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921 추천 수 0
◎ 氣脹 ○ 宜三和湯分心氣飮(方見氣門)氣鍼元金蟾散

☞ 기창(氣脹) 치료법

 ○ 삼화탕, 분심기음(처방은 기문에 있다), 기침원, 금섬산을 쓴다. 

? 三和湯 ○ 治氣脹大小便不利白朮陳皮厚朴各一錢檳?紫蘇葉各七分半木通大腹皮白茯?枳殼海金沙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三水煎服[綱目] ○ 一名?矩三和湯[正傳]
☞ 삼화탕(三和湯) ○ 기창으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백출, 陳皮, 후박 각각 4g, 빈랑, 자소엽 각각 3g, 목통, 대복피, 백복령, 지각, 실고사리알씨(해금사),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 일명 혈구삼화탕(?矩三和湯)이라고도 한다[정전]. 

? 氣鍼元 ○ 專治氣膨薑黃靑皮各一兩木香丁香胡椒全蝎肉豆??各五錢右爲末蘿?子二兩爛硏和勻用紅酒生薑汁各少許煮糊和丸梧子大以紫蘇葉陳皮煎湯下四五十丸[得效]
☞ 기침원(氣鍼元) ○ 기창을 주로 치료한다. ○ 강황, 청피(靑皮) 각각 40g, 목향, 정향, 후추(호초), 전갈,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나복자 80g을 물크러지게 간 데 넣고 고루 갠다. 다음 이것을 홍주(紅酒)와 생강즙을 각각 조금씩 넣고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40-50알씩 자소엽과 陳皮를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 金蟾散 ○ 治氣鼓如神大蝦?一箇以縮砂推入其口使呑入腹以滿爲度用泥罐封固火?通紅烟盡取出候冷去泥細硏末爲一服或酒或陳皮湯調下候撤?多乃見其效[醫鑑]
☞ 금섬산(金蟾散) ○ 기고(氣蠱)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 큰 두꺼비(蝦?) 1마리를 잡아서 사인을 배가 부르도록 먹인 다음 단지에 넣고 진흙으로 잘 싸발라 불에 벌겋게 되도록 굽는데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구워 꺼내어 식힌다. 다음 흙을 버리고 부드럽게 가루내어 술이나 陳皮를 달인 물에 타서 단번에 먹는다. 그 다음 방귀가 많이 나가면 효과가 있다[의감].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여성 방광염 환자 치료예(염증이면 무조건 습열?) by 슬개골
  2. 방약합편 분심기음 分心氣飮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 복만, 수족부종, 대소변불리 및 신냉 케이스 by 아비시니안 *1
  4. 방약합편 HK086 分心氣飮(분심기음) by 한닥터
  5. 방약합편 004. 三化湯(삼화탕)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by 한닥터
  8. 동의보감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by 한닥터
  9. 동의보감 변비[大便秘結]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by 한닥터 *1
  11. 동의보감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41. 分心氣飮(분심기음) by 한닥터 *1
  14. 회원임상례 (등업용) 비만 처방 몇가지... by 선비 *1
  15. 회원임상례 스트레스 부종 (등업용) by 문스 *1
  16. 동의보감 처방집 금섬산(金蟾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기침원(氣鍼元)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탕(三和湯) by 한닥터
  19. 회원임상례 증미이진탕을 이용한 화병치험 1례 by 기백 *1
  20.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탕(三化湯) by 한닥터
  21. 회원임상례 분심기음 임상례(등업용)입니다 by 미도 *1
  22.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탕(三和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탕(三和湯) by 한닥터
  24. 회원임상례 소변빈삭에 관한 치험례(등업용) by 참사랑 *1
  25. 동의보감 처방집 분심기음(分心氣飮)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45 삼화탕(三和湯)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83 분심기음(分心氣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