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775 추천 수 0
◎ 不嗜飮食由下元陽衰 ○ 不進食服補脾藥不效者盖腎氣怯弱眞元衰削是以不能消化飮食譬之鼎釜之中置諸米穀下無火力終日米不熟其何能化黃魯直服兎絲子日挑數匙以酒下十日外飮啖如湯沃雪亦知此理也 ○ 宜用二神丸補眞丸[丹心]

☞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 음식이 잘 먹히지 않을 때에 비를 보하는 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은 대개 신기(腎氣)가 몹시 쇠약하고 진원(眞元)이 약하기 때문에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비유하면 솥 안에 여러 가지 쌀을 넣고 솥 밑에 불을 때지 않으면 온종일 있어도 쌀이 익지 않는 것과 같으므로 음식이 소화될 수 없다. 옛날 황노직(黃魯直)이 토사자를 하루 몇 숟가락씩 10여 일 동안 술로 먹었더니 음식을 먹지 못하던 것이 끓는 물에 눈 녹듯이 나았다. 이것으로 보아 음식을 먹지 못할 때 신을 보하는 이치를 알 수 있다. ○ 이신환, 보진환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 二神丸 ○ 治脾腎虛弱全不進食(方見大便) ○ 一名鑽胃丸[本事]
☞ 이신환(二神丸) ○ 비신(脾腎)이 허약하여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 일명 찬위환(鑽胃丸)이라고도 한다[본사]. 

? 補眞丸 ○ 凡飮食不進由房勞過度眞火衰弱不能熏蒸脾土以致中州不運胸膈?塞飮食不消古人云補腎不如補脾予謂補脾不若補腎若丹田眞火上蒸脾土脾土溫和則膈開能食此藥主之鹿茸巴戟鍾乳粉各一兩葫蘆巴香附子陽起石川烏肉?蓉兎絲子沈香肉豆?五味子各五錢右爲末用羊腰子兩對以?椒酒煮爛和酒爲糊?丸梧子大每百丸空心米飮鹽湯任下[本事]
☞ 보진환(補眞丸) ○ 대체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것은 지나친 성생활로 진화(眞火)가 쇠약하여 비토(脾土)를 훈증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위가 소화작용을 하지 못하고 가슴이 막혀서 더부룩하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옛사람들이 말하기를 신을 보하는 것은 비를 보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는데 나는 비를 보하는 것이 신을 보하는 것만 못하다고 본다. 만일 단전(丹田)의 진화가 위로 비토를 훈증하면 비토가 온화해져서 가슴이 막혔던 것이 트이고 음식을 잘 먹게 된다. 그 다음 이 약을 주로 쓴다. ○ 녹용, 파극, 종유분 각각 40g, 호로파, 향부자, 양기석, 오두, 육종용, 토사자, 침향, 육두구, 오미자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양의 콩팥(羊腰子) 2개를 파, 후추와 함께 술에 넣고 푹 삶아서 술과 같이 짓찧어 만든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본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신설(腎泄) by 한닥터
  3. 태암 처방집 不嗜飮食(불기음식)은 由下元陽衰(유하원양쇠) 補眞丸(보진환)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보진환(補眞丸) by 한닥터 *2
  5. 동의보감 처방집 이신환(二神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이신환(二神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나력(??) 3 2813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2
[머리(頭)] 허훈(虛暈) 2 1536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3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1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6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59
[눈(眼)] 투침(偸鍼) 1 1420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58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199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0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8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6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8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77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7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