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당귀(當歸)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823 추천 수 0
◈ 當歸 ○ 숭엄초불휘性溫味甘辛無毒治一切風一切血一切勞破惡血養新血及主?癖婦人崩漏絶子療諸惡瘡瘍金瘡客血內塞止痢疾腹痛治溫?補五藏生肌肉 ○ 生山野或種蒔二月八月採根陰乾以肉厚而不枯者爲勝又云肥潤不枯燥者爲佳又云如馬尾者好 ○ 要破血卽使頭一節硬實處要止痛止血卽用尾[本草] ○ 用頭則破血用尾則止血若全用則一破一止卽和血也入手少陰以心主血也入足太陰以脾=血也入足厥陰以肝藏血也[湯液] ○ 氣血昏亂者服之卽定各有所當歸之功治上酒浸治外酒洗血病酒蒸痰用薑汁炒[入門] ○ 得酒浸過良[東垣]

☞ 당귀(當歸)

○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달고 매우며[甘辛] 독이 없다. 모든 풍병(風病), 혈병(血病), 허로(虛勞)를 낫게 하며 궂은 피를 헤치고[破惡血] 새 피를 생겨나게 한다. 징벽(?癖)과 부인의 붕루(崩漏)와 임신 못하는 것에 주로 쓰며 여러 가지 나쁜 창양(瘡瘍)과 쇠붙이에 다쳐서 어혈이 속에 뭉친 것을 낫게 한다.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을 멎게 하며 온학(溫?)을 낫게 하고 5장을 보(補)하며 살이 살아나게 한다.
○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데 심기도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살이 많고 여위지 않은 것이 제일 좋다. 또는 살이 많고 눅신눅신하면서[潤] 빳빳하게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고 한다. 또는 말꼬리와 같은 것이 좋다고도 한다.
○ 어혈을 헤치려[破血] 할 때는 대가리쪽에서 단단한 것[硬] 한마디를 쓰고 통증을 멎게 하거나 출혈을 멈추려고 할 때는 잔뿌리를 쓴다[본초].
○ 대가리를 쓰면 어혈을 헤치고 잔뿌리를 쓰면 출혈을 멈춘다. 만일 전체를 쓰면 한편으로는 피를 헤치고 한편으로는 피를 멈추므로 즉 피를 고르게 하는 것[和血]으로 된다. 수소음경에 들어가는데 그것은 심(心)이 피를 주관하기 때문이다. 족태음경에도 들어가는데 그것은 비(脾)가 피를 통솔하기 때문이다. 족궐음경에도 또한 들어가는데 이것은 피를 저장하기 때문이다[탕액].
○ 기혈(氣血)이 혼란된 때에 먹으면 곧 안정된다. 그것을 각기 해당한 곳으로 가게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몸웃도리병을 낫게 하려면 술에 담갔다 쓰고 겉에 병을 낫게 하려면 술로 씻어서 쓰며 혈병에 쓸 때에는 술에 축여 쪄서[蒸] 담이 있을 때에는 생강즙에 축여 볶아서[炒] 쓴다[입문].
○ 술에 담가 쓰는 것이 좋다[동원].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일당귀 Angelicae Radix JP (日當歸, Il Dang Gwi) Japanese angelica root by 한닥터
  2. 본초정리 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KP CP (當歸, Dang Gwi) Korean angelica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일당귀 Angelicae Radix JP (日當歸, Il Dang Gwi) Japanese angelica root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KP CP (當歸, Dang Gwi) Korean angelica by 한닥터
  5. 약재 정보 당귀(當歸) by 한닥터
  6. 약재 정보 Radix Angelicae Sinensis 당귀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단방정리 당귀(當歸) by HaanDoctor
  8. 본초정리 당귀(當歸)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천행반창(天行斑瘡) 378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눈(眼)] 청풍(靑風) 377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377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변증(辨證)] 3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과 6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三不治六不治] 376
[제창(諸瘡)] 과창(?瘡) 37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해독(解毒)] 여러 가지 물고기나 게를 먹고 중독된 것[諸魚毒及蟹毒] 374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제창(諸瘡)] 화반창(火斑瘡) 373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
[부인(婦人)] 그 달에 태살이 있는 곳[月遊胎殺所在] 372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새고기에 중독된 것[諸禽肉毒] 371
[기침(咳嗽)] 꺼려야 할 것[禁忌法] 37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눈(眼)] 오풍(烏風) 36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