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胸)

흉비(胸?)

한닥터 2011.08.19 조회 수 1815 추천 수 0
◎ 胸? ○ 胸滿而不痛者爲?滿而痛者爲結胸?悶比之結胸爲輕始末用藥俱同但有輕重之殊耳[入門] ○ ?者心下滿而不痛是也太陰濕土主壅塞乃土來心下而爲?也傷寒下之早亦爲?乃寒傷榮血心主血邪入於本故爲心下?仲景瀉心湯數方皆用黃連瀉心下之土邪其效如響應?[東垣] ○ 酒積雜病下之過亦作?盖胸中之氣因虛而下陷于心之分野故致心下?宜升胃氣以血藥兼之若全用氣藥導之則氣愈下降必變爲中滿鼓脹矣[東垣] ○ ?滿與脹滿不同脹滿內脹而外亦形?則內覺?悶而外無脹急之形也盖由陰伏陽蓄氣血不運而成位于心下之中塡滿?塞皆土邪之所爲耳[丹心] ○ 內經曰太陰所至爲積飮?隔 ○ ?者否也如易所謂天地不交之否內柔外剛萬物不通之義也物不可以終否故?久則成脹滿而莫能療焉[正傳] ○ ?者胸膈飽悶而不舒暢也[醫鑑] ○ 寒?枳實理中元熱?加減陷胸湯痰?柴梗半夏湯?痛瓜蔞實丸久?黃連消?丸食已心下?平補枳朮丸虛?枳實消?丸飮食不消?橘皮枳朮丸(方見內傷)或二陳湯(方見痰飮)加山査神麴麥芽陰伏陽蓄爲?香砂養胃湯加味枳朮丸(方見上) ○ 通用桔梗枳殼湯解鬱和中湯二陳湯加減

☞ 흉비(胸?)

 ○ 가슴이 그득하면서 아프지 않은 것은 비(?)라 하고 그득하고 아픈 것은 결흉(結胸)이다. 더부룩하고 답답한 것이 결흉에 비하면 경(輕)하다. 흉비 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약 쓰는 법이 결흉과 같으면서도 다만 경중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입문]. ○ 비란 명치 아래가 그득하면서도 아프지 않은 것이다. 태음습토(太陰濕土)가 주로 막히는데 습토가 명치 아래에서 막히면 비가 된다. 상한에 설사를 너무 일찍 시켜도 역시 비가 된다. 이것은 한기가 영혈(榮血)을 상하게 한 것이다. 심(心)은 피를 주관하는데 사기가 피의 기본으로 되는 심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명치 밑이 더부룩한 것이다. 중경은 몇 가지 사심탕 처방에다 모두 황련을 넣어서 명치 아래에 있는 습토의 사기를 몰아내어 모두 효과를 보았다[동원]. ○ 주적(酒積)과 잡병(雜病)에 너무 지나치게 설사시켜도 역시 비가 생긴다. 대개 가슴 속의 기가 허하여 명치 쪽으로 내리처지기 때문에 명치 밑이 더부룩하게 된다. 이때는 위기(胃氣)를 끌어올려 주는 약을 쓰면서 혈병을 치료하는 약을 겸해 써야 한다. 만일 전적으로 기에 쓰는 약만을 쓰면 기는 점점 더 내리처져서 반드시 배가 그득해지거나 팽팽하게 불러 오르게 된다[동원]. ○ 비만(?滿)과 창만(脹滿)은 같지 않다. 창만은 뱃속이 부르면서 겉으로 나타나고 비만은 속으로는 더부룩하고 답답하나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다. 이것은 음이 잠복되고 양이 쌓여서 기혈(氣血)이 잘 돌아가지 못하고 명치 아래에 머물러 있어서 그득 차고 꽉 막힌 것이다. 이것은 모두 습토(濕土)의 사기(邪氣) 때문이다[단심]. ○ 『내경』에는 "태음습토가 작용하면 적음(積飮)과 비격(?隔)이 된다"고 씌어 있다. ○ 비(?)는 막힌다[否]는 것이다. 비유하면 『주역(周易)』에 "하늘과 땅 기운이 서로 통하지 못한 결과 막혀서 속은 부드럽고 겉은 강해서 만물이 통하지 못한다"고 한 의미와 같다. 물체들은 끝까지 막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비만이 생겨 오래되면 창만이 되어 치료할 수 없게 된다[정전]. ○ 비(?)는 가슴이 더부룩하면서 답답하여 시원치 못한 것이다[의감]. ○ 한비(寒?)에는 지실이중원을 쓰고 열비(熱?)에는 가미함흉탕을 쓴다. 담비(痰?)에는 시경반하탕을 쓰고 비(?)로 아픈 데는 과루실환을 쓴다. 오래된 비(?)에는 황련소비환을 쓴다. 음식을 먹고 난 뒤에 곧 명치끝이 더부룩한 데는 평보지출환을 쓰고 허비(虛?)에는 지실소비환을 쓴다.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더부룩한 데는 귤피지출환(橘皮枳朮丸,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이나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산사, 신국, 맥아@)을 더 넣어 쓴다. 음이 잠복되고 양이 쌓여 비가 된 데는 향사양위탕, 가미지출환(加味枳朮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 두루 쓰는 처방으로는 길경지각탕, 해울화중탕, 이진탕에 가감하는 것들이 있다. 

? 枳實理中元 ○ 治寒實?滿枳實?炒人參白朮白茯?乾薑?甘草灸各等分右爲末蜜和一兩作四丸熱湯化下[得效] ○ 傷寒結胸心胸?痛手不得近氣欲絶陷胸湯丸皆不效用此如神[綱目]
☞ 지실이중원(枳實理中元) ○ 한실비만(寒實?滿)을 치료한다. ○ 지실(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인삼, 백출, 백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4알을 만들어 뜨거운 물에 풀어 먹는다[득효]. ○ 상한(傷寒)에 결흉(結胸)으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파서 손을 가까이 댈 수 없으며 숨이 끊어지려는 데는 함흉탕이나 함흉환을 써서 다 효과가 없을 때 이 약을 쓰면 잘 낫는다[강목]. 

? 加味陷胸湯 ○ 治熱?胸膈滿痛桔梗枳殼各一錢五分半夏黃芩黃連瓜蔞仁麥門冬各一錢右?作一貼薑五片水煎服[醫林]
☞ 가미함흉탕(加味陷胸湯) ○ 열비(熱?)로 가슴이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길경, 지각 각각 6g, 반하, 황금, 황련, 과루인, 맥문동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림]. 

? 柴梗半夏湯 ○ 治痰熱盛胸?脇痛柴胡二錢瓜蔞仁半夏黃芩枳殼桔梗各一錢靑皮杏仁各八分甘草四分右?作一貼薑三片水煎服[入門]
☞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담열(痰熱)이 성해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시호 8g, 과루인, 반하, 황금, 지각, 길경 각각 4g, 청피, 행인 각각 3.2g, 감초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 瓜蔞實丸 ○ 治胸?痛徹背喘急妨悶瓜蔞仁枳殼半夏製桔梗各一兩右爲末薑汁糊和丸梧子大薑湯下五七十丸[濟生] ○ 瓜蔞仁潤肺降痰枳殼破滯氣半夏燥濕桔梗開膈載藥可謂善治?悶喘急矣然痰因火動加黃連尤妙[丹心]
☞ 과루실환(瓜蔞實丸) ○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이 잔등까지 뻗치며 숨이 몹시 차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 과루인, 지각, 반하(법제한 것), 길경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제생]. ○ 과루인는 폐를 눅여 주며 담을 삭히고 지각은 몰린 기를 헤치며 반하는 습을 말리고 길경는 가슴을 잘 통하게 하는 동시에 약 기운을 이끌어 올라가므로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숨이 몹시 찬 것을 잘 치료할 수 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담(痰)으로 화(火)가 동한 데는 황련을 더 넣어 쓰는 것이 더욱 좋다[단심]. 

? 黃連消?丸 ○ 治心下?久不愈黃芩黃連炒各六錢枳實?炒五錢半夏製四錢薑黃白朮澤瀉各三錢人參陳皮厚朴各二錢猪?一錢半縮砂乾薑神麴甘草各一錢右爲末蒸餠和丸梧子大白湯下百丸[丹心] ○ 一名大消?丸
☞ 황련소비환(黃連消?丸) ○ 명치 밑이 더부룩하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금, 황련(볶은 것) 각각 24g, 지실(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20g, 반하(법제한 것) 16g, 강황, 백출, 택사 각각 12g, 인삼, 陳皮, 후박 각각 8g, 저령 6g, 사인, 건강, 신국,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 일명 대소비환(大消?丸)이라고도 한다. 

? 平補枳朮丸 ○ 治食已心下?去痰健脾調中白朮三兩白芍藥一兩半陳皮枳實黃連各一兩人參木香各五錢右爲末荷葉濃煎湯煮糊和丸梧子大米飮下百丸[入門] ○ 白朮補脾氣爲君白芍藥補脾血爲臣陳皮枳實消?黃連淸熱以爲佐人參補氣木香調氣以爲使如此則平補氣血均去痰火兼通氣道則病邪日消而脾胃日壯矣[丹心]
☞ 평보지출환(平補枳朮丸) ○ 밥 먹은 뒤에 명치 밑이 트직한 것을 치료하는데 담(痰)을 없애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속을 고르게 한다. ○ 백출 120g, 백작약 60g, 陳皮, 지실, 황련 각각 40g, 인삼, 목향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연잎을 진하게 달인 물에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 백출는 비기(脾氣)를 보하므로 군약으로 하였고 백작약는 비혈(脾血)을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陳皮과 지실은 더부룩한 것을 없애고 황련은 열을 내리므로 좌약(佐藥)으로 하였다. 인삼은 기를 보하며 목향은 기를 고르게 하므로 사약(使藥)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니 기혈(氣血)을 고르게 보하고 담화(痰火)가 없어진다. 겸하여 기가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여 사기는 날을 따라 없어지고 비위(脾胃)는 날마다 든든하여진다[단심]. 

? 枳實消?丸 ○ 治心下虛?惡食懶倦右關脈弦枳實黃連各五錢厚朴四錢半夏麴人參白朮各三錢乾生薑白茯?麥芽甘草各二錢右爲末蒸餠和丸梧子大白湯下百丸空心[入門] ○ 一名失笑丸[東垣]
☞ 지실소비환(枳實消?丸) ○ 명치 밑이 허해서 더부룩하고 음식을 싫어하며 몸이 나른하고 오른쪽 관맥(關脈)이 현한 것을 치료한다. ○ 지실, 황련 각각 20g, 후박 16g, 반하국, 인삼, 백출 각각 12g, 생강(말린 것), 백복령, 맥아,감초 각각 8.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 일명 실소환(失笑丸)이라고도 한다[동원]. 

? 香砂養胃湯 ○ 治陰伏陽蓄而爲?滿能調養脾胃升降陰陽成天地交之泰白朮陳皮半夏白茯?各一錢香附子縮砂木香枳實藿香厚朴白豆?各七分甘草三分右?作一貼薑三片棗二枚水煎服加味枳朮丸同功[回春]
☞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 음기가 잠복하고 양기가 쌓여서 비만(?滿)이 된 것을 치료하는데 비위(脾胃)를 고르게 보양하고 음양(陰陽)을 잘 오르내리게 하여 하늘과 땅기운이 서로 통해서 편안하게 된다. ○ 백출, 陳皮, 반하, 백복령 각각 4g, 향부자, 사인, 목향, 지실, 곽향, 후박, 백두구 각각 2.8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가미지출환도 효과가 같다[회춘]. 

? 桔梗枳殼湯 ○ 治?氣胸滿不利煩悶欲死不論寒熱通用又傷寒結胸胸滿欲死服之神效桔梗枳殼各二錢甘草一錢右?作一貼薑五片煎服[直指] ○ 一名枳梗湯[入門]
☞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 비기(?氣)㈜로 가슴이 그득하면서 말째고[不利] 몹시 답답하여 죽을 것 같은 데는 한증이나 열증이나 할 것 없이 다 쓴다. 또 상한결흉(傷寒結胸)으로 가슴이 그득하면서 죽을 것 같은 데 이 약을 먹으면 잘 낫는다. ○ 길경, 지각 각각 8g, 감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 일명 지경탕(枳梗湯)이라고도 한다[입문]. 
[註] 비기(?氣) : 5적병의 하나. 즉 비의 적병이다. 위완 부위에 접시를 엎어 놓은 것 같은 중물이 생긴 것. 

? 解鬱和中湯 ○ 治?滿內熱夜不安臥臥則愈悶陳皮去白一錢二分便香附赤茯?枳殼梔子炒各一錢半夏前胡各七分黃連薑汁炒神麴炒厚朴靑皮蘇子炒各五分甘草四分右?作一貼薑五片水煎服[回春]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비만(?滿)으로 속이 달아서 밤에 편안히 눕지 못하고 누우면 더욱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 陳皮(흰 속을 버린 것) 4.8g,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적복령, 지각, 산치자(볶은 것) 각각 4g, 반하, 전호 각각 2.8g,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신국(볶은 것), 후박, 청피, 자소자(볶은 것) 각각 2g, 감초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어지러움 침치료 및 보험제제(이진탕정) 치험례 by 코뮌
  2. 임상 경험방 조잡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수술후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5. 회원임상례 담수인한 고통! by 키다리의사
  6.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성 복통을 동반한 설사 치료후기 by 처음처럼
  7. 방약합편 이진탕 , 二陳湯, Yijin-tang by 한닥터
  8. 방약합편 이진탕 가감 오자 교정 by 웅이아빠 *2
  9. 회원임상례 (등업용)이진탕 증상별 가미법 by 에메랄드
  10. 방약합편 이진탕 二陳湯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28 커리어우먼의 만성소화불량 by 무신방난 *1
  12. 방약합편 HH274 香砂養胃湯(향사양위탕)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HK176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HK139 柴梗半夏湯(시경반하탕) by 한닥터
  15. 기본방 모음 43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by 한닥터
  16. 기본방 모음 233.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17. 기본방 모음 135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by 한닥터
  18. 기본방 모음 이진탕 - 二陳湯 by 한닥터
  19. 기본방 모음 99 이진탕(二陳湯)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HK125 少陰人(소음인) 香砂養胃湯(향사양위탕)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HK046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HH47 柴梗半夏湯(시경반하탕) by 한닥터
  23. 동의수세보원 新定少陰人病應用要藥二十二方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담천(痰喘)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오조(惡阻)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결핵(結核, 멍울)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유주골저(流注骨疽)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식학(食?)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담학(痰?)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장담, 석가, 혈고의 증상과 치료[腸覃石 血蠱證治]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기울(氣鬱) by 한닥터 *1
  35. 동의보감 가래가 막혀서 생기는 해역[痰閉咳逆]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음식이 막혀서 생기는 해역[食塞咳逆]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담수(痰嗽)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식적수(食積嗽)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한수(寒嗽)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트림[噫氣]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5
[가슴(胸)] 가슴과 배가 같이 아픈 것[心腹竝痛] 1132
[가슴(胸)]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1674
[가슴(胸)]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1214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1
[가슴(胸)]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139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心胃痛當分虛實] 128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79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心胃痛宜吐] 852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心胃痛宜下] 958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가슴(胸)] 구흉(龜胸) 648
[가슴(胸)] 흉비(胸?) 1815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비기(?氣)에 약을 싸매는 방법 506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가슴(胸)] 결흉(結胸) 1327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699
[가슴(胸)] 소결흉(小結胸) 703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76
[가슴(胸)] 열실결흉(熱實結胸) 644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6
[가슴(胸)] 음독결흉과 양독결흉[陰陽毒結胸] 589
[가슴(胸)] 지결(支結)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