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자학(子?)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557 추천 수 0
◎ 子? ○ 姙婦患?寒熱往來謂之子?宜醒脾飮子露薑飮(方見?門)驅邪湯濟生石膏湯

☞ 자학(子?)

○ 임신 때 학질에 걸려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자학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성비음자(醒脾飮子), 노강음(露薑飮, 처방은 학질문에 있다), 구사탕(驅邪湯),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醒脾飮子 ○ 治子?寒?厚朴草豆?硏各五錢乾薑三分甘草二分右?作一貼入薑五棗二同煎空心服[入門]
☞ 성비음자(醒脾飮子) ○ 자학과 한학(寒?)을 치료한다. ○ 후박, 초두구(간 것) 각각 20g, 건강 1.2g, 감초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驅邪湯 ○ 治姙娠感冷發?良薑白朮草果橘紅藿香縮砂白茯?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棗二枚水煎服[丹心]
☞ 구사탕(驅邪湯) ○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을 치료한다. ○ 양강, 백출, 초과, 귤홍, 곽향, 사인, 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 濟生石膏湯 ○ 治姙娠熱?渴飮無度石膏二錢生地黃一錢半黃芩麥門冬人參知母乾葛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入烏梅一箇同煎服[丹心]
☞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 임신 때 열학(熱?)으로 갈증이 나서 찬물을 한정없이 마시는 것을 치료한다. ○ 석고 8g, 생지황 6g, 황금, 맥문동, 인삼, 지모, 갈근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烏梅)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244. 驅邪湯(구사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해학(??)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담학(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구사탕(驅邪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성비음자(醒脾飮子)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구사탕(驅邪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노강음(露薑飮)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구사탕(시호이출탕) 驅邪湯 一名柴胡二朮湯 by 한닥터
  11. 방약합편 70 노강음(露薑陰)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허번(虛煩)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虛煩不睡] 2142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81
[입과 혀(口舌)] 입술이 붓거나 허는 것[唇腫唇瘡] 1087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한(寒)] 양명증 때 땀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陽明證汗渴] 952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화(火)] 허번(虛煩) 1012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허번[?亂後虛煩] 704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황달(黃疸)] 여로달(女勞疸) 치료법 648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부인(婦人)] 자학(子?) 557
[돌[石部]] 석고(石膏)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