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거미한테 물린 것[蜘蛛咬傷]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512 추천 수 0
? 蜘蛛咬傷 ○ 蜘蛛咬人腹大如孕一身生絲羊乳飮之未幾日而平[本草] ○ 蜘蛛咬遍身成瘡取好酒飮令大醉須臾?於肉中小如米自出[本草] ○ 又靑?葉去尖納?蚓一條緊捻頭勿通氣候化水點咬處卽差[本草] ○ 蜘蛛咬人瘡中出絲屢有死者惟飮羊乳可制其毒[本草] ○ 又藍汁一椀入雄黃麝香末各一錢和之細飮其汁?點咬處有人被斑蜘蛛咬腫痛垂死得此方卽愈只服藍汁亦好[本草] ○ 蜘蛛傷土蜂燒末油和付之又取土蜂?土醋調塗之穴土居赤黑色者是蜂也[本草] ○ 又多取人尿灌瓮中坐浸其身防蛛毒入內[本草] ○ 又烏鷄屎浸酒服又取冠血塗之[本草] ○ ?白或?白搗付之又雄黃末付之又桑白皮汁塗之又蔓菁子硏油調付之又小?汁飮之[本草]

☞ 거미한테 물린 것[蜘蛛咬傷]

 ○ 거미한테 물리면 임신한 것처럼 배가 커지고 몸에서 실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런 때 양(羊)의 젖을 마시면 며칠이 지나지 않아서 편안해진다[본초]. ○ 거미한테 물려서 온 몸이 헐 때에는 좋은 술을 취하도록 마시면 조금 있다가 쌀알만한 벌레가 살 속에서 저절로 나온다[본초]. ○ 또는 푸른 파잎(청총엽)의 끝을 잘라버린 다음 거기에 지렁이(구인) 1마리를 넣고 끝을 잘 매어서 기운이 통하지 못하게 하여 두면 지렁이가 물로 되는데 이것을 물린 자리에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 거미한테 물린 자리에서 실 같은 것이 나오면 흔히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양의 젖을 먹어야 그 독을 없앨 수 있다[본초]. ○ 또는 쪽즙[藍汁] 1사발에 석웅황과 사향을 각각 4g씩 가루내어 타서 조금씩 마시고 물린 자리에 바른다. 어떤 사람이 무늬가 있는 거미한테 물려서 부으면서 아파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 이 방법을 쓰고 곧 나았다. 쪽즙만 먹어도 좋다[본초]. ○ 거미한테 물린 데는 땅벌[土蜂]을 태워 가루내어 기름에 개서 붙인다. 또한 땅벌집의 흙을 식초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 땅구멍 속에 있는 벌겋고 검은 벌이 땅벌이다[본초]. ○ 또는 오계시(烏鷄屎)를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또는 닭볏에서 피를 받아 바른다[본초]. ○ 염교나 부추의 흰밑을 짓찧어 붙인다. 또는 석웅황가루를 붙이기도 한다. 또는 상백피즙을 바른다. 또는 순나복자(만정자)를 갈아서 기름에 개어 붙인다. 또는 소계즙을 마신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80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40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풀(草部)] 석명자(?蓂子)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