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足)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한닥터 2011.08.25 조회 수 1910 추천 수 0
◎ ?病治法 ○ 肺金體燥而居上主氣畏火者也脾土性濕而居中主四肢畏木者也火性炎上若嗜慾無節則水失所養火寡于畏而侮所勝肺得火邪而熱矣木性剛急肺受熱則金失所養木寡于畏而侮所勝脾得木邪而傷矣肺熱則不能管攝一身脾傷則四肢不能爲用而諸?之病作矣瀉南方則肺金淸而東方不實何脾傷之有補北方則心火降而西方不虛何肺熱之有故陽明實則宗筋潤能束骨而利機關矣治?之法無出於此[丹心] ○ 東垣取黃栢爲君黃?等輔佐以治諸?無一定之方有兼痰積者有濕多者有熱多者有濕熱相半者有挾氣者臨病製方其善於治?者乎雖然若將理失宜醫所不治天産作陽厚味發熱患?之人若不淡薄食味吾知其必不能安全也[丹心] ○ ?病切不可作風治用風藥[丹心] ○ 蒼朮黃栢治?之要藥也[正傳] ○ 肝腎俱虛筋骨?弱宜加味四斤元五獸三?丸鹿角膠丸養血壯筋健步丸 ○ 濕熱?弱宜神龜滋陰丸三妙丸加味二妙丸加味四物湯滋血養筋湯 ○ 長夏濕熱成?宜健步丸四製蒼栢丸二炒蒼栢散(方見上)淸燥湯 ○ 兼濕痰二陳湯(方見痰門)加蒼朮黃栢黃芩白朮竹瀝薑汁血虛四物湯加蒼栢氣虛四君子湯加蒼栢

☞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 폐금(肺金) 자체는 조(燥)하다. 이것은 위[上]에 있으면서 기를 주관하는데 화(火)를 무서워한다. 비토(脾土)의 성질은 습하며 가운데 있다. 이것은 팔다리를 주관하는데 목(木)을 무서워한다. 화(火)의 성질은 타오르는 것이다. 만약 성생활을 절도없이 하면 수(水)가 자기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화를 누르는 힘이 적어진다. 그러면 화는 자기가 억제하던 장기를 더 억제하게 된다. 그러면 폐가 화의 사기를 받게 되어 열이 생긴다. 목(木)의 성질은 굳세고 급(急)하다. 폐금(肺金)이 열을 받아서 자기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간목[養木]을 억제하는 힘이 적어지면 목이 자기가 억제하던 장기를 더 억제하게 된다. 그러면 비(脾)가 목의 사기를 받아서 상하게 된다. 폐에 열이 생기면 폐가 온몸을 관할하고 통솔할 수 없다. 비가 상하면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게 되고 여러 가지 위증(?證)이 생긴다. 남방(南方) 화를 사하면 폐금이 서늘해지기 때문에 동방(東方) 목이 날치지[滿實] 못한다. 그러면 비가 상하지 않는다. 북방(北方) 수를 보하면 심화가 내려가므로 서방(西方)이 허해지지 않는다. 그런데 어찌 폐열(肺熱)이 생길 수 있겠는가. 양명이 실하면 종근이 윤활해지고 뼈가 든든해져서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다. 위증치료는 이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단심]. ○ 동원은 황백을 주약으로 하고 황기 등을 보조약으로 하여 써서 여러 가지 위증을 치료하였지 일정한 처방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위증과 담적(痰積)이 겹쳤을 때에도 습(濕)이 많은 환자가 있고 열(熱)이 많은 환자가 있으며 습과 열이 상반되어 있는 환자도 있고 기를 낀 환자도 있다. 그러므로 병상태에 따라서 처방을 내는 것이 위증을 치료하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원리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치료할 수 없다. 하늘은 양을 생기게 하고 기름기가 있고 맛좋은 음식은 열이 나게 하고 위증을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위증환자는 슴슴하고 기름기가 없는 음식을 먹어야 반드시 안전하다[단심]. ○ 위증을 풍증으로 보고 풍증에 맞는 약을 써서는 절대로 안 된다[단심]. ○ 창출와 황백은 위증을 치료하는 데 중요하게 쓰이는 약이다[정전]. ○ 간과 신(腎)이 다 허약하여 힘줄이 늘어지고 뼈가 약해진 데는 가미사근원, 오수상궤환, 녹각교환, 양혈장근건보환을 쓴다. ○ 습열로 위증이 되어 약해진 데는 신구자음환, 삼묘환, 가미이묘환, 가미사물탕, 자혈양근탕을 쓴다. ○ 늦은 여름에 습열로 위증이 생긴 데는 건보환, 사제창백환, 이초창백산(二炒蒼栢散, 처방은 위에 있다), 청조탕을 쓴다. ○ 습담(濕痰)을 겸한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창출, 황백, 황금, 백출, 죽력, 생강즙을 넣고 혈이 허(虛)한 데는 사물탕에 창출, 황백을 넣으며 기가 허한 데는 사군자탕에 창출, 황백을 넣어서 쓴다. 

? 加味四斤元 ○ 治肝腎俱虛脚膝?疼?弱或受風寒濕氣以致脚痛牛膝酒浸一兩半川烏虎脛骨肉?蓉各一兩乳香沒藥各五錢木瓜一箇蒸熟右爲末入木瓜膏和酒糊丸如梧子溫酒或鹽湯下七十丸[濟生]
☞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간(肝)과 신(腎)이 다 허약하여 다리와 무릎이 시글고 아프며[?疼] 여위고 약한 것과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에 상하여 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우슬(술에 담갔던 것) 60g, 오두, 호경골, 육종용 각각 40g, 유향, 몰약 각각 20g, 모과(쪄서 익힌 것) 1개.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모과고(木瓜膏)와 섞어서 술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제생]. 

? 五獸三?丸 ○ 治肝腎不足兩脚?軟鹿茸?灸血竭虎脛骨?灸牛膝酒浸金毛狗脊燎去毛各一兩爲末卽五獸也?用附子一箇去皮?去中心入辰砂細末一兩塡滿又用木瓜一枚去皮?去中心入附子於內以附子末盖口卽三?也却以三?正坐於磁缸內重湯蒸至極爛取出和五獸末搗丸?實大木瓜酒化下血竭一名騏麟竭[澹寮]
☞ 오수삼궤환(五獸三?丸) ○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약한 것을 치료한다. ○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혈갈, 호경골(연유를 발라 구운 것), 우슬(술에 담갔던 것), 금모구척(불에 그슬려 털을 없앤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 것이 오수(五獸)이다. 그리고 부자 1개를 껍질을 버리고 속을 파낸 다음 주사(보드랍게 가루낸 것) 40g을 가득 채워 넣는다. 다음 모과 1개를 껍질을 버리고 속을 파낸다. 여기에 위의 부자를 넣고 파내 놓았던 부자가루로 아가리를 막는다. 이것이 바로 3궤(三?)이다. 이것을 항아리 안에 바로 세워 놓고 푹 무르도록 중탕하여 꺼낸다. 다음 오수가루와 함께 넣고 짓찧어 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모과술에 풀어 먹는다. 혈갈(血竭)을 기린갈(麒麟竭)이라고도 한다[담료]. 

? 鹿角膠丸 ○ 治兩足?軟久臥不起神效鹿角膠一斤鹿角霜熟地黃各八兩當歸身四兩牛膝白茯?兎絲子人參白朮杜?各二兩虎脛骨龜板竝?灸各一兩右爲末將鹿角膠入酒?化和丸梧子大薑鹽湯呑下百丸[正傳]
☞ 녹각교환(鹿角膠丸) ○ 양다리가 여위고 약하여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서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 ○ 녹각교 600g, 녹각상, 숙지황 각각 320g, 당귀 160g, 우슬, 백복령, 토사자, 인삼, 백출, 두충 각각 80g, 호경골(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남생이배딱지(龜板,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다음 녹각교를 술에 넣고 녹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 養血壯筋健步丸 ○ 治氣血兩虛兩脚?軟不能行動熟地黃四兩牛膝酒浸杜?薑汁炒當歸酒洗蒼朮黃栢鹽水炒各二兩白芍藥酒炒一兩半黃?鹽水炒山藥五味子破故紙鹽水炒人參枸杞子兎絲子白朮炒虎脛骨龜板竝?灸各一兩防風六錢防己酒洗五錢羌活酒洗三錢右爲末猪脊髓七條入煉蜜和丸梧子大鹽湯下百丸[醫鑑]
☞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기혈(氣血)이 다 허(虛)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허해져서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숙지황 160g, 우슬(술에 담갔던 것), 두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창출,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기(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서여(산약), 오미자, 보골지(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인삼, 구기자, 토사자, 백출(볶은 것), 호경골(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귀판(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방풍 24g, 방기(술에 씻은 것) 20g, 강활(술에 씻은 것)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돼지등뼈 속의 골수(猪脊髓) 7마리분과 함께 졸인 봉밀[煉蜜]에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의감]. 

? 神龜滋陰丸 ○ 治膏粱之人濕熱傷腎脚膝?弱無力龜板?灸四兩黃栢知母竝鹽水炒各二兩枸杞子五味子쇄陽各一兩乾薑五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鹽湯下七十丸[綱目]
☞ 신구자음환(神龜滋陰丸) ○ 기름진 음식만 먹는 사람이 습열(濕熱)에 신(腎)이 상하여 다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하며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 귀판(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160g,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지모(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구기자, 오미자, 쇄양 각각 40g, 건강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소금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강목]. 

? 三妙丸 ○ 治濕熱下流兩脚麻木?弱或如火烙之熱蒼朮?浸六兩黃栢酒炒四兩牛膝二兩右爲末?糊和丸梧子大薑鹽湯下五七十丸[正傳]
☞ 삼묘환(三妙丸) ○ 습열(濕熱)이 아래로 내려가서 양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여위며 약해지고 혹 불에 덴 것같이 다는 것을 치료한다. ○ 창출(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240g,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160g, 우슬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麵糊]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 加味二妙丸 ○ 治兩足如火燎從足?熱起漸至腰?麻痺?軟皆是濕熱爲病蒼朮?浸四兩黃栢酒浸二兩牛膝當歸尾酒洗草?防己龜板?灸各一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空心薑鹽湯下百丸[正傳]
☞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양쪽 발이 불에 쪼이는 것같이 다는데 다는 것이 발맹충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허리에까지 미치고 다리가 마비되면서 여위고 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습열로 생긴 병이다. ○ 창출(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160g, 황백(술에 담갔던 것) 80g, 우슬, 당귀 잔뿌리(當歸尾, 술에 씻은 것), 비해, 방기, 귀판(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 加味四物湯 ○ 治濕熱兩脚?軟無力熟地黃二錢當歸身麥門冬黃栢蒼朮各一錢白芍藥川芎杜?各七分人參黃連各五分知母牛膝各三分五味子九粒右?作一貼水煎空心服[正傳]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 습열(濕熱)로 양다리가 여위고 약해져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 숙지황 8g, 당귀, 맥문동, 황백, 창출 각각 4g, 백작약, 천궁, 두충 각각 2.8g, 인삼, 황련 각각 2g, 지모, 우슬 각각 1.2g, 오미자 9알.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정전]. 

? 滋血養筋湯 ○ 治氣血兩虛兩足?軟不能行動熟地黃一錢半白芍藥當歸麥門冬黃栢酒炒牛膝酒浸杜?酒炒蒼朮薏苡仁各八分人參川芎防風知母各五分羌活甘草各三分五味子九粒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醫鑑]
☞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기혈(氣血)이 다 허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약해져서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숙지황 6g, 백작약, 당귀, 맥문동,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우슬(술에 담갔던 것),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창출, 의이인@) 각각 3.2g, 인삼, 천궁, 방풍, 지모 각각 2g, 강활, 감초 각각 1.2g, 오미자 9알.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健步丸 ○ 治濕熱盛脚膝無力不能屈伸腰腿沈重行步艱難防己一兩羌活柴胡滑石瓜蔞根酒洗甘草灸各五錢澤瀉防風各三錢苦參川烏各一錢肉桂五分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以?白荊芥煎湯下七十丸[丹心]
☞ 건보환(健步丸) ○ 습열(濕熱)이 성(盛)해서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며 허리와 넓적다리가 몹시 무거워 걷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 방기 40g, 강활, 시호, 활석, 천화분(술에 씻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0g, 택사, 방풍 각각 12g, 고삼,오두 각각 4g, 육계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파밑(총백)과 형개(荊芥)를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 四製蒼栢丸 ○ 治濕熱盛脚膝?弱能滋陰降火黃栢二斤以乳汁童便米?各浸八兩?灸八兩浸灸各宜十三次蒼朮八兩用川椒破故紙五味子川芎各炒二兩揀去炒藥只取栢朮爲末蜜丸梧子大早酒午茶?白湯呑下三五十丸[入門]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습열이 성하여 다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음(陰)을 보하여 화(火)를 내리게 한다. ○ 황백 1.2kg을 소젖(우유), 동변(童便), 쌀 씻은 물에 각각 320g씩 담근다. 나머지 320g은 연유를 발라서 굽는다. 담갔던 것들은 각기 13번씩 굽는다. 그리고 창출 320g을 산초, 보골지, 오미자, 천궁 각각 80g씩과 함께 볶아서 창출만 쓰고 나머지 약들은 쓰지 않는다. 다음 창출와 황백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아침에는 술, 점심에는 찻물, 저녁에는 더운물로 먹는다[입문]. 

? 淸燥湯 ○ 治長夏濕熱盛兩脚?厥??黃?白朮各一錢半蒼朮一錢陳皮澤瀉各七分赤茯?人參升麻各五分生地黃當歸猪?麥門冬神?甘草各三分黃連黃栢柴胡各二分五味子九粒右?作一貼水煎服[東垣]
☞ 청조탕(淸燥湯) ○ 늦은 여름에 습열이 성해서 양다리가 다 여위고 싸늘해지면서 쓸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기, 백출 각각 6g, 창출 4g, 陳皮, 택사 각각 2.8g, 적복령, 인삼, 승마 각각 2g, 생지황, 당귀, 저령, 맥문동, 신국, 감초 각각 1.2g, 황련, 황백, 시호 각각 0.8g, 오미자 9알.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어지러움 침치료 및 보험제제(이진탕정) 치험례 by 코뮌
  2. 임상 경험방 두통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변비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6. 임상 경험방 조잡 by 한닥터
  7.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담수인한 고통! by 키다리의사
  9. 임상 경험방 가미사물탕 by 한닥터
  10.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성 복통을 동반한 설사 치료후기 by 처음처럼
  11. 방약합편 사군자탕 , 四君子湯, Sagunja-tang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사물탕 , 四物湯, Samul-tang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이진탕 , 二陳湯, Yijin-tang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이진탕 가감 오자 교정 by 웅이아빠 *2
  15. 회원임상례 (등업용)이진탕 증상별 가미법 by 에메랄드
  16. 방약합편 이진탕 二陳湯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사물탕 四物湯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사군자탕 四君子湯 by 한닥터
  19. 회원임상례 등업 부탁드립니다. -전근 by docjimmy
  20. 회원임상례 (등업용)28 커리어우먼의 만성소화불량 by 무신방난 *1
  21. 방약합편 HK176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22. 기본방 모음 144. 四君子湯(사군자탕) by 한닥터
  23. 기본방 모음 64 사군자탕(四君子湯) by 한닥터
  24. 기본방 모음 233.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25. 기본방 모음 이진탕 - 二陳湯 by 한닥터
  26. 기본방 모음 99 이진탕(二陳湯) by 한닥터
  27. 방약합편 HK092 四物湯(사물탕) by 한닥터
  28. 방약합편 HK089 四君子湯(사군자탕) by 한닥터
  29. 방약합편 HM376 淸燥湯(청조탕) by 한닥터
  30. 방약합편 HM375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by 한닥터
  31. 방약합편 182.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by 한닥터
  32.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33. 동의보감 가렵고 아픈 것[痒痛]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담천(痰喘)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자간(子癎)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발(足)] 다리의 부위별 치수[足部度數] 499
[발(足)] 다리에는 넓적다리, 허벅지, 무릎, 종지뼈, 장딴지, 정강이, 발목이 포함된다[足領 股膝 脛腕] 957
[발(足)] 맥 보는 법[脈法]/다리 509
[발(足)] 궐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厥有寒熱] 755
[발(足)] 한궐(寒厥) 1303
[발(足)] 열궐(熱厥) 1085
[발(足)]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脚氣異名] 675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원인[脚氣病因] 671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증상[脚氣病證] 1064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58
[발(足)] 각기 때 위험한 증상[脚氣危證] 820
[발(足)]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565
[발(足)] 각기병 때 안마하는 방법[脚氣按摩法] 589
[발(足)] 위증의 원인[?病之因] 777
[발(足)]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1910
[발(足)] 열궐(熱厥)로 생긴 위증[熱厥成?] 818
[발(足)] 학슬풍(鶴膝風) 1255
[발(足)]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546
[발(足)] 갑저창(甲疽瘡) 544
[발(足)] 티눈[肉刺] 822
[발(足)] 단방(單方)/다리 701
[발(足)] 침뜸치료[鍼灸法]/다리 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