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67 추천 수 0
? 動氣在左 ○ 不可發汗發汗則頭眩汗不出筋?肉?宜防風白朮牡蠣湯 ○ 不可下下之則腹內拘急食不下動氣更劇身雖有熱臥則欲?[明理]
☞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 이런 병 때에는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 땀을 내면 머리만 어지럽고 땀도 나지 않는다. 그리고 힘살이 푸들푸들 떨린다. 이런 데는 방풍백출모려탕을 쓴다. ○ 설사도 시키지 말아야 한다. 설사를 시키면 뱃속이 땅기고 음식도 내리지 않으며 동기도 더 심해지고 몸에 열이 나면서 누우면 팔다리를 구부리려고 한다[명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방풍백출모려탕(防風白朮牡蠣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1582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후음(後陰)]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987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습(濕)] 중습(中濕) 1145
[습(濕)] 풍습(風濕) 1278
[습(濕)] 습온(濕溫) 1040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2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1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
[구토(嘔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845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