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독(解毒)

여러 가지 물건에 중독된 것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百物毒]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510 추천 수 0
? 通治百物毒 ○ 人中諸物毒服萬病解毒丹最妙 ○ 又細茶白礬每取三錢末新水調服卽效名礬茶散[丹心] ○ 又五倍子爲末好酒調下三錢在上卽吐在下卽瀉[丹心] ○ 又大甘草爲極細末微炒量病人酒量多少好酒調服須臾大吐瀉雖渴不可飮水飮水則難救[丹心] ○ 臘雪水解一切毒取飮之[本草] ○ 又甘草薺?煎湯服之入口便活[本草] ○ 解諸藥毒殺諸?毒靑黛雄黃等分爲末新水調下二錢[得效] ○ 又蠶退紙燒灰新水調下一錢神效[直指] ○ 又白扁豆爲末新水調下二三錢得利卽安[得效] ○ 又犀角以水濃磨取汁服能解百毒[本草] ○ 又葛根汁又藍葉汁又人糞汁又地漿飮之[本草] ○ 又香油多飮之或吐或下神效[本草] ○ 又黑豆汁飮之又白狗屎絞汁服或燒灰和水服[本草] ○ 甘豆湯爲解毒第一[本草]

☞ 여러 가지 물건에 중독된 것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百物毒]

○ 여러 가지 물건에 중독되었을 때에는 만병해독단(萬病解毒丹)을 먹는 것이 제일 좋다. ○ 또는 작설차와 백반을 한번에 12g씩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마셔도 곧 낫는데 이것을 반다산(礬茶散)이라고 한다[단심]. ○ 또는 오배자를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에 타서 마시는데 독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곧 토하고 하초(下焦)에 있으면 설사한다[단심]. ○ 또는 굵은 감초를 아주 부드럽게 가루내어 약간 볶아서 좋은 술에 타서 마시는데 주량에 맞게 마신다. 그 다음 조금 있으면 몹시 토하고 설사하게 된다. 그리고 갈증이 있어도 물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 마시면 살릴 수 없게 된다[단심]. ○ 납설수(臘雪水)는 여러 가지 독을 푸는데 마신다[본초]. ○ 또는 감초와 모시대(薺?)를 달여서 먹어도 곧 효과가 난다[본초]. ○ 여러 가지 약독을 풀고 여러 가지 벌레독을 없애려면 청대와 석웅황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새로 길어온 물에 타 먹는다[득효]. ○ 누에알깐 종이를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깨끗한 물에 타서 먹으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직지]. ○ 또는 백편두를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물에 타서 먹고 설사를 하면 곧 편안해진다[득효]. ○ 또는 서각을 물에 진하게 갈아 마시면 여러 가지 독이 풀린다[본초]. ○ 또는 갈근즙(갈근즙)이나 쪽잎즙(남엽즙)이나 지장수를 마신다[본초]. ○ 또한 참기름을 많이 마셔도 토하거나 설사하고 곧 낫는다[본초]. ○ 또는 검정콩물을 마신다[본초]. ○ 감두탕이 독을 푸는 데는 제일이다[본초]. 

? 甘豆湯 ○ 甘草黑豆皆解百藥百物毒各取五錢作一貼水煎取汁溫冷任意服之神效或加竹葉或加薺?尤效[本草]
☞ 감두탕(甘豆湯) ○ 감초와 검정콩[黑豆]은 여러 가지 약이나 물건에 중독된 것을 푼다. 각각 20g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먹거나 차게 하여 먹으면 잘 낫는다. 여기에 죽엽이나 모시대(제니)를 넣어 쓰면 효과가 더 있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약쑥중독[艾毒]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미치광이풀중독[??毒]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철죽중독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바꽃이나 오두나 천웅이나 부자에 중독된 것[草烏川烏天雄附子毒]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감두탕(甘豆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61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8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6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옹저(癰疽)] 유주골저(流注骨疽) 752
[옹저(癰疽)] 정저(?疽) 458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옹저(癰疽)]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癰疽嘔逆] 672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726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