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479 추천 수 0
◎ 六辛年?流之紀 ○ 歲水不及濕乃盛行民病腫滿身重濡泄足?淸厥脚下痛宜五味子湯[三因]

☞ (9)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 이 해에는 수운[水]이 불급하기 때문에 습기(濕氣)가 성하여 병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몸이 퉁퉁 붓고 무거우며 설사가 나고 다리가 힘이 없으며 싸늘해지고[淸] 발바닥이 아프다. 이런 데는 오미자탕을 쓴다[삼인]. 

? 五味子湯 ○ 五味子附子?巴戟鹿茸山茱萸熟地黃杜?炒各一錢右?作一貼入薑七片鹽少許水煎服[三因]
오미자탕(五味子湯) ○ 오미자, 부자(싸서 구운 것), 파극, 녹용, 산수유, 숙지황, 두충(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7쪽과 소금을 약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3. 동의보감 풍한천(風寒喘)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오미자탕(五味子湯)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오미자탕(五味子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오미자탕(五味子湯)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오미자탕(五味子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기침(咳嗽)]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941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479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3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