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열담(熱痰)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2201 추천 수 0

熱痰

熱痰, 卽火痰也. 多煩熱燥結, 頭面烘熱, 或爲眼爛喉閉, 癲狂嘈雜, 懊憹怔忡. 宜淸氣化痰丸ㆍ加味潤下丸ㆍ小調中湯ㆍ大調中湯ㆍ黃芩利膈丸ㆍ理中豁痰湯ㆍ淸熱導痰湯. 《丹心》

熱痰, 黃色者, 是也. 《得效》


4) 열담(熱痰)

   열담(熱痰)이란 화담(火痰)이다. 열담으로 번열(煩熱)이 몹시나서 담이 말라 뭉치고 머리와 얼굴이 화끈화끈 달며 혹 눈시울이 진물면서 목이메며 전광증(癲狂證)이 생기고 명치 밑이 쓰리고 괴로우며 가슴이 몹시답답하고 안타까우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는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가미윤하환(加味潤下丸), 소조중탕(小調中湯), 대조중탕(大調中湯),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을 쓰는 것이 좋다. 열담의 빛은 누렇다.


   淸氣化痰丸  治熱痰. 半夏(製) 二兩, 陳皮ㆍ赤茯苓 各一兩半, 黃芩ㆍ連翹ㆍ梔子ㆍ䓀莄ㆍ甘草 各一兩, 薄荷ㆍ荊芥 各五錢. 右爲末, 薑汁糊和丸梧子大, 薑湯下五十丸. 此方, 乃二陳湯合涼膈散也. 《丹心》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열담(熱痰)을 치료한다. 반하(半夏: 법제한 것) 80, 진피(陳皮), 적복령(赤茯苓) 각각 60, 황금(黃芩), 연교(連翹),  산치자(山梔子),  길경(桔梗), 감초(甘草) 각각 40, 박하(薄荷), 형개(荊芥) 각각 20. 위의 약들을 가루 내서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을 달인물로 먹는다. 이 처방은 이진탕(二陳湯)과 양격산(凉膈散)을 합한 것이다.

   加味潤下丸  善降痰火. 橘紅 八兩, 半夏(剉) 二兩, 以鹽五錢化水, 拌勻二味, 煮乾烘燥. 入南星ㆍ黃芩ㆍ黃連ㆍ甘草 各一兩. 右爲末, 薑汁浸蒸餠和丸菉豆大, 白湯下五七十丸. 《丹心》


   가미윤하환(加味潤下丸)  담화를 잘 내린다. 귤홍 320, 반하(썰어서 소금 20을 푼 물에 고루 적신 다음 물기가 마르도록 삶아 불에 말린다) 80, 천남성, 황금, 황련, 감초 각각40.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에 담갔던 증병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


   小調中湯  治一切痰火, 及百般怪病, 善調脾胃神效. 黃連(煎水浸甘草)ㆍ甘草(煎水浸黃連)ㆍ瓜蔞仁(煎水浸半夏)ㆍ半夏(煎水浸瓜蔞仁). 各炒, 水乾爲度, 各等分. 右剉, 五錢, 薑 三片煎服. 又四味爲末, 煮良薑取汁作糊, 和丸梧子大, 白湯下五十丸, 尤妙. 《入門》


   소조중탕(小調中湯)  모든 담화(痰火)와 온갖 괴상한 병을 치료하고 비위(脾胃)를 잘 조리하는 데 효과가 있다. 황련(黃連)을 달인 물에 감초(甘草)를 담그고, 감초를 달인 물에 황련(黃連)을 담그며 과루인(瓜蔞仁)을 달인 물에 반하(半夏)를 담그고, 반하을 달인 물에 과루인(瓜蔞仁)을 담갔다가 따로따로 물기가 마르도록 볶는다.위의 약들을 각각 같은양으로하여 썰어서 20을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이 4가지 약을 가루내서 양강(良薑)을 달인 즙을 넣고 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어도 매우 좋다 .


   大調中湯  治虛而有痰火最佳. 卽前方加人參ㆍ白朮ㆍ白茯苓ㆍ川芎ㆍ當歸ㆍ生地黃ㆍ白芍藥也. 《入門》


   대조중탕(大調中湯)  허하면서 담화가 있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제일 좋다. 이 약은 앞의 처방에 인삼(人參),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천궁(川芎), 당귀(當歸),생지황(生地黃),백작약(白芍藥)를 넣은 것이다.

   黃芩利膈丸   除胸中熱, 利膈上痰. (生)黃芩ㆍ(炒)黃芩 各一兩, 半夏(製)ㆍ黃連ㆍ澤瀉 各五錢, 南星(炮)ㆍ枳殼ㆍ陳皮 各三錢, 白朮 二錢, 白礬 一錢, 今加蘿葍子(炒) 五錢, 皂角 一錢. 右爲末, 蒸餠和丸梧子大, 白湯下五十丸. 《正傳》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가슴 속의 열을 내리고 가름막 위에 있는 담을 삭인다. 황금(黃芩: 생것),황금(黃芩:볶은 것) 각각 40, 반하(半夏: 법제한 것), 황련(黃連),택사(澤瀉) 각각20, 천남성(天南星: 싸서 구운 것), 지각(枳殼), 진피(陳皮) 각각12, 백출(白朮) 8, 백반(白礬)4. 위의 약에 나복자(蘿葍子: 볶은 것) 20, 조협(皂莢)4을 넣어 가루낸 다음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理中豁痰湯   治膈上, 胃中熱痰, 最妙. 白朮ㆍ白芍藥 各一錢, 人參ㆍ白茯苓ㆍ半夏(製)ㆍ瓜蔞仁ㆍ陳皮ㆍ天門冬ㆍ麥芽(炒) 各七分, 黃芩(酒炒)ㆍ香附子(鹽水炒)ㆍ黃連(薑汁炒)ㆍ䓀莄 各五分, 枳實ㆍ甘草 各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去滓, 入薑汁二匙, 竹瀝六匙, 調服. 《必用方》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가름막 위와 위 속에 열담(熱痰)이 있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제일 좋다. 백출(白朮), 백작약(白芍藥) 각각 4, 인삼(人參), 백복령(白茯苓), 반하(半夏: 법제한 것), 과루인(瓜蔞仁), 진피(陳皮), 천문동(天門冬), 맥아(麥芽: 볶은 것) 각각 2.8, 황금(黃芩: 술에 축여 볶은 것), 향부자(香附子: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황련(黃連: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길경(桔梗) 각각2, 지실(枳實), 감초(甘草) 각각1.2.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생강즙 2숟가락,죽력(竹瀝) 6숟가락을 타서 먹는다.

   淸熱導痰湯  治憎寒壯熱, 頭目昏沈, 氣上喘急, 口出涎沫. 此因內傷七情, 以致痰迷心竅, 神不守舍. 神出則舍空, 舍空則痰自生也. 黃連ㆍ黃芩ㆍ瓜蔞仁ㆍ南星(炮)ㆍ半夏(製)ㆍ陳皮ㆍ赤茯苓ㆍ䓀莄ㆍ白朮ㆍ人參 各七分, 枳實ㆍ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同煎, 和竹瀝, 薑汁服. 《醫鑑》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 오한이 나다가 열이 몹시나며 머리가 무겁고 눈앞이 아찔하며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차고 거품침을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속으로 7정에 상하여 담이 심규(心竅)를 막았기 때문에 신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게되어 생긴것이다. 병의 원인을 심장에 들어있는 신이 자기자리를 지키지못해서 생긴것처럼 설명한 것은 미신적인 것이다.신이 나가면 그 자리가 비는데 그 자리가비면 담이 저절로 생긴다.황련(黃連), 황금(黃芩),과루인(瓜蔞仁),천남성(天南星: 싸서 구운 것),반하(半夏: 법제한 것), 진피(陳皮), 적복령(赤茯苓), 길경(桔梗), 백출(白朮), 인삼(人參) 각각 2.8, 지실(枳實), 감초(甘草) 각각2.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다. 다음 여기에 죽력(竹瀝)과 생강즙(薑汁)을 타서 먹는다.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68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효증(哮證)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트림[噫氣]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주담(酒痰) by
  8. 동의보감 처방집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대조중탕(大調中湯)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윤하환(加味潤下丸)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by 한닥터
  16. 방약합편 황금이격환 - 黃芩利膈丸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이중활담탕 - 理中豁痰湯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68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3 도담탕(導痰湯)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3
[진액(津液)] 눈물[泣] 720
[진액(津液)] 콧물[涕] 996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5
[진액(津液)] 느침[唾] 766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3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8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49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2
[담음(痰飮)] 유음(留飮) 1431
[담음(痰飮)] 벽음(癖飮) 957
[담음(痰飮)] 담음(痰飮) 1205
[담음(痰飮)] 일음(溢飮) 982
[담음(痰飮)] 현음(懸飮) 1107
[담음(痰飮)] 지음(支飮) 1089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2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68
[담음(痰飮)] 풍담(風痰) 2049
[담음(痰飮)] 한담(寒痰) 954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01
[담음(痰飮)] 울담(鬱痰) 1449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1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1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5
[담음(痰飮)] 경담(驚痰)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