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기(氣)를 온(溫)하게 해야 한다[溫之以氣]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573 추천 수 0
◎ 溫之以氣 ○ 內經曰形不足者溫之以氣溫者養地溫之者所以調其飮食適其起居澄心息慮從容以待其眞氣之復常也禮記所謂柔色以溫之此溫字正與彼同或以藥扶助之亦溫養也東垣乃以溫爲溫凉之溫謂宜溫藥以補元氣而瀉火邪亦賢者之一失也[丹心]

☞ 기(氣)를 온(溫)하게 해야 한다[溫之以氣]

 ○ 『내경』에는 "몸이 약하면 온(溫)하게 하라"고 씌어 있는데 온하게 한다는 것은 보양[養]하라는 뜻이다. 즉 온하게 한다는 것은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욕심을 버리고 걱정하지 말며 조용하게 있어서 진기(眞氣)가 회복되기를 기다린다는 것이다. 『예기(禮記)』에는 "얼굴빛을 유순하고 온하게 하라"고 씌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온(溫)'자는 바로 『내경』에 씌어 있는 '온(溫)'자와 같다. 약으로 보한다는 것도 역시 온하게 하여 영양[養]한다는 것이다. 동원은 '온'자를 온량(溫凉)의 '온'자와 같다고 하면서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진기[元氣]를 보하고 화사(火邪)를 사(瀉)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잘 아는 사람이 한번 실수한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음위(陰?) 1294
[전음(前陰)]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1211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4
[전음(前陰)] 음낭옹[囊癰] 439
[전음(前陰)]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陰囊濕痒] 1038
[전음(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疝痛劫藥] 510
[전음(前陰)] 여러 가지 산증에 두루 쓰는 약[諸疝通治] 769
[전음(前陰)] 산증 때 위험한 증상[疝病危證] 482
[전음(前陰)] 산증 때 꺼릴 것[疝病禁忌] 443
[전음(前陰)] 음낭병 때 죽을 증상[陰囊病死候] 475
[전음(前陰)] 도인법(導引法)/전음 472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전음(前陰)] 부인의 음문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婦人陰門諸疾] 1083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
[전음(前陰)]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1015
[전음(前陰)] 단방(單方)/전음 621
[전음(前陰)] 양기를 약하게 하는 것들[弱陽諸物] 610
[전음(前陰)] 침뜸치료[鍼灸法]/전음 796
[후음(後陰)] 항문의 무게와 치수[肛門重數] 501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후음(後陰)] 치질의 원인[痔病之因] 671
[후음(後陰)]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痔者峙也] 553
[후음(後陰)] 맥 보는 법[脈法] 504
[후음(後陰)]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諸痔名目] 585
[후음(後陰)]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痔有內外] 1376
[후음(後陰)] 맥치(脈痔) 721
[후음(後陰)] 장치(腸痔) 509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후음(後陰)] 혈치(血痔) 640
[후음(後陰)] 주치(酒痔)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