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혈적(血積)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1035 추천 수 0
◎ 血積 ○ 瘀血成積或因打撲或因墮落以致蓄于胸腹面黃糞黑宜用抵當湯(方見寒門)桃仁承氣湯(方見寒門)勝紅元增味四物湯三稜煎三稜煎丸(方見上)

☞ 혈적(血積)

 ○ 혈적이란 어혈로 생긴 적을 말하는데 이것은 혹 타박을 받거나 떨어져서 어혈이 생겨 가슴과 배에 몰리면 생긴다. 이때에는 얼굴이 누렇게 되고 대변이 거멓다. 이런 데는 저당탕(抵當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도인승기탕(桃引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승홍원, 증미사물탕, 삼릉전, 삼릉전환(三稜煎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87세 변비환자에 대해 조위승기탕Vs 도인승기탕 by 하니사랑
  2. 기본방 모음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4. 기본방 모음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5. 기본방 모음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6. 회원임상례 (등업용) 발목염좌 by 무사님 *1
  7. 동의보감 넘어졌거나 얻어맞았거나 떨어졌거나 깔려 상한 것[ 撲墮落壓倒傷]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중초열(中焦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태양축혈(太陽畜血)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어혈로 옆구리가 아픈 것[死血脇痛]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어혈로 허리가 아픈 것[瘀血腰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농혈리(膿血痢) by 한닥터 *1
  23. 동의보감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축혈증(蓄血證) by 한닥터
  28. 방약합편 89. 桃核承氣湯(도핵승기탕)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삼릉전(三稜煎)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승홍원(勝紅元)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저당탕(抵當湯) by 한닥터
  34. 보험 정보 도인승기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 by 한닥터
  36. 회원임상례 만성두통 (등업용) by 효림 *1
  37. 고방 처방집 저당탕 抵當湯方 by 한닥터
  38. 고방 처방집 도핵승기탕 - 도인승기탕 桃核承氣湯方 by 한닥터
  39. 방약합편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맥(脈)] 27맥 상세설명 1053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꿈(夢)] 잠을 편안하게 자지 못하는 것[臥不安] 1051
[서(暑)] 주하병(注夏病) 1050
[부인(婦人)] 혈붕(血崩) 1050
[코(鼻)] 비사(鼻?) 1049
[오장육부(五臟六腑)] 부(腑)에는 6가지가 있다[腑又有六] 1047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7
[오줌(小便)] 관격증(關格證) 1046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1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허리(腰)] 찬 기운으로 허리가 아픈 것[寒腰痛] 1040
[골(骨)] 뼈가 아픈 것[骨痛] 1040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습(濕)] 습온(濕溫) 1040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반드시 옹저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消渴須預防癰疽] 1040
[물(水部)]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1040
[혈(血)]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1038
[전음(前陰)]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陰囊濕痒] 1038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부인(婦人)] 감기[感寒] 1036
[벌레(蟲部)] 백밀(白蜜, 꿀) 1036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5
[입과 혀(口舌)]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1035
[적취(積聚)] 혈적(血積) 1035
[혈(血)] 혈(血)은 기(氣)와 짝이 된다[血爲氣配] 1034
[눈(眼)]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다[目者肝之竅] 1033
[신형(身形)] 늙는 것은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老因血衰]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