枯白礬各三錢?白三莖煎湯溫洗[丹心]
☞ 세독산(洗毒散) ○ 음식창과 여러 가지 악창을 치료한다. ○ 사상자,지골피, 대계, 마황, 형개, 방풍, 백반(구운 것) 각각 12g, 파밑(총백) 3대. ○ 위의 약들을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씻는다[단심]. 

? 洗下疳瘡方 ○ 黃栢黃連當歸白芷獨活防風朴硝荊芥各三錢入銅錢五十文烏梅五箇鹽一匙同煎取湯日洗四五次乃付?藥[入門]
☞ 하감창을 씻는 약[洗下疳瘡方] ○ 황백, 황련, 당귀, 백지, 독활, 방풍, 박초, 형개, 각각 12g, 동전 50잎, 오매 5개, 소금 1숟가락. ○ 위의 약들을 함께 넣고 달인 물로 하루 네다섯번 씻은 다음 붙이거나 뿌리는 약을 쓴다[입문]. 

? ?付藥 ○ 藥水淋洗後乃用?付之藥宜栢蛤散津調散鳳衣散旱螺散截疳散(方見上)珍珠散磨風膏或?或付[諸方]
☞ 뿌리거나 붙이는 약[?付藥] ○ 약물로 씻은 다음에 뿌리는 약을 쓰는데 백합산, 진조산, 봉의산, 한라산, 절감산(截疳散, 처방은 위에 있다), 진주산을 뿌리거나 마풍고를 붙이는 것이 좋다. 

? 栢蛤散 ○ 治下疳濕瘡黃栢以磁鋒刮取末蛤粉右末等分?上卽愈盖黃栢去熱蛤粉燥濕也[入門]
☞ 백합산(栢蛤散) ○ 하감습창(下疳濕瘡)을 치료한다. ○ 황백(사기조각으로 긁어서 가루낸 것), 합분@)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섞어서 헌데에 뿌리면 곧 낫는다. 황백은 열을 내리고 조가비가루는 습을 말린다[입문]. 

? 津調散 ○ 治妬精瘡黃連款冬花等分右爲末先以地骨皮蛇床子煎水洗拭乾乃津調付[入門]
☞ 진조산(津調散) ○ 투정창을 치료한다. ○ 황련, 관동화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먼저 지골피와 사상자@)를 달인 물로 헌데를 씻고 닦아 말린 다음 침에 개서 붙인다[입문]. 

? 鳳衣散 ○ 治下疳瘡鳳凰衣?[卽鷄抱卵殼]黃丹各一錢輕粉片腦各少許右爲末乾?或鴨子淸調付[入門]
☞ 봉의산(鳳衣散) ○ 하감창을 치료한다. ○ 병아리 깐 달걀껍질(구운 것), 황단 각각 4g, 경분, 용뇌 각각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린다. 혹은 오리알 흰자위에 개어 붙인다[입문]. 

? 旱螺散 ○ 治同上白田螺殼?入腦麝輕粉各少許右爲末香油調?[入門] ○ 治妬精瘡溪港中陳久殼爲炒[得效]
☞ 한라산(旱螺散)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흰우렁이껍질(백전라각, 구운 것), 용뇌, 사향, 경분 각각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입문]. ○ 투정창을 치료하는 데는 개울에서 오랫동안 묵은 우렁이껍질이 좋다[득효]. 

? 珍珠散 ○ 治下疳瘡黃連黃栢乳香沒藥孩兒茶輕粉鉛粉五倍子炒眞珠象牙各等分爲末以米?洗後?上[醫鑑]
☞ 진주산(珍珠散) ○ 하감창을 치료한다. ○ 황련, 황백, 유향, 몰약, 해아다, 경분, 연분, 오배자(볶은 것), 진주, 상아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쌀 씻은 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뿌린다[의감]. 

? 磨風膏 ○ 治陰蝕瘡蛇床子五錢大風子十四箇杏仁二十箇枯白礬樟腦各二錢川椒輕粉水銀各三錢雄黃一錢半銀?一錢右爲末生麻油和丸彈子大每用少許呵洋遍擦之[入門]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을 치료한다. ○ 사상자@) 20g, 대풍자 14개, 행인 20개, 백반(구운 것), 장뇌 각각 8g, 산초(천초), 경분, 수은 각각 12g, 웅황 6g, 은주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날참기름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조금씩 입김으로 녹여서 바른다[입문]. 

? 一方 ○ 治下疳瘡幷玉莖蝕了盡用此藥也長出來如初只小元首耳黑鉛五錢化開投汞二錢半硏不見星入寒水石三錢半輕粉二錢半鵬砂一錢右爲極細末先以?艾椒煎水洗患處乾?之亦治舌被人咬斷有效如神[回春]
☞ 또 한 가지 처방 ○ 하감창으로 음경이 거의 다 패어들어갔을 때 이 약을 쓰면 아무는데 음경의 길이는 처음과 비슷하게 되나 끝은 본래보다 좀 작아진다. 흑연 20g(녹여서 수은 10g과 섞어 반짝거리는 빛이 없을 때까지 간다), 한수석 14g, 경분 10g, 붕사 4g. ○ 위의 약들을 아주 부드럽게 가루내서 먼저 파(총)나 약쑥(애)이나 산초(초)를 달인 물로 상처를 씻은 다음 마른 채로 뿌린다. 또한 물려서 혀가 끊어진 것을 치료하여도 효과가 신기하다[회춘]. 

? 又方 ○ 治年少陽道興强當泄不泄不泄强泄脹斷嫩皮初如鍼眼畏疼不敢泄刮日久連莖潰爛痛楚曰甚用荊芥黃栢甘草生?地骨皮煎水洗去膿?以訶子燒灰入麝香少許乾?患處仍斷房事臨睡喫冷水勿令陽道興起脹斷瘡??堅自安矣[得效]
☞ 또 한 가지 처방 ○ 젊은이는 음경이 일어서고 정액이 반드시 나와야 하는데 나오지 않는다고 하여 억지로 나오게 하면 음경 꺼풀이 부풀어오르는 작은 부스럼이 생긴다. 이때에 아픈 것이 두려워 짜버리지 않고 오랫동안 두면 커지고 진물면서 몹시 아프다. 이런 것을 치료한다. ○ 형개, 황백, 감초, 생파(생총), 지골피. ○ 위의 약들을 달인 물로 고름과 헌데 딱지를 씻은 다음 가자 태운가루와 사향 조금을 섞어서 마른 채로 헌데에 뿌린다. 그 다음 성생활을 하지 말며 잠잘 때에 찬물을 마셔서 음경이 일어서 헌데 딱지가 터지는 일이 없게 하면 딱지가 굳어지면서 낫는다[득효]. 

? 又方 ○ 莖頭三五孔小漏瘡出血微膿油髮灰津唾調付仍米飮調服一錢甚妙[直指] ○ 外腎疳瘡鷄卵殼黃連輕粉爲末香油調塗[得效] ○ 妬精瘡陰蝕瘡油髮靑黛麝香少許右爲末或?或津唾調付[精義] ○ 陰莖上生瘡取月經布燒灰蜜調塗卽愈[入門] ○ 下疳瘡蝸牛焙乾枯白礬爲末濕則乾?或油調付[回春]
☞ 또 한 가지 처방 ○ 음경 끝에 3-5개의 작은 누창이 생겨 피고름이 나오는데 고름이 적게 나올 때에는 난발회를 물에 개어 붙인 다음 연이어 4g을 미음에 타서 먹으면 잘 낫는다[직지]. ○ 음낭에 감창이 생긴 데는 달걀껍질(난각), 황련, 경분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득효]. ○ 투정창, 음식창에는 기름 먹은 머리칼, 청대, 사향을 조금 가루내어 뿌리거나 물에 개어 붙인다[정의]. ○ 하감창에 달팽이(와우,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백반(구운 것)을 가루내어 쓰는데 헌데가 습하면 마른 채로 뿌리거나 기름에 개서 바른다[회춘].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수장한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감기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4. 회원임상례 (등업용) 자궁선근증 케이스 by 니주구리
  5. 방약합편 팔물탕 , 八物湯, Palmul-tang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용담사간탕 龍膽瀉肝湯 by 한닥터
  7. 방약합편 승마갈근탕 升摩葛根湯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등업용) 만성 알러지 비염 by 드디어 *1
  9. 방약합편 HK227 八正散(팔정산)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HK226 八物湯(팔물탕)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HK160 龍膽瀉肝湯(룡담사간탕)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HK137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by 한닥터
  13. 기본방 모음 299. 八正散(팔정산)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242. 百合散(백합산)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妄]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자수(子嗽)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유산[半産]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27. 동의보감 염창(?瘡) by
  28. 동의보감 천포창(天疱瘡)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30. 동의보감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by 한닥터 *1
  34. 동의보감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하초열(下焦熱)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陰縱陰縮]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근산에 쓰는 약[筋疝藥]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색택증(索澤證)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은진(?疹)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發?候]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건협통(乾脇痛)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유옹(乳癰)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입맛이 짠 것[口鹹]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外治法] 569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84
[제창(諸瘡)] 바르거나 붙이는 약[?貼藥] 815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있는 증[難治可治證] 497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4
[제창(諸瘡)] 결핵(結核, 멍울) 1437
[제창(諸瘡)] 영류(?瘤) 1178
[제창(諸瘡)] 지류를 치료하는 방법[治脂瘤方] 539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7
[제창(諸瘡)] 감루(疳瘻) 823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91
[제창(諸瘡)] 단방(單方) 500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84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52
[제창(諸瘡)] 단방(單方) 582
[제창(諸瘡)] 침뜸치료[鍼灸法] 479
[제창(諸瘡)] 나두창(癩頭瘡) 935
[제창(諸瘡)] 인면창(人面瘡) 1807
[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1457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453
[제창(諸瘡)] 염창(?瘡) 917
[제창(諸瘡)] 단방(單方) 524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467
[제창(諸瘡)] 쏘이거나 씻는 약처방[熏洗方] 533
[제창(諸瘡)] 염창의 벌레를 없애는 법[取蟲方] 532
[제창(諸瘡)] 신장풍창(腎臟風瘡) 1236
[제창(諸瘡)] 단방(單方) 359
[제창(諸瘡)] 침음창(浸淫瘡) 415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