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주담(酒痰)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1105 추천 수 0

酒痰 因飮酒不消或酒後多飮茶水但得酒次日又吐飮食不美嘔吐酸水宜瑞竹堂化痰丸香附瓜蔞靑黛丸小調中湯滌痰散又對金飮子(方見內傷)加半夏乾葛各一錢煎服<正傳>


주담(酒痰) 部 


술을 마신 것이 소화되지 않았거나 술을 마신 뒤에 찻물을 많이 마신 것으로 생긴 것이 주담이다. 그러므로 술만 마시면 다음날에 토하며 음식맛이 없는데 신물을 토하기도 한다. 이런 데는 서죽당화담환, 향부과루청대환, 소조중탕, 척담산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대금음자(對金飮子,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반하, 갈근 각각 4g씩을 넣고 달여서 먹어도 된다[정전].


? 瑞竹堂化痰丸治酒痰消食快脾順氣半夏南星生薑白礬?角各四兩同入砂鍋內水煮以南星無白點爲度去?角不用入靑皮陳皮乾葛蘇子神麴麥芽山査肉蘿?子香附子杏仁各一兩右爲末薑汁浸蒸?和丸梧子大每五七十丸食後臨臥茶酒任意下<入門>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주담을 치료하는데 음식을 소화시키고 비()를 좋아하게 하며 기()를 고르게 한다. 반하, 천남성, 생강, 백반, 조협 각각 160g을 함께 사기그릇에 담고 물을 부은 다음 천남성에 있는 흰점이 없어질 때까지 달여서 조협는 버린다. 여기에 청피, 진피, 갈근, 자소자 , 신국, 맥아,산사, 나복자, 향부자, 행인 각각 40g씩 넣고 가루내서 생강즙에 담갔던 증병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끼니 뒤와 잠잘 무렵에 차나 술로 먹는다[입문].


? 香附瓜蔞靑黛丸治燥痰鬱痰酒痰上三味爲末蜜丸?實大每一丸食後及臨臥時?化嚥下凡積痰非靑黛瓜蔞不除<入門>

향부과루청대환(香附瓜蔞靑黛丸) 조담(燥痰), 울담(鬱痰), 주담(酒痰)을 치료한다. 향부자, 과루인, 청대.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끼니 뒤와 잠잘 무렵에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 담이 뭉친 것은 청대와 과루인를 쓰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입문].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2. 방약합편 대금음자 對金飮子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소음인 치질에 대금음자와 대장정격 by 럭키맨
  4. 기본방 모음 68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K054 對金飮子(대금음자)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H182 大金飮子(대금음자) by 한닥터
  7. 회원임상례 (등업용) 주상에 대금음자가미 치료례 by 항상감사 *1
  8. 동의보감 주적(酒積)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트림[噫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열담(熱痰) by
  14. 방약합편 76. 對金飮子(대금음자) by 한닥터
  15. 회원임상례 (등업용) 주상증 by 아피우스 *1
  16. 동의보감 처방집 대금음자(對金飮子)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향부과루청대환(香附瓜蔞靑黛丸)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대조중탕(大調中湯)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경험대금음자 -經驗對金飮子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68 소조중탕(小調中湯) by 한닥터
  23. 방약합편 28 대금음자(對金飮子) by 한닥터 *1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3
[진액(津液)] 눈물[泣] 720
[진액(津液)] 콧물[涕] 996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5
[진액(津液)] 느침[唾] 766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3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8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49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2
[담음(痰飮)] 유음(留飮) 1431
[담음(痰飮)] 벽음(癖飮) 957
[담음(痰飮)] 담음(痰飮) 1205
[담음(痰飮)] 일음(溢飮) 982
[담음(痰飮)] 현음(懸飮) 1107
[담음(痰飮)] 지음(支飮) 1089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2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68
[담음(痰飮)] 풍담(風痰) 2049
[담음(痰飮)] 한담(寒痰) 954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01
[담음(痰飮)] 울담(鬱痰) 1449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1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1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5
[담음(痰飮)] 경담(驚痰)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