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현삼(玄蔘)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563 추천 수 0
◈ 玄參 ○ 性微寒味苦?無毒治熱毒遊風補虛勞骨蒸傳尸邪氣消腫毒散瘤???補腎氣令人目明 ○ 苗葉似脂麻七月開花靑碧色八月結子黑色其根尖長生靑白乾卽紫黑新者潤?三月四月八月九月採根暴乾或云蒸過日乾[本草] ○ 玄參乃樞機之劑管領諸氣上下肅淸而不濁以此論之治虛中??之氣無根之火以玄參爲聖藥也[湯液] ○ 腎傷必用之足少陰腎經之君藥也酒蒸亦好[入門] ○ 我國惟慶尙道出焉未知眞否[俗方]

☞ 현삼(玄蔘)

○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 짜고[苦?] 독이 없다. 열독과 유풍(遊風)을 낫게 하고 허로증(虛勞證)을 보하며 골증(骨蒸) 전시사기(傳尸邪氣)를 없애고 종독을 삭인다. 영류(?瘤)와 나력(??)을 삭여 없애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 싹과 잎은 참깨(호마)와 비슷한데 음력 7월에 청록색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달리는데 빛이 검다. 그의 뿌리는 뾰족하고 길다. 생것은 푸르스름하고 마른 것은 자흑색이다. 새로 캔 것은 눅진눅진하며[潤] 기름기가 있다. 음력 3월, 4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 현삼은 매우 중요한 약으로써 모든 기를 통솔하여 위아래[上下]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여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 신(腎)이 상한 데는 반드시 써야 한다. 족소음신경의 주약[君藥]이다. 술에 축여 쪄서 쓰는 것이 역시 좋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다만 경상도에서 난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천행반창(天行斑瘡) 378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눈(眼)] 청풍(靑風) 377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377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변증(辨證)] 3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과 6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三不治六不治] 376
[제창(諸瘡)] 과창(?瘡) 37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해독(解毒)] 여러 가지 물고기나 게를 먹고 중독된 것[諸魚毒及蟹毒] 374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제창(諸瘡)] 화반창(火斑瘡) 373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
[부인(婦人)] 그 달에 태살이 있는 곳[月遊胎殺所在] 372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새고기에 중독된 것[諸禽肉毒] 371
[기침(咳嗽)] 꺼려야 할 것[禁忌法] 37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눈(眼)] 오풍(烏風) 36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