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자모보사[子母補瀉]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613 추천 수 0
◎ 子母補瀉 ○ 難經曰虛則補母實則瀉子註云假如肺金之病而實當竭腎水使子來求食於母則肺之實可得而平矣肺之虛當補脾土則母來生子使肺之虛可得而平矣他藏倣此[錢乙]

☞ 자모보사[子母補瀉]

 ○ 『난경』에 "허(虛)하면 어머니격인 것을 보(補)하고 실(實)하면 아들격인 것을 사(瀉)하라"고 씌어 있다. 주해에 "가령 폐금(肺金)이 실(實)해지면 반드시 그 아들격인 신수(腎水)를 줄어들게 하여 아들격인 것이 어머니격인 것의 힘을 약해지게 해야 폐(肺)가 실(實)하던 것이 저절로 고르게[平] 된다"고 씌어 있다. "폐(肺)가 허(虛)할 때에는 반드시 그 어머니격인 비토(脾土)를 보(補)하면 어머니격인 것이 아들격인 것을 보하여 주기 때문에 폐가 허하던 것이 저절로 고르게 된다"고 씌어 있다. 다른 장기도 이와 같다[전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음위(陰?) 1294
[전음(前陰)]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1211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4
[전음(前陰)] 음낭옹[囊癰] 439
[전음(前陰)]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陰囊濕痒] 1038
[전음(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疝痛劫藥] 510
[전음(前陰)] 여러 가지 산증에 두루 쓰는 약[諸疝通治] 769
[전음(前陰)] 산증 때 위험한 증상[疝病危證] 482
[전음(前陰)] 산증 때 꺼릴 것[疝病禁忌] 443
[전음(前陰)] 음낭병 때 죽을 증상[陰囊病死候] 475
[전음(前陰)] 도인법(導引法)/전음 472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전음(前陰)] 부인의 음문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婦人陰門諸疾] 1083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
[전음(前陰)]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1015
[전음(前陰)] 단방(單方)/전음 621
[전음(前陰)] 양기를 약하게 하는 것들[弱陽諸物] 610
[전음(前陰)] 침뜸치료[鍼灸法]/전음 796
[후음(後陰)] 항문의 무게와 치수[肛門重數] 501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후음(後陰)] 치질의 원인[痔病之因] 671
[후음(後陰)]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痔者峙也] 553
[후음(後陰)] 맥 보는 법[脈法] 504
[후음(後陰)]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諸痔名目] 585
[후음(後陰)]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痔有內外] 1376
[후음(後陰)] 맥치(脈痔) 721
[후음(後陰)] 장치(腸痔) 509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후음(後陰)] 혈치(血痔) 640
[후음(後陰)] 주치(酒痔)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