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기(氣)를 온(溫)하게 해야 한다[溫之以氣]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73 추천 수 0
◎ 溫之以氣 ○ 內經曰形不足者溫之以氣溫者養地溫之者所以調其飮食適其起居澄心息慮從容以待其眞氣之復常也禮記所謂柔色以溫之此溫字正與彼同或以藥扶助之亦溫養也東垣乃以溫爲溫凉之溫謂宜溫藥以補元氣而瀉火邪亦賢者之一失也[丹心]

☞ 기(氣)를 온(溫)하게 해야 한다[溫之以氣]

 ○ 『내경』에는 "몸이 약하면 온(溫)하게 하라"고 씌어 있는데 온하게 한다는 것은 보양[養]하라는 뜻이다. 즉 온하게 한다는 것은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욕심을 버리고 걱정하지 말며 조용하게 있어서 진기(眞氣)가 회복되기를 기다린다는 것이다. 『예기(禮記)』에는 "얼굴빛을 유순하고 온하게 하라"고 씌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온(溫)'자는 바로 『내경』에 씌어 있는 '온(溫)'자와 같다. 약으로 보한다는 것도 역시 온하게 하여 영양[養]한다는 것이다. 동원은 '온'자를 온량(溫凉)의 '온'자와 같다고 하면서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진기[元氣]를 보하고 화사(火邪)를 사(瀉)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잘 아는 사람이 한번 실수한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후음(後陰)] 수치질[牡痔] 958
[후음(後陰)] 암치질[牝痔] 763
[후음(後陰)] 누치(瘻痔) 477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후음(後陰)] 치루(痔漏) 1750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7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후음(後陰)]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痔病治法] 643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6
[후음(後陰)] 치질 때 꺼릴 것[痔病禁忌] 587
[후음(後陰)] 치질 때 좋지 못한 증상[痔病凶證] 507
[후음(後陰)] 단방(單方)/후음 731
[후음(後陰)] 침뜸치료[鍼灸法] 538
[천지운기(天地運氣)] 의사는 반드시 하늘과 땅의 운기를 알아야 한다[醫當識天地間運氣] 661
[천지운기(天地運氣)]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595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형체[天地之形] 530
[천지운기(天地運氣)] 남극과 북극[南北極] 523
[천지운기(天地運氣)] 황도와 적도[黃赤道] 607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55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천지운기(天地運氣)] 음양의 기 가 오르내리는 것과 충실해지거나 허해지는 것[陰陽之氣升降盈虛] 63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기가 부족한 방위[天地不足之方] 571
[천지운기(天地運氣)] 4방이 다른 데 따라 알맞게 치료해야 한다[四方異宜] 495
[천지운기(天地運氣)] 지방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地理有壽夭之異]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513
[천지운기(天地運氣)] 5행의 상생, 상극이 제대로 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것[五行生剋順逆] 565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작용[六氣之化] 544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