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식적은 상한과 비슷하다[食積類傷寒]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713 추천 수 0
◎ 食積類傷寒 ○ 凡傷食成積亦能發熱頭痛證似傷寒宜用陶氏平胃散[入門]

☞ 식적은 상한과 비슷하다[食積類傷寒]

 ○ 대체로 음식에 체하여 적(積)이 되면 역시 열(熱)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이 상한(傷寒)과 비슷하다. 이때는 도씨평위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陶氏平胃散 ○ 蒼朮一錢半厚朴陳皮白朮各一錢黃連枳實各七分草果六分神麴山査肉乾薑木香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三水煎服[入門]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창출 6g, 후박, 陳皮, 백출 각각 4g, 황련, 지실 각각 2.8g, 초과 2.4g, 신국, 산사(산사육), 건강, 목향,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29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by 한닥터
  3. 태암 처방집 內傷食積類(내상식적류) 傷寒(상한) 陶氏平胃散(도씨평위산)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by 한닥터
  5. 방약합편 29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고기(魚部)] 팔초어(八梢魚, 문어) 711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구급(救急)] 가위눌린 것(鬼?) 710
[부인(婦人)]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喘嗽] 710
[물고기(魚部)] 해돈(海?, 곱등어) 710
[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피부(皮)] 피부와 털은 폐에 속한다[皮毛屬肺] 709
[손(手)] 손바닥을 보고 위의 상태를 알 수 있다[手掌以候胃] 709
[구급(救急)] 객오와 졸궐의 여러 가지 증상[客?卒厥諸證] 709
[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709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손(手)] 손톱을 보고 병을 알 수 있다[手瓜占病] 708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에는 먼저 피를 고르게 해야 한다[金瘡先宜調血] 708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707
[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707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잔등(背)]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706
[한(寒)] 백합증(百合證) 706
[화(火)] 화를 억제하는데 방법이 있다[制火有方] 706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물(水部)]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706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705
[언어(言語)] 웃음[笑] 705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