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역리(疫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669 추천 수 0
◎ 疫痢 ○ 一方一家之內上下傳染長幼相似是疫毒痢也.當察運氣之相勝以治之<良方> ○ 一方長幼相似名曰疫痢人參敗毒散(方見寒門)加陳皮白芍藥煎服或薑茶湯以防之<入門>

☞ 역리(疫痢)

  ○ 한 지방이나 한 가정에서 모두 전염되면서 어른이나 어린이를 물론하고 다 앓는 증상이 이질 비슷한 것은 역독리(疫毒痢)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운기(運氣)가 서로 승(勝)하는 것을 보아서 치료해야 한다[양방]. ○ 한 지방에서 어른과 어린이가 서로 비슷한 증상으로 앓는 이질을 역리(疫痢)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진피, 백작약를 넣어서 달여 먹거나 강다탕으로 미리 막아야 한다[입문]. 

? 薑茶湯 ○ 治痢疾腹痛老生薑春茶葉等分同煎服<醫鑑> ○ 薑能助陽茶能助陰況暑毒酒食毒皆能解之不問赤白冷熱疫痢腹痛通用之<直指> ○ 熱痢留薑皮冷痢去薑皮<本草>
☞ 강다탕(薑茶湯) ○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묵은 생강, 봄 찻잎을 같은 양으로 하여 달여 먹는다[의감]. ○ 생강은 양(陽)기를 돕고 차(茶)는 음(陰)기를 돕는다. 특히 더위독[暑毒], 술독[酒毒], 음식독[食毒]을 다 푸는데[解] 적리(赤痢), 백리(白痢), 냉리(冷痢), 열리(熱痢), 역리(疫痢)로 배가 아픈 데도 두루 쓴다[직지]. ○ 열리(熱痢)에는 생강을 껍질째로 쓰고 냉리(冷痢)에는 생강을 껍질은 버리고 쓴다[본초].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인삼패독산 , 人蔘敗毒散, Insampaedok-san by 한닥터
  2. 방약합편 인삼패독산 人蔘敗毒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여러 가지 악창[諸般惡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상한표증(傷寒表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by
  7. 방약합편 239. 人蔘敗毒散(인삼패독산)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by 한닥터
  9. 보험 정보 인삼패독산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10. 회원임상례 (등업용)몸살감기 by mentalist *1
  11. 동의보감 처방집 강다탕(薑茶湯)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100 강다탕(薑茶湯)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95 창름탕(倉?湯)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6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1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5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89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