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형개(荊芥)

한닥터 2011.11.08 조회 수 587 추천 수 0
◈ 荊芥 ○ 뎡가性溫味辛苦無毒治惡風賊風遍身^^痺傷寒頭痛筋骨煩疼血勞風氣療??瘡瘍 ○ 生圃中初生香辛可啖作菜生熟食幷煎茶服能淸利頭目 ○ 取花實成穗者暴乾入藥[本草] ○ 本名假蘇以氣味似紫蘇故也[入門]

☞ 형개(荊芥)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면서[辛] 쓰며[苦] 독이 없다. 악풍(惡風), 적풍(賊風), 온몸에 감각이 없는 것,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힘줄과 뼈가 열나면서 아픈 것과 혈로(血勞), 풍기(風氣)를 치료하며 나력(??)과 창양(瘡瘍)을 낫게 한다. ○ 밭에 심는다. 어릴 때는 향기롭고 맛이 맵기 때문에 채소로 먹을 수 있는데 생으로도 먹고 익혀서도 먹는다. 또한 달여 차를 만들어 먹으면 머리와 눈이 시원하다. ○ 꽃과 씨로 이삭을 이룬 것을 베서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본초]. ○ 본래 이름은 가소(假蘇)라고 하는데 그것은 냄새와 맛이 차조기 비슷하기 때문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형개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방정리 형개(荊芥) 형개수(荊芥穗) by HaanDoctor
  3. 본초정리 형개(荊芥)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영양각(羚羊角) 영양육(羚羊肉) 632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짐승(獸部)]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호두골(虎頭骨) 호경골(虎脛骨) 호육(虎肉) 804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짐승(獸部)]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모구육(牡狗肉) 모구혈(牡狗血) 602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짐승(獸部)] 야저황(野猪黃) 야저육(野猪肉) 야저지(野猪脂) 789
[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628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9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