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752 추천 수 0
◈ 粳米 ○ 됴?니?性平味甘苦無毒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 粳硬也堅硬於?米也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 갱미(粳米, 멥쌀)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거둔 것이 좋다[일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갱미(粳米, 멥쌀) 백갱미(白粳米, 멥쌀)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심병(審病)] 7진 때의 죽을 수 있는 증상[七診死候] 466
[풍(風)] 파상풍의 증상[破傷風形證] 466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466
[벌레(蟲部)] 섬여(蟾?, 두꺼비) 466
[벌레(蟲部)] 복사담(?蛇膽, 살모사쓸개) 466
[풀(草部)] 사이(?耳, 도꼬마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용약(用藥)] 약 쓰는 요령[用藥凡例] 465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풀(草部)] 진교(秦?) 464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사수(邪崇)] 도인법(導引法) 464
[제상(諸傷)] 사람에게 물려서 상한 것[人咬傷] 464
[잡방(雜方)] 전약을 만드는 방법[造煎藥法] 464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풀(草部)] 패모(貝母) 463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
[흙(土部)] 도중열진토 463
[벌레(蟲部)] 백화사(白花蛇) 463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흙(土部)] 당묵(?墨, 가마밑 검댕) 462
[잡방(雜方)] 6가지 천기를 마시는 방법[服六天氣法]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