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감종(疳腫)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455 추천 수 0
? 疳腫 ○ 小兒疳病虛中有積身面浮腫?腹脹大宜肥兒丸脹甚者宜褐丸子[錢乙]

☞ 감종(疳腫)

○ 어린이의 감병으로 허해진 데나 적(積)이 있어 몸과 얼굴이 붓고 배가 창만한 데는 비아환(肥兒丸)이 좋고 몹시 창만한 데는 갈환자(褐丸子)를 쓰는 것이 좋다[전을].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143. 肥兒丸(비아환)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적과 벽[積癖]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감창(疳瘡) by 한닥터
  5. 방약합편 143. 肥兒丸(비아환)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비아환(肥兒丸)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갈환자(褐丸子) by 한닥터
  8. 방약합편 167 비아환(肥兒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2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잡방(雜方)] 녹각교와 녹각상을 만드는 방법[煮鹿角膠霜法] 862
[부인(婦人)] 아들인가 딸인가를 알아내는 법[辨男女法] 862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
[부인(婦人)]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863
[정(精)] 침구법[鍼灸法]/정 864
[기(氣)]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864
[맥(脈)] 맥병에 쓰는 약[脈病藥餌] 864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배(腹)] 뱃속이 좁아지는 것[腹中窄狹] 865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
[소아(小兒)] 전간(癲癎)/소아 866
[채소(菜部)] 목이(木耳, 나무버섯)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마고(?菰, 표고버섯) 석이(石耳) 균자(菌子, 땅버섯) 86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