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1099 추천 수 0
◎ 傷寒煩燥 ○ 煩乃心中懊?欲吐之貌躁則手掉足動起臥不安 ○ 心熱則煩腎熱則躁 ○ 煩爲輕躁爲重 ○ 先煩而漸燥者爲陽證不煩而便發燥者爲陰證[入門] ○ 煩主氣躁主血肺主皮毛氣熱則煩腎主津液血熱則躁故用梔子以治肺豆?以潤腎宜黃連鷄子湯甘草乾薑湯芍藥甘草湯[入門] ○ 煩燥者懊?不得眠也懊?者鬱悶不舒之貌煩者氣也火入於肺也燥者血也火入於腎也梔子?湯主之[仲景] ○ 煩者身熱也邪氣不爲汗解蒸於經絡鬱於肌表故生熱煩也[類聚] ○ 傷寒下後心煩腹滿宜梔子厚朴湯 ○ 煩躁不大便續臍痛發作有時者有燥屎也宜下之[仲景] ○ 病人脈已解而日暮微煩者以病新差人强與穀脾胃氣尙弱不能消穀故令微煩熱損穀則愈[仲景] ○ 煩躁者氣隨火升也[丹心]

☞ 상한번조(傷寒煩躁)

 ○ 번(煩)이라는 것은 가슴 속이 답답하고 토하려 하는 것이고 조(躁)라는 것은 손발을 내저으면서 일어났다 누웠다 하면서 편안치 않아 하는 것을 말한다. ○ 심(心)에 열이 있으면 번이 생기고 신(腎)에 열이 있으면 조가 생긴다. 번은 경(輕)한 것이고 조는 중(重)한 것이다, ○ 먼저 번이 나타나다가 점차 조가 나타나는 것은 양증이고 번이 나타나지 않다가 갑자기 조가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입문]. ○ 번(煩)은 주로 기(氣)로 생기고 조(燥)는 주로 혈(血)로 생긴다. 폐(肺)는 피모(皮毛)를 주관하는데 기분[氣]에 열이 있으면 번이 생기고 신(腎)은 진액(津液)을 주관하는데 혈분[血]에 열이 있으면 조가 생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산치자로 폐를 치료하고 약전국으로 신을 눅여 주어야 한다. 황련계자탕, 감초건강탕, 작약감초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번조라는 것은 오농(懊?)이 있어서 자지 못하는 것이고 오농이라는 것은 가슴이 몹시 답답하여 괴로워 못 견디는 것이다. 번(煩)이라는 것은 기와 관련된 것인데 화기(火氣)가 폐에 침입한 것이고 조(躁)라는 것은 혈(血)과 관련된 것인데 화기가 신(腎)에 침입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치자시탕을 쓴다[중경]. ○ 번이 있으면 몸에 열이 있다. 사기가 땀으로 잘 풀려 나가지 않고 경락과 피부에 몰리면 열이 나고 번이 생긴다[유취]. ○ 상한 때 설사시킨 다음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그득한 데는 치자후박탕을 쓴다. ○ 번조하면서 대변을 보지 못하고 배꼽노리가 때로 아픈 것은 변비가 있는 것이므로 설사시켜야 한다[중경]. ○ 환자의 맥이 정상으로 되고 해질 무렵이 되면 약간씩 번열(煩熱)이 나는 것은 갓 병이 나은 사람에게 억지로 음식을 먹여서 아직 약한 비위가 그것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약간씩 번열이 난다. 이때에는 음식을 조금씩 먹으면 낫는다[중경]. ○ 번조라는 것은 화(火)를 따라 위로 올라가서 생기는 것이다[단심].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작약감초탕-만능 통증해결사!② by 한닥터
  2. 명의방론 작약감초탕 – 만능 통증해결사!① by 한닥터
  3. 방약합편 작약감초탕 , 芍藥甘草湯, Jakyak gamcho-tang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치자후박탕 梔子厚朴湯方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10. 甘草乾薑湯(감초건강탕)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249. 芍藥甘草湯(작약감초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86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by 한닥터 *1
  8. 방약합편 059. 甘草乾薑湯(감초건강탕)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폐위증(肺?證)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오농과 불울[懊??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번조증이 나다가 다리가 가드라드는 것[煩躁脚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복통을 두루 치료한다[腹痛通治]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289. 梔子?湯(치자시탕)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249. 芍藥甘草湯(작약감초탕)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10. 甘草乾薑湯(감초건강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치자시탕(梔子 湯)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황련계자탕(黃連 子湯)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by 한닥터
  26. 회원임상례 (등업용) 간질성 방광염 by 큰뜰 *1
  27. 동의보감 처방집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by 한닥터
  28. 고방 처방집 치자후박탕 梔子厚朴湯方 by 한닥터
  29. 고방 처방집 치자시탕 梔子?湯方 by 한닥터
  30. 고방 처방집 작약감초탕 芍藥甘草湯方 by 한닥터
  31. 고방 처방집 감초건강탕 甘草乾薑湯方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86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용약(用藥)] 자연과 조화되는 것이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毋伐天和] 435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용약(用藥)]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汗下之戒] 404
[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441
[용약(用藥)]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471
[용약(用藥)] 보하고 사하는 묘한 비결[補瀉妙訣] 504
[용약(用藥)] 보하는 것과 사하는 것이 겸(兼)해진 것[補瀉相兼] 474
[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397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3가지 방법[治病三法] 49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5가지 방법[療病五法] 533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용약(用藥)] 자모보사[子母補瀉] 613
[용약(用藥)] 약은 간단하면서 요긴한 것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藥貴簡要] 545
[용약(用藥)] 처방을 요약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約方猶約囊] 569
[용약(用藥)] 의사는 책을 쓰지 않는다는 것[醫不著書] 517
[용약(用藥)] 통하면 아프지 않다[通則不痛] 631
[용약(用藥)] 기(氣)를 온(溫)하게 해야 한다[溫之以氣] 573
[용약(用藥)] 병은 한(寒), 습(濕), 열(熱), 조(燥)에 불과하다[人病不過寒濕熱燥] 996
[용약(用藥)] 지양은 지음으로 보좌해야 한다[至陽佐以至陰] 433
[용약(用藥)] 위기를 상하지 말아야 한다[勿傷胃氣] 435
[용약(用藥)]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1973
[용약(用藥)] 식사요법으로 병을 치료하는 것[食療治病] 432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데 8가지 중요한 것[治病八要] 430
[용약(用藥)] 보하지 말아야 할 4가지 병이 있다[病有不可補者四] 428
[용약(用藥)]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1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