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한닥터 2011.08.19 조회 수 872 추천 수 0
◎ ?證治法 ○ 心下?須用枳實炒黃連 ○ 如稟實氣實而?宜枳實黃連靑皮陳皮枳殼 ○ 如稟弱氣弱飮食不化而?宜白朮山査神麴麥芽陳皮 ○ 如肥人心下?乃濕痰宜蒼朮半夏縮砂茯?滑石 ○ 如瘦人心下?乃鬱熱宜枳實黃連葛根升麻 ○ 如感寒食不化心下?宜藿香草豆?縮砂吳茱萸 ○ ?挾血成?囊宜桃仁紅花香附大黃[丹心] ○ 王道消補不輕吐下故古人治?用黃連黃芩枳實之苦以泄之厚朴生薑半夏之辛以散之人參白朮之甘溫以補之猪?茯?澤瀉之淡以?之大?與濕同治使上下分消其濕可也[正傳] ○ 傷寒本無?應發汗醫反下之遂成?枳實理中丸(方見上)最良審知是?先用桔梗枳殼湯尤妙枳桔能行氣故也[活人] ○ 盖?自血中來治?獨益脾土以血藥治之其法無以加矣[海藏]

☞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 명치 밑이 더부룩한 데는 반드시 지실(볶은 것), 황련을 써야 한다. ○ 만일 체질이 든든하고 기운이 실한 데도 비증이 생겼으면 지실, 황련, 청피, 지각을 쓴다. ○ 만일 체질이 약하고 기운도 약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면서 더부룩한 데는 백출, 산사, 신국, 맥아,陳皮를 쓴다. ○ 만일 살찐 사람의 명치 밑이 더부룩한 것은 습담(濕痰)이므로 창출, 반하, 사인, 솔풍령(복령), 활석을 쓴다. ○ 만일 여윈 사람의 명치 밑이 더부룩한 것은 열이 몰린 것이므로 지실, 황련, 갈근, 승마를 쓴다. ○ 만일 찬 기운에 감촉되어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명치 밑이 더부룩하면 곽향, 초두구, 사인, 오수유를 쓴다. 비증에 어혈이 겹쳐서 주머니가 생긴 데는 도인, 잇꽃(홍화), 향부자, 대황을 쓴다[단심]. ○ 치료는 마땅히 소화시키고 보해야 한다. 경솔히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비증을 치료하는 데 황련, 황금, 지실 등의 쓴 약을 써서 배설시키고 후박, 생강, 반하 등의 매운 약으로 헤치며 인삼, 백출 등의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저령, 백복령, 택사 등의 싱거운 약으로 스며나가게 하였다. 대체로 습과 같이 치료하여 습이 아래위로 갈라져 없어지게 해야 한다[정전]. ○ 상한에는 원래 비증이 없다. 그러나 땀을 내야 할 때 의사가 오히려 설사를 시켜서 비증이 생긴 데는 지실이중환(枳實理中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 비증이 확실하면 먼저 길경지각탕을 쓰는 것이 더 좋다. 그것은 지각, 길경이 기를 잘 돌게 하기 때문이다[활인]. ○ 대체로 비증은 혈병(血病)에서부터 생기므로 비증을 치료하는 데 비토(脾土)만 보할 것이 아니라 혈병을 치료하는 약을 넣으면 더할 나위없이 좋다[해장].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046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한실결흉(寒實結胸)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결흉(結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흉비(胸?)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대변불통(大便不通)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기로 생긴 통증[氣痛]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지실이중원(枳實理中元)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134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84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40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