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752 추천 수 0
◈ 粳米 ○ 됴?니?性平味甘苦無毒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 粳硬也堅硬於?米也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 갱미(粳米, 멥쌀)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거둔 것이 좋다[일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갱미(粳米, 멥쌀) 백갱미(白粳米, 멥쌀)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頸項)] 목의 치수[頸項寸數] 580
[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567
[목구멍(咽喉)] 단방(單方)/인후 646
[목구멍(咽喉)]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503
[목구멍(咽喉)]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킨 것[誤呑諸物] 520
[목구멍(咽喉)] 목에 걸린 뼈를 나오게 하는 방법[引?法] 650
[목구멍(咽喉)]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獸骨?] 705
[목구멍(咽喉)]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魚骨?] 833
[목구멍(咽喉)]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643
[목구멍(咽喉)]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咽喉閉通治] 992
[목구멍(咽喉)]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眞捷法] 905
[목구멍(咽喉)] 인후가 갑자기 막히면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咽喉急閉宜吐] 616
[목구멍(咽喉)] 인후가 갑자기 막힌 데는 침을 놓는다[咽喉急閉宜鍼] 562
[목구멍(咽喉)] 돌림후비증[天行喉痺] 658
[목구멍(咽喉)]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778
[목구멍(咽喉)] 인후가 허는 것[咽喉瘡] 989
[목구멍(咽喉)]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861
[목구멍(咽喉)]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1122
[목구멍(咽喉)] 곡적(穀賊) 537
[목구멍(咽喉)] 시인(尸咽) 530
[목구멍(咽喉)] 매핵기(梅核氣) 225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2
[목구멍(咽喉)] 전후풍(纏喉風) 904
[목구멍(咽喉)] 급후비(急喉痺) 917
[목구멍(咽喉)]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815
[목구멍(咽喉)] 인후병의 종류[咽喉病名] 615
[목구멍(咽喉)]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696
[목구멍(咽喉)] 맥 보는 법[脈法]/인후 512
[목구멍(咽喉)]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495
[목구멍(咽喉)] 인후와 회염과 설은 그 작용이 같지 않다[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