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2088 추천 수 0
◎ 積聚治法 ○ 治積當察其所痛以知其病有餘不足可補可瀉無逆天時詳藏府之高下如高者越之結者散之客者除之留者行之堅者削之强者奪之鹹以?之苦以瀉之全眞氣藥補之隨所利而行之節飮食愼起居和其中外可使必已[東垣] ○ 凡積病不可用下藥徒損眞氣病亦不退當用消積藥使之融化則自消除根矣[丹心] ○ 經曰治積聚有化積消積?積磨積而無下積之說盖不可直便取下以傷胃氣也[永類] ○ 諸積勿輕吐下徒損眞氣積亦不去奔豚尤不可吐五積古有五方今增損五積丸更妙[入門] ○ 內經曰破積用毒藥衰其太半而止藥凡大積大聚消其太半乃止藥過劑則死[東垣] ○ 肝積用肥氣丸 ○ 心積用伏梁丸 ○ 脾積用?氣丸 ○ 肺積用息賁丸 ○ 腎積用奔豚丸 ○ 六聚宜用散聚湯香稜丸大七氣湯大阿魏丸大安丸[入門] ○ 積初爲寒宜辛溫消導大七氣湯烏白丸阿魏丸 ○ 久則爲熱宜辛寒推蕩木香檳?丸(方見氣門)通玄二八丹消塊丸[入門] ○ 治積要法大抵以所惡者攻之所喜者誘之則易愈 ○ 如?砂水銀治肉積 ○ 神麴麥芽治酒積 ○ 水蛭??治血積 ○ 木香檳?治氣積 ○ 牽牛甘遂治水積雄黃?粉治痰積 ○ ?石巴豆治食積各從其類也[本事] ○ 又云三稜蓬朮治血積香附枳實治食積山?阿魏治肉積海粉?石治痰積雄黃白礬治?積乾薑巴豆治寒積黃連大黃治熱積[丹心] ○ 五積六聚通用增損五積丸消積正元散肥氣丸伏梁丸?氣丸息賁丸奔豚丸又有奔豚湯散聚湯香稜丸大七氣湯潰堅湯潰堅丸眞人化鐵湯[諸方] ○ 宿血滯氣凝結爲??腹中?槐堅硬作楚當以破氣藥伐之或以類相從如敗梳治??銅屑治龍?麴蘗治米?石灰治髮?[得效]

☞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 적을 치료할 때에는 아픈 곳을 살펴보아서 실(實)한가 허(虛)한가에 따라 보(補)할 것인가 사(瀉)할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그리고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게 하고 병이 든 장부(藏府)가 상초(上焦)에 있는 것인가 하초(下焦)에 있는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상초에 있는 것이면 토하게 하고 맺혔으면 흩어지게 하며 침입한 것이면 없애버리고 머물러 있으면 돌게 하며 굳은 것은 연하게 하고 강한 것은 약하게 해야 한다. 짠 것으로 부드럽게 하고 쓴 것으로 사하고 원기를 온전하게 하는 약으로 보하는 등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몸의 안팎이 조화되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반드시 낫는다[동원]. ○ 대체로 적병(積病) 때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설사시키는 약을 쓰면 필요없이 원기만 상하게 되고 병은 낫지 않는다. 적을 삭이는 약을 써서 녹아 없어지게 해야 병의 뿌리가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 경(經)에 적취를 치료할 때에는 적을 녹이거나 적을 삭이거나 적을 밀어내거나 적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는 말만 있고 적을 내린다[下]는 말은 없는데 그것은 직접 설사시키면 위기(胃氣)가 상하기 때문이다[영류]. ○ 여러 가지 적병 때 경솔하게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면 공연히 진기(眞氣)만 상하게 되고 적은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분돈증(奔豚證) 때 토하게 해서는 안 된다. 5적을 치료할 때에 이전에는 5가지 처방을 썼다. 요즘은 증손오적환을 쓰는데 더 좋다[입문]. ○ 『내경』에 "적을 헤치는 데[破積]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와 같이 큰 적이나 취 때에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약을 지나치게 쓰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동원]. ○ 간적(肝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 심적(心積)에는 복량환을 쓴다. ○ 비적(脾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 폐적(肺積)에는 식분환을 쓴다. ○ 신적(腎積)에는 분돈환을 쓴다. ○ 6취에는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대아위환, 대안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적병의 초기에는 한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써서 삭여야 하는데 대칠기탕, 오백환, 아위환을 쓴다. ○ 오랜 적병은 열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몰아내야 하는데 목향빈랑환(木香檳?丸, 처방은 기문에 있다), 통현이팔단, 소괴환을 쓴다[입문]. ○ 적병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싫어하는 것으로 공격하고[攻] 좋아하는 것으로 유도하는[誘]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쉽게 낫는다. ○ 노사나 수은은 육적(肉積)을 치료한다. ○ 신국, 맥아@)은 주적(酒積)을 치료한다. ○ 수질과 맹충은 혈적(血積)을 치료한다. ○ 목향과 빈랑은 기적(氣積)을 치료한다. ○ 견우자와 감수(甘遂)는 수적(水積)을 치료하고 웅황@)과 경분은 담적(痰積)을 치료한다. ○ 청몽석과 파두는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병에 따라서 각기 쓰는 약이 다르다[본사]. ○ 또한 삼릉과 봉출은 혈적을 치료하고 향부자와 지실은 식적을 치료하며 산사와 아위는 육적을 치료하고 조가비가루(海粉), 청몽석은 담적을 치료하며 웅황@)과 백반은 충적(蟲積)을 치료하고 건강과 파두는 한적(寒積)을 치료하며 황련과 대황은 열적(熱積)을 치료한다[단심]. ○ 5적과 6취에는 증손오적환, 소적정원산, 비기환(肥氣丸), 복량환, 비기환(?氣丸), 식분환, 분돈환을 두루 쓴다. 그리고 분돈탕,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궤견탕, 궤견환, 진인화철탕도 쓴다[제방]. ○ 궂은 피[宿血]와 체기(滯氣)가 엉켜서 생긴 징가 때와 뱃속에 비괴가 생겨 뜬뜬하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를 헤치는 약[破氣藥]을 써서 쳐야[伐] 한다. 혹 병과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헌빗으로 슬가(??)를 치료하고 구리가루로 용가(龍?)를 치료하며 신국과 맥아@)으로 미가(米?)를 치료하고 석회로 발가(髮?)를 치료하는 것이다[득효]. 

? 增損五積丸 ○ 通治五積 ○ 黃連肝積五錢脾腎積七錢心肺積一兩半 ○ 厚朴肝心肺積五錢脾腎積八錢 ○ 川烏肝肺積一錢心腎脾積五分 ○ 乾薑肝心積五分肺脾腎一錢半 ○ 人參肝心脾肺積二錢腎積五分 ○ 茯?一錢半巴豆霜五分右爲末蜜丸梧子大初服二丸漸加以微?爲度治積塊不拘臍上下左右通用 ○ 如肝積加柴胡一兩川椒四錢蓬朮三錢?角昆布各二錢半 ○ 心積加黃芩三錢肉桂茯神丹參各一錢菖蒲五分 ○ 肺積加桔梗三稜天門冬靑皮陳皮白豆?各一錢紫?川椒各一錢半 ○ 脾積加吳茱萸黃芩縮砂各二錢澤瀉茵陳各一錢川椒五分 ○ 腎積加玄胡索三錢苦練肉全蝎附子獨活各一錢澤瀉菖蒲各二錢肉桂三分丁香五分[入門]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 ○ 5적을 두루 치료한다. ○ 황련(간적에는 20g, 비적이나 신적에는 28g, 심적이나 폐적에는 60g을 쓴다), 후박(간적, 심적, 폐적에는 20g, 비적, 신적에는 32g을 쓴다), 오두(간적, 폐적에는 4g, 심적, 신적, 비적에는 2g을 쓴다), 건강(간적, 심적에는 2g, 폐적, 비적, 신적에는 6g을 쓴다), 인삼(간적, 심적, 비적, 폐적에는 8g, 신적에는 2g을 쓴다), 백복령 6g, 파두상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처음에는 2알을 먹는다. 그 다음부터 점차 양을 늘려 가면서 쓰는데 대변이 약간 묽어질 때까지 쓴다. 적괴가 배꼽의 아래나 위에, 왼쪽이나 오른쪽에 있을 때를 막론하고 두루 쓴다. ○ 만일 간적이면 위의 약에 시호 40g, 천초 16g, 봉출 12g, 조각, 곤포 각각 10g을 더 넣어 쓴다. ○ 심적이면 황금 12g, 육계, 백복신, 단삼 각각 4g, 석창포 2g을 더 넣어 쓴다. ○ 폐적이면 길경, 삼릉, 천문동, 청피, 陳皮, 백두구 각각 4g, 자완, 산초(천초) 각각 6g을 더 넣어 쓴다. ○ 비적이면 오수유, 황금, 사인 각각 8g, 택사, 인진@) 각각 4g, 산초(천초) 2g을 더 넣어 쓴다. ○ 신적이면 현호색 12g, 멀구슬나무열매살(고련육), 전갈, 부자, 독활 각각 4g, 택사, 석창포 각각 8g, 육계 1.2g, 정향 2g을 더 넣어 쓴다[입문]. 

? 消積正元散 ○ 治痰飮氣血鬱結食積氣不升降積聚脹痛白朮一錢半神麴香附枳實玄胡索海粉各一錢赤茯?陳皮靑皮縮砂麥芽炒山?肉甘草各七分右?作一貼薑三水煎服 ○ 一名開鬱正元散(無枳實有桔梗) ○ [入門]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이나 기혈이 울체되었거나 먹은 것이 뭉쳐서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에 적취가 생겨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백출 6g, 신국, 향부자, 지실, 현호색, 조가비가루(海粉) 각각 4g, 적복령, 陳皮, 청피, 사인, 맥아(볶은 것), 산사(산사육),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일명 개울정원산(開鬱正元散)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지실이 없고 길경이 있다[입문]. 

? 肥氣丸 ○ 治肝積柴胡一兩黃連七錢厚朴五錢川椒四錢甘草三錢蓬朮人參昆布各二錢半?角白茯?各一錢半乾薑巴豆霜各五分川烏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初服二丸日加一丸二日加二丸至大便?便漸減服周而復始塊減半勿服[正傳]
☞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을 치료한다. ○ 시호 40g, 황련 28g, 후박 20g, 산초(천초) 16g, 감초 12g, 봉출, 인삼, 곤포@) 각각 10g, 조협(조각), 백복령 각각 6g, 건강, 파두상 각각 2g, 오두 0.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처음에는 2알을 먹고 그 다음부터 매일 1알씩 늘려 가면서 먹는데 2일 만에는 2알을 더 먹는다. 대변이 묽어지면 양을 점차 줄인다. 이와 같이 양을 많이 먹고 적게 먹고 하다가 적 덩어리가 절반 정도 줄어들면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정전]. 

? 伏梁丸 ○ 治心積黃連一兩半厚朴人參各五錢黃芩桂枝茯神丹參各一錢乾薑菖蒲巴豆霜川烏各五分紅豆?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黃連湯下服如上法[正傳]
☞ 복량환(伏梁丸) ○ 심적(心積)을 치료한다. ○ 황련 60g, 후박, 인삼 각각 20g, 황금, 계지, 백복신, 단삼 각각 4g, 건강, 석창포, 파두상, 오두 각각 2g, 홍두구 0.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황련을 달인 물로 먹는데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 ?氣丸 ○ 治脾積黃連八錢厚朴四錢吳茱萸三錢黃芩二錢縮砂一錢半白茯?人參澤瀉各一錢茵蔯乾薑各一錢半川烏川椒各五分桂皮巴豆霜各四分白朮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甘草湯下服如上法[正傳]
☞ 비기환(?氣丸) ○ 비적(脾積)을 치료한다. ○ 황련 32g, 후박 16g, 오수유 12g, 황금 8g, 사인 6g, 백복령, 인삼, 택사 각각 4g, 인진,건강 각각 6g, 오두, 산초(천초) 각각 2g, 계피, 파두상 각각 1.6g, 백출 0.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감초를 달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 息賁丸 ○ 治肺積黃連一兩三錢厚朴八錢川烏桔梗白豆?陳皮三稜天門冬人參各二錢乾薑白茯?川椒紫?各一錢半靑皮巴豆霜各五分右爲末蜜丸梧子大薑湯呑下服如上法[正傳]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을 치료한다. ○ 황련 52g, 후박 32g, 오두, 길경, 백두구, 陳皮, 삼릉, 천문동, 인삼 각각 8g, 건강, 백복령, 산초(천초), 자완@) 각각 6g, 청피, 파두상 각각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생강을 달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 奔豚丸 ○ 治腎積厚朴七錢黃連五錢川鍊子三錢白茯?澤瀉菖蒲各二錢玄胡索一錢半全蝎附子獨活各一錢川烏丁香巴豆霜各五分肉桂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服如上法[正傳]
☞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을 치료한다. ○ 후박 28g, 황련 20g, 멀구슬나무열매(川練子) 12g, 백복령, 택사, 석창포 각각 8g, 현호색 6g, 전갈, 부자, 독활 각각 4g, 오두, 정향, 파두상 각각 2g, 육계 0.8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소금 끓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 通玄二八丹 ○ 治積聚黃連八兩芍藥當歸生地黃烏梅各五錢爲末雄猪?一具入藥於內以線縫之鋪?菜二斤於鍋內蒸之一日以藥熟爲度取出搗丸梧子大空心薑湯下七十丸或瀉一二次以粥補住[入門]
☞ 통현이팔단(通玄二八丹) ○ 적취를 치료한다. ○ 황련 320g, 백작약(당귀, 생지황, 오매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수퇘지 위(雄猪?) 속에 넣고 실로 꿰맨다. 다음 부추(?菜) 1.2kg을 솥 안에 깔고 여기에 약을 넣어서 하루동안 찌는데 약이 다 익으면 꺼낸다. 이것을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혹 한두번 설사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죽으로 보하여 멎게 해야 한다[입문]. 

? 奔豚湯 ○ 治腎積半夏二錢川芎當歸各一錢半甘李根皮乾葛各一錢黃芩芍藥甘草各七分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空心服[入門]
☞ 분돈탕(奔豚湯) ○ 신적을 치료한다. ○ 반하 8g, 천궁, 당귀 각각 6g, 감리근피(甘李根皮), 갈근 각각 4g, 황금, 작약, 감초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散聚湯 ○ 治六聚及??隨氣上下心腹刺痛二便不利厚朴吳茱萸枳殼一錢半陳皮杏仁桂心赤茯?各一錢川芎附子?甘草炙各五分半夏檳?當歸各四分右?作一貼薑三水煎服[入門]
☞ 산취탕(散聚湯) ○ 6취나 징가가 기를 따라 오르내리면서 명치 밑이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후박, 오수유, 지각 각각 6g, 陳皮, 행인, 계심(桂心), 적복령 각각 4g, 천궁,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볶은 것) 각각 2g, 반하, 빈랑, 당귀 각각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입문]. 

? 香稜丸 ○ 治五積六聚氣塊三稜檳?各三兩山?肉二兩香附子蘿?子枳實枳殼蓬朮陳皮靑皮各一兩黃連神麴麥芽鱉甲乾漆桃仁?砂縮砂當歸尾木香甘草各五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白湯下三五十丸[入門]
☞ 향릉환(香稜丸) ○ 5적과 6취, 기괴를 치료한다. ○ 삼릉, 빈랑 각각 120g, 산사(산사육) 80g, 향부자, 나복자, 지실, 지각, 봉출, 陳皮, 청피 각각 40g, 황련, 신국, 맥아,별갑,건칠, 도인, 노사, 사인(縮砂), 당귀(잔뿌리), 목향, 감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大七氣湯 ○ 治五積六聚心腹痛脹二便不利三稜蓬朮靑皮陳皮桔梗藿香益智仁香附子肉桂甘草各一錢右?作一貼薑三棗二水煎服 ○ 一方加大黃檳?各一錢治諸般?積面色萎黃四肢無力皆緣內有?積或好食生米或壁土或茶炭鹹辣等物只此一服除根用水煎露一宿空心溫服不得些少飮食不然則藥力減而?積不行矣服後心腹痛當下惡物如魚凍?鱉至日午下積盡方用溫粥止之[醫鑑]
☞ 대칠기탕(大七氣湯) ○ 5적과 6취로 명치 밑이 아프고 불러 오르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삼릉, 봉출, 청피, 陳皮, 길경, 곽향, 익지인, 향부자, 육계,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대황, 빈랑 각각 4g을 더 넣어서 여러 가지 비적(?積)으로 얼굴빛이 누르스름하게 되고 팔다리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다 속에 충적(蟲積)이 있어서 생쌀이나 담벽 흙이나 차나 숯이나 짠 것, 매운 것들을 먹기 좋아하여 생긴 것이다. 이 약을 한번만 먹어도 병의 근원이 없어지는데 물에 달여서 하룻밤 밖에 두었다가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그 다음 음식을 약간이라도 먹어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약 기운이 약해져서 충적을 없앨 수 없다. 약을 먹으면 명치 밑이 아프면서 반드시 언 물고기나 벌레, 자라같이 생긴 몹쓸 것이 설사로 나오는데 한낮이 되어 적이 풀려서 다 나오면 따뜻한 죽을 먹어서 설사를 멎게 해야 한다[의감]. 

? 潰堅湯 ○ 治五積六聚諸般?塊當歸白朮半夏陳皮枳實山?肉香附子厚朴縮砂各一錢木香五分水磨取汁右?作一貼水煎調木香汁服之[回春]
☞ 궤견탕(潰堅湯) ○ 5적과 6취, 여러 가지 비괴(?塊)를 치료한다. ○ 당귀, 백출, 반하, 陳皮, 지실, 산사, 향부자, 후박, 사인 각각 4g, 목향 2g(물에 갈아서 즙을 낸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목향즙을 타 먹는다[회춘]. 

? 潰堅丸 ○ 治同上前方加海粉瓦壟子鱉甲炙爲細末將阿魏醋煮化入薑汁糊和丸梧子大酒下五七十丸[回春]
☞ 궤견환(潰堅丸) ○ 위[上]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앞의 처방에 조가비가루(해분), 와룡자, 별갑(구운 것)를 더 넣는다.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낸다. 다음 식초에 아위를 넣고 달여 녹인 데 생강즙을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약을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회춘]. 

? 眞人化鐵湯 ○ 治五積六聚?癖??三稜蓬朮靑皮陳皮山?肉神麴香附子枳實厚朴黃連當歸川芎桃仁檳?各五分紅花木香甘草各三分右?作一貼薑二棗一煎服[回春]
☞ 진인화철탕(眞人化鐵湯) ○ 5적과 6취, 현벽(?癖), 징가를 치료한다. ○ 삼릉, 봉출, 청피, 陳皮, 산사(산사육), 신국, 향부자, 지실, 후박, 황련, 당귀, 천궁, 도인, 빈랑 각각 2g, 잇꽃(홍화), 목향,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대추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소적정원산 消積正元散 by 한닥터
  2. 방약합편 061. 奔豚丸(분돈환)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5. 동의보감 주적(酒積) by
  6. 동의보감 식적(食積) by
  7. 동의보감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by
  8. 동의보감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기로 생긴 통증[氣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아위환(阿魏丸)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오백환(烏白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대안환(大安丸)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진인화철탕(眞人化鐵湯)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궤견환(潰堅丸)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궤견탕(潰堅湯)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대칠기탕(大七氣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향릉환(香稜丸)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산취탕(散聚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통현이팔단(通玄二八丹)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분돈환(奔豚丸)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식분환(息賁丸)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비기환( 氣丸)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복량환(伏梁丸)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처방집 비기환(肥氣丸)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처방집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처방집 소괴환(消塊丸)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빈랑환(木香檳?丸)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빈랑환(木香檳?丸)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대안환 - 大安丸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41 대칠기탕(大七氣湯) by 한닥터
  37. 방약합편 40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적취(積聚)] 적취의 원인[積聚之因] 1029
[적취(積聚)] 5적과 6취에 대하여[論五積六聚] 804
[적취(積聚)] 복량에는 2가지 증이 있다[伏梁有二證] 905
[적취(積聚)] 맥 보는 법[脈法] 751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적취(積聚)] 습울(濕鬱) 1062
[적취(積聚)] 열울(熱鬱) 920
[적취(積聚)] 담울(痰鬱) 1147
[적취(積聚)] 혈울(血鬱) 868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1
[적취(積聚)] 비괴와 적취가 생기는 부위[ 塊積聚所屬部分] 767
[적취(積聚)]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1582
[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2088
[적취(積聚)] 징가와 현벽의 증상과 치료[?癖證治] 1133
[적취(積聚)]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1002
[적취(積聚)] 장담, 석가, 혈고의 증상과 치료[腸覃石 血蠱證治] 1134
[적취(積聚)] 식적병(息積病) 824
[적취(積聚)] 도인법(導引法) 683
[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677
[적취(積聚)] 식적(食積) 1138
[적취(積聚)] 주적(酒積) 1135
[적취(積聚)] 면적(麵積) 765
[적취(積聚)] 육적(肉積) 672
[적취(積聚)] 어해적(魚蟹積) 798
[적취(積聚)] 과채적(果菜積) 785
[적취(積聚)] 다적(茶積) 745
[적취(積聚)] 수적(水積) 994
[적취(積聚)] 혈적(血積) 1035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