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848 추천 수 0
◎ ?口撮口臍風證 ○ ?口風者眼閉啼聲漸少舌上聚肉如粟米狀?乳不得口吐白沫二便皆通此胎中熱毒流於心脾一名鵝口瘡 ○ 鵝口瘡小兒初生有白屑滿口如鵝之口鼻外亦有不能?乳由心脾熱也以亂髮纏指頭?薄荷汁拭淨如不脫用保命散朱礬散[入門] ○ 又法用一捻金散又亂髮纏指頭?井花水?拭之又?栗?煮汁(栗皮也)拭之[湯氏] ○ 辰砂膏最妙(方見下) ○ 又地鷄?水塗之妙(卽鼠婦?也) ○ 又白楊樹枝燒取瀝付之神效[正傳]

☞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 금구풍(?口風)은 눈을 감고 울음소리가 점점 약해지며 혀 위에 좁쌀알 같은 것이 나서 젖을 빨지 못하고 흰 거품[白沫]을 토하면서도 대소변이 다 잘 나오는 것은 태중에 열독(熱毒)이 심(心)과 비(脾)에 들어간 것이다. 이것을 일명 아구창(鵝口瘡)이라고도 한다. ○ 아구창은 갓난아이의 입 안에 흰 싸래기 같은 것이 그득 돋은 것이 거위 주둥이와 같으며 젖을 빨지 못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심(心)과 비(脾)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머리카락을 손가락 끝에 감아서 박하 달인 물에 적신 다음 입 안을 깨끗이 닦아 낸다. 만일 돋은 것이 없어지지 않으면 보명산(保命散), 주반산(朱礬散)을 쓴다[입문]. ○ 또 한 가지 방법은 일념금산(一捻金散)을 쓰기도 한다. 또는 머리카락을 손가락 끝에 감아서 깨끗한 물에 적신 다음 입 안을 닦아 낸다. 또는 밤껍질 달인 물에 적셔 입 안을 닦아 준다[탕씨]. ○ 진사고(辰砂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가 가장 좋다. ○ 또는 지계뢰(地鷄?, 즉 쥐며느리이다)를 물에 갈아서 바르면 곧 낫는다. ○ 또는 사시나무가지[白楊樹枝]를 불에 태우면서 진을 내어 바르면 잘 낫는다[정전]. 

? 撮口 ○ 者面目黃赤氣喘啼聲不出乃胎熱流毒心脾則舌强脣靑撮口聚面飮乳有妨用白?蠶二枚略炒爲末蜜調付脣口卽差或用蝎梢散[入門] ○ 撮口者初生一臘內之篤疾(一臘三七日也)令兒氣促口撮如囊而不乳也[直指小兒] ○ 治法牛黃一錢竹瀝一合調和時抹口中卽差宣風散亦可用[丹心] ○ 撮口證若口出白沫四肢氷冷最爲惡候一臘見之尤急[得效] ○ 初生七日內患撮口臍風不得飮乳急看兒齒?上有小泡子如粟米狀急以手指?溫水輕輕擦破卽開口便安不用服藥[入門] ○ 小兒口?不開南星末一錢腦子少許硏勻調薑汁以指?擦兒牙?上口立開[綱目]
☞ 촬구증[撮口] ○ 촬구증은 얼굴이 누르고 붉으며 숨차 하고 울음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태열독(胎熱毒)이 심(心)과 비(脾)에 들어가서 혀가 뻣뻣하고 입술이 푸르며 죄어 들고 얼굴을 찌푸리며 젖을 먹지 못한다. 이때 백강잠 2개를 약간 볶아서 가루를 낸 다음 꿀로 개어 입술에 바르면 낫는다. 혹은 갈초산(蝎梢散)도 쓴다[입문]. ○ 촬구증은 갓 나아서 3-7일 안에 생기는 중한 병이며 아이가 숨이 몹시 가빠 하고 입술이 주머니를 졸라맨 것처럼 되면서 젖을 빨지 못한다[직지, 소아]. ○ 치료법은 우황 4g을 참대기름 1홉에 타서 때때로 입 안에 발라 주면 낫는다. 선풍산(宣風散)도 쓴다[단심]. ○ 촬구증은 입에서 흰 거품이 나오고 팔다리가 얼음같이 차지는 매우 무서운 증인데 2-7일 안에 생기는 것은 더욱 위중하다[득효]. ○ 갓 나서 7일 안에 촬구증과 제풍증이 생겨서 젖을 먹지 못할 때에는 빨리 그의 잇몸을 보아 좁쌀알 같은 것이 돋았으면 더운물에 적신 손가락으로 가볍게 문질러 터쳐버린다. 이때 입을 벌리면 편안해지므로 약을 쓸 필요가 없다[입문]. ○ 어린이들이 이를 악물고 벌리지 못하는 데는 천남성가루 4g에 용뇌를 조금 넣어 생강즙으로 갠다. 이것을 손가락에 묻혀서 어린이의 잇몸을 문질러 주면 입을 즉시 벌린다[강목]. 

? 臍風 ○ 者小兒斷臍後爲風濕所乘或尿濕#裙遂成臍風面赤喘急啼聲不出其證臍腫突腹脹滿日夜多啼不能飮乳甚則發??口撮口宜用調氣益黃散甚者用金烏散或宣風散[入門] ○ 亦有熱在胸堂伸引努氣亦令臍腫發風宜千金龍膽湯[入門] ○ 臍風撮口不得飮乳宜蝎梢餠宣風散[入門] ○ 凡臍邊靑黑爪甲黑者死[得效] ○ 初生七日內見?口撮口臍風三證者危百日內見此證手足?者亦不治[入門]
☞ 제풍증[臍風] ○ 탯줄을 끊은 뒤에 갓난아이에게 풍사와 습사가 들어갔거나 소변에 젖은 기저귀로 인해서 제풍증이 생기는데 이때 그의 얼굴이 붉고 숨이 가빠 하며 울음소리를 내지 못한다. 그 증상으로는 배꼽이 부어 오르고 배는 창만하며 밤낮 울면서 젖을 먹지 못한다. 심하면 몸에 경련이 일고 이를 악물거나 입술이 죄어 드는데 이런 때에는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을 쓰는 것이 좋다. 심하면 금오산(金烏散)이나 선풍산(宣風散)을 쓴다[입문]. ○ 또는 가슴에 열이 있어서 기지개를 하고 힘을 몹시 쓰며 배꼽이 붓고 경풍이 일어나는 데는 천금용담탕(千金龍膽湯)을 쓴다[입문]. ○ 제풍증, 촬구증으로 젖을 먹지 못하는 데는 갈초병(蝎梢餠)이나 선풍산(宣風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배꼽 둘레가 검푸르고 손톱이 검은 것은 죽을 수 있다[득효]. ○ 갓 나서 7일 안에 금구, 촬구, 제풍 등 3가지 증이 있으면 위험한데 이런 증이 100일 안에 있으면서 손발이 가드라드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H201 保命散(보명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339. 宣風散(선풍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흑함(黑陷) by 한닥터
  4. 동의보감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by
  7. 동의보감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by 한닥터
  9. 동의보감 7정은 혈을 동하게 한다[七情動血]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진사고(辰砂膏)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금오산(金烏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선풍산(宣風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갈초산(蝎梢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일념금산(一捻金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주반산(朱礬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보명산(保命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선풍산(宣風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진사고(辰砂膏)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갈초산(蝎梢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589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3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4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변증의 증후[變蒸候] 649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7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0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5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4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0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099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