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비옹(臂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431 추천 수 0
◎ 臂癰 ○ 臂上手陽明經分生癰此得之八風之變者傷於風者上先受之宜服白芷升麻湯[入門]

☞ 비옹(臂癰)

 ○ 팔의 수양명경(手陽明經)이 지나간 부위에 생긴 옹을 말하는데 8풍(八風)의 변화로 생긴 것이다. 왜냐하면 몸의 상체가 먼저 풍에 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백지승마탕을 쓴다[입문]. 

? 白芷升麻湯 ○ 治臂癰黃?酒黃芩各四錢生黃芩三錢白芷一錢半升麻桔梗連翹各一錢酒紅花甘草各五分右?分二貼每取一貼酒水各半煎服[東垣]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을 치료한다. ○ 황기, 황금(술로 법제한 것) 각각 16g, 황금(생것) 12g, 백지 6g, 승마, 길경, 연교 각각 4g,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한번에 1첩씩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얼굴(面)] 위풍증(胃風證) 1625
[코(鼻)] 비사(鼻?) 1049
[이빨(牙齒)]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941
[젖(乳)] 유옹(乳癰) 1509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9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