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건강(乾薑, 마른생강)

한닥터 2015.03.04 조회 수 120 추천 수 0

건강(乾薑, 마른생강)

성질이 몹시 열[大熱]하고 맛이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 6부를 잘 통하게 하고 팔다리와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하며 풍, 한, 습비를 몰아낸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과 찬 기운으로 명치가 아픈 것,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비위를 덥게 하고 오래된 식체를 삭히며 냉담(冷痰)을 없앤다.

○ 생강으로 건강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자세한 것은 잡방문(雜方門)에 있다).

○ 물에 씻어서 싼 다음 약한 불에 구워 쓴다. 싸서 구운 것은 속을 덥히고[溫] 생것은 발산시킨다. 피를 멎게 하려면 새까맣게 되도록 볶아서[炒] 써야 한다[탕액].

○ 건강을 많이 쓰면 정기(正氣)가 줄어드는데 이렇게 된 때에는 생감초를 써서 완화시켜야 한다[단심].

○ 건강을 불에 법제하면 약 기운이 머물러 있게 된다. 그러므로 속이 찬 증이 치료된다[단심].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건 강 (乾薑, Zingiberis Rhizoma)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건 강 (乾薑, Zingiberis Rhizoma)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건강(乾薑)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단방정리 건강(乾薑) by HaanDoctor
  6. 본초정리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심장(心臟)]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1592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심장(心臟)] 심장에 대한 도인법[心臟導引法] 815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비장(脾臟)] 비장의 위치[脾部位] 1140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7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비장(脾臟)] 비장이 크고 작은 것[脾臟大小] 957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2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4
[비장(脾臟)] 비병의 허증과 실증[脾病虛實] 1228
[비장(脾臟)] 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脾病間甚] 846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8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폐장(肺臟)]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801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