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한닥터 2011.08.19 조회 수 881 추천 수 0
◎ 寒實結胸 ○ 者身不熱口不渴只心中脹硬而痛無熱證宜枳實理中丸(方見上)甚者三物白散(方見寒門)[入門]

☞ 한실결흉(寒實結胸)

 ○ 한실결흉은 몸에는 열이 없고 갈증이 없으면서 가슴 속이 몹시 뜬뜬하고 아픈 것이다. 열이 없는 증에는 지실이중환(枳實理中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심한 데는 삼물백산(三物白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상한결흉(傷寒結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삼물백산(三物白散)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지실이중원(枳實理中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4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가슴(胸)] 흉비(胸?) 1817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1294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가슴(胸)]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526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피부(皮)] 은진(?疹) 1673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5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풍(風)]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1150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나무[木部]] 지실(枳實, 탱자열매) 지경피(枳莖皮, 탱자나무줄기의 껍질) 지근피(枳根皮, 탱자나무뿌리껍질)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