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비옹(臂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431 추천 수 0
◎ 臂癰 ○ 臂上手陽明經分生癰此得之八風之變者傷於風者上先受之宜服白芷升麻湯[入門]

☞ 비옹(臂癰)

 ○ 팔의 수양명경(手陽明經)이 지나간 부위에 생긴 옹을 말하는데 8풍(八風)의 변화로 생긴 것이다. 왜냐하면 몸의 상체가 먼저 풍에 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백지승마탕을 쓴다[입문]. 

? 白芷升麻湯 ○ 治臂癰黃?酒黃芩各四錢生黃芩三錢白芷一錢半升麻桔梗連翹各一錢酒紅花甘草各五分右?分二貼每取一貼酒水各半煎服[東垣]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을 치료한다. ○ 황기, 황금(술로 법제한 것) 각각 16g, 황금(생것) 12g, 백지 6g, 승마, 길경, 연교 각각 4g,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한번에 1첩씩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용약(用藥)] 처방을 요약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約方猶約囊] 569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내상(內傷)] 음식으로 내상이 된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吐] 569
[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569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근(筋)]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568
[발(足)]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568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8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눈(眼)] 천곽(天廓) 567
[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567
[젖(乳)] 유현증(乳懸證) 567
[심병(審病)] 잡병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증상[雜病占死候] 567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
[괴질(怪疾)] 눈앞에 5가지 빛이 나는 물건이 보이는 것[眼見五色物] 56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잔등(背)]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背脊骨節有數] 566
[심병(審病)] 5가지 실증과 5가지 허증[五實五虛] 566
[한(汗)] 땀[汗] 566
[괴질(怪疾)] 물건이 거꾸로 보이는 것[視物倒植] 566
[천지운기(天地運氣)] 5행의 상생, 상극이 제대로 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것[五行生剋順逆] 565
[토[吐]] 토하도록 돕는 방법[助吐法] 565
[한(寒)] 태양병은 6가지로 전해진다[太陽六傳]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