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492 추천 수 0

 夢泄屬心
 몽설은 심에 속한다

1
直指曰, 邪客於陰, 神不守舍, 故心有所感, 夢而後泄也. 其候有三. 年少氣盛, 鰥曠矜持, 强制情慾, 不自覺知. 此泄如甁之滿而溢者, 人或有之, 勿藥可也. 心家氣虛, 不能主宰, 或心受熱邪, 陽氣不收. 此泄如甁之側而出者, 人多有之, 其病猶輕, 合用和平之劑. 藏府積弱, 眞元久虧, 心不攝念, 腎不攝精. 此泄如甁之罅而出者, 人少有之, 其病最重, 須當大作補湯.
《직지》에, "사기(邪氣)가 음분에 들어오면 신(神)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기 때문에 심(心)에 자극이 오면 꿈을 꾸면서 정을 내보내게 된다. 이렇게 되는 상황은 3가지가 있다. 젊어서 기가 왕성할 때, 홀아비가 온 힘을 다하여 성욕을 참을 때, 정욕을 억지로 참을 때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정이 새나가는데 이것은 물이 병에 가득 차서 넘치는 경우와 비슷하다. 간혹 이런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약을 쓰지 않아도 된다. 심기(心氣)가 허한 사람이 정을 다스릴 수 없거나 심(心)이 열사(熱邪)를 받아서 양기가 수렴되지 못하면 정이 새어 나간다. 이는 병이 기울어져 물이 흘러내리는 경우와 유사하다. 많은 사람에게 나타나는데 그 병은 가벼운 편이니 화평한 약을 합하여 쓴다. 장부가 점차 약해지고 진원(眞元)이 오랫동안 상하면 심(心)이 생각을 잘 하지 못하고 신(腎)이 정을 담을 수 없게 되어 정이 새어 나온다. 이것은 병이 깨져 그 틈으로 물이 새어 나오는 경우와 같다. 이 경우는 드물지만 가장 중한 것이니 반드시 크게 보하는 탕약을 지어먹어야 한다"고 하였다.
2
夢遺不可作虛冷, 亦有經絡熱而得之. 嘗治一人, 至夜脊心熱, 夢遺, 用珍珠粉丸, 猪苓丸, 遺止, 而終服紫雪, 脊熱始除. 淸心丸亦佳. 《本事》
몽유는 허랭(虛冷)한 것 뿐 아니라 경락에 열이 있어도 생긴다. 예전에 밤이면 척추 가운데에서 열이 나고 몽유가 있는 사람을 치료했었다. 진주분환과 저령환을 복용하니 몽유가 그쳤고 나중에 자설을 복용한 후에는 척추의 열이 사라졌다. 청심환도 좋다. 《본사》
3
夢遺全屬心. 盖交感之精, 雖常有一點白膜裹藏於腎, 而元精以爲此精之本者, 實在乎心. 日有所思, 夜夢而失之矣. 宜黃連淸心飮. 《入門》
몽유는 전적으로 심(心)에 속한다. 성교할 때 나오는 정은 늘 조그만 흰 막에 싸여 신(腎)에 저장되어 있지만, 이 정의 근본이 되는 원정(元精)은 사실 심에 있다. 낮에 그리워하던 것을 밤에 꿈꾸면서 정을 잃게 되는 것이다. 황련청심음을 써야 한다. 《입문》
4
夢與鬼交而泄精, 名曰夢遺. 專主於熱, 用黃柏ㆍ知母ㆍ牡蠣ㆍ蛤粉. 若內傷氣血, 不能固守, 而夢遺者當補, 以八物湯加減, 呑樗根皮丸. 八物湯方見虛勞
꿈에 귀신과 교접하여 정이 새는 것을 몽유라고 한다. 이것은 오로지 열 때문이므로 황백ㆍ지모ㆍ모려ㆍ합분을 사용한다. 만약 안으로 기혈이 상하여 정을 굳게 지키지 못하여 몽유하는 경우는 보해야 하므로 팔물탕을 가감한 것에 저근피환을 먹는다. 팔물탕은 허로문에 나온다
5
本事曰, 年少壯者, 節慾而遺泄, 宜淸心丸ㆍ珍珠粉丸.
《본사》에, "젊고 튼튼한 사람이 정욕을 억제하여 유설하는 때에는 청심환ㆍ진주분환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6
戴氏曰, 夢遺, 精滑, 皆相火所動, 久則有虛而無寒也.
대씨(戴氏)가, "몽유, 정활은 모두 상화가 동하였기 때문이다. 오래되면 허증이 되지만 한증은 없다"고 하였다.
7
正傳曰, 一人夢遺形瘦, 服定志珍珠粉丸而效.
《정전》에, "몽유가 있고 몸이 마른 사람에게 정지진주분환을 복용시키니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다.

 

8
固眞丹ㆍ鹿角散ㆍ保精湯ㆍ歸元散, 皆治夢交泄精.
고진단ㆍ녹각산ㆍ보정탕ㆍ귀원산은 모두 꿈에 교접하여 정이 새어 나가는 것을 치료한다.

 

 

 固眞丹
 고진단

 

治遺精夢泄. 晩蚕蛾 二兩, 肉蓯蓉ㆍ白茯苓ㆍ益智 各一兩, 龍骨 五錢. 右爲末, 鹿角膠酒浸化開, 和丸梧子大, 每服三十丸, 空心, 溫酒下, 乾物壓之. 《羅謙甫》
유정, 몽설을 치료한다. 만잠아 2냥, 육종용ㆍ백복령ㆍ익지인 각 1냥, 용골 5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녹각교를 술에 담가서 녹인 것으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30알씩 따뜻한 술로 빈속에 먹고 마른 음식을 먹어 내려보낸다. 《나겸보》

 鹿角散
 녹각산

 

治久虛夢泄. 鹿角屑ㆍ鹿茸(酥灸) 各一兩, 白茯苓 七錢半, 人參ㆍ白茯神ㆍ桑螵蛸ㆍ川芎ㆍ當歸ㆍ破故紙ㆍ龍骨ㆍ韭子(酒浸一宿焙) 各五錢, 柏子仁ㆍ甘草 各二錢半. 右爲末, 每五錢, 薑 五片, 棗 二枚, 粳米百粒同煎, 空心服. 《直指》
오랫동안 허하여 생긴 몽설을 치료한다. 녹각(깎아서 가루 낸 것)ㆍ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각 1냥, 백복령 7.5돈, 인삼ㆍ백복신ㆍ상표초ㆍ천궁ㆍ당귀ㆍ파고지ㆍ용골ㆍ구자(술에 하룻밤 담갔다 말린 것) 각 5돈, 백자인ㆍ감초 각 2.5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5돈씩, 생강 5쪽, 대추 2개, 멥쌀 100알과 함께 달여 빈속에 먹는다. 《직지》

 保精湯
 보정탕

 

治陰虛火動, 夜夢遺精. 當歸ㆍ川芎ㆍ白芍藥ㆍ生地黃(薑汁炒)ㆍ麥門冬ㆍ黃柏(酒炒)ㆍ知母(蜜炒)ㆍ黃連(薑汁炒)ㆍ梔子(童便炒)ㆍ乾薑(炒黑)ㆍ牡蠣(煆)ㆍ山茱萸肉 各五分. 右剉, 水煎, 空心服. 《醫鑑》
음허화동으로 생긴 몽설을 치료한다. 당귀ㆍ천궁ㆍ백작약ㆍ생지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ㆍ맥문동ㆍ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ㆍ지모(꿀에 축여 볶은 것)ㆍ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ㆍ치자(동변에 축여 볶은 것)ㆍ건강(검게 볶은 것)ㆍ모려(달군 것)ㆍ산수유 각 5푼. 이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의감》

歸元散
귀원산

 

治夢遺日久, 氣下陷, 宜升提腎氣以歸元. 人參ㆍ白朮ㆍ白茯苓ㆍ遠志ㆍ酸棗仁(炒)ㆍ麥門冬ㆍ黃柏ㆍ知母(二味幷童便炒)ㆍ雞頭實ㆍ蓮花蘂ㆍ枸杞子ㆍ陳皮ㆍ川芎 各五分, 升麻ㆍ甘草 各二分半. 右剉, 蓮肉 三箇, 棗子 一枚, 水煎, 空心溫服. 《回春》
몽유가 오래되어 기가 아래로 처진 것을 치료하려면 신기(腎氣)를 끌어올려 진원(眞元)으로 돌아가게 해야 한다. 인삼ㆍ백출ㆍ백복령ㆍ원지ㆍ산조인(볶은 것)ㆍ맥문동ㆍ황백과 지모(함께 동변에 축여 볶은 것)ㆍ검실ㆍ연화예ㆍ구기자ㆍ진피ㆍ천궁 각 5푼, 승마ㆍ감초 각 2.5푼. 이 약들을 썰어 연육 3개와 대추 1개를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데워서 먹는다. 《회춘》

珍珠粉丸
진주분환

 

治夢遺泄精及精滑. 黃柏(新瓦上炒赤)ㆍ眞蛤粉 各一斤, 眞珠 三兩. 右爲末, 滴水丸梧子大, 每取一百丸, 空心, 溫酒送下. 法曰, 陽盛乘陰, 故精泄. 黃柏降心火, 蛤粉醎而補腎陰. 易老方無珍珠一味. 《正傳》
몽설, 유정과 정활(精滑)을 치료한다. 황백(새 기와에 벌겋게 볶은 것)ㆍ좋은 합분 각 1근, 진주 3냥. 이 약들을 가루내어 물을 떨어뜨리면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100알씩 따뜻한 술로 빈속에 먹는다. 법(法)에, "양이 성하여 음을 누르면 정이 새어 나간다"고 하였다. 황백은 심화(心火)를 내리고, 짠맛의 합분은 신음(腎陰)을 보한다. 역로방(易老方)에는 진주가 없다. 《정전》

 猪苓丸
 저령환

 

治年壯氣盛, 情慾動中, 所願不得, 意淫於外, 以致夢遺. 半夏 一兩破如豆大, 猪苓末 二兩. 先將一半炒半夏, 令色黃, 不令焦, 出火毒. 只取半夏爲末, 糊丸梧子大, 候乾, 更用前猪苓末一半同炒, 微裂, 入砂甁內養之. 空心, 溫酒或鹽湯下三五十丸. 盖半夏有利性, 而猪苓導水, 卽腎閉導氣使通之意.
기가 성한 장년에 정욕이 동하나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해 음란한 생각이 지나쳐 몽유가 된 것을 치료한다. 반하 1냥(콩알만 하게 부순 것), 저령 가루 2냥. 먼저 저령의 절반을 반하와 함께 누렇게 타지 않을 정도로 볶아서 화독을 뺀다. 여기서 반하만 가루내어 풀로 반죽하고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바싹 말린 후에 남은 저령 가루 절반과 함께 약간 갈라질 정도로 볶아서 사기 병에 넣고 숙성시킨다.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30-50알씩 빈속에 먹는다. 반하는 잘 통하게 하는 성질이 있고 저령은 수기(水氣)를 이끌기 때문에 신기(腎氣)가 막혔을 때 기를 이끌어 통하게 한다.
2
一名半苓丸也. 《本事》
일명 반령환이다. 《본사》

淸心丸
청심환

 

治經絡熱而夢泄, 心熱恍惚. 厚黃柏 一兩爲末, 龍腦 一錢. 右蜜丸梧子大, 每十五丸, 空心, 麥門湯呑下. 《本事》
경락의 열로 몽설이 있고 심열(心熱)로 정신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두꺼운 황백 1냥(가루 낸 것), 용뇌 1돈. 이 약들을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15알씩 맥문동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본사》

樗根皮丸
저근피환

 

治房勞過傷, 精滑夢遺. 樗根白皮炒爲末, 酒糊和丸梧子大. 然性涼而燥, 不可單服, 須以八物湯煎水呑下爲佳. 《入門》
방로상으로 인한 정활(精滑)과 몽유를 치료한다. 저근백피를 볶아서 가루내고 술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성질이 차고 마르기 때문에 이것만 먹으면 안 되고 팔물탕 달인 물로 먹는 것이 좋다. 《입문》

定志珍珠粉丸
정지진주분환

 

治心虛夢泄. 蛤粉ㆍ黃柏(炒)ㆍ人參ㆍ白茯苓 各三兩, 遠志ㆍ菖蒲ㆍ靑黛 各二兩, 樗根白皮 一兩. 右爲末, 麪糊和丸梧子大, 靑黛爲衣. 空心, 薑鹽湯下五十丸. 《正傳》
심허(心虛)로 인한 몽설을 치료한다. 합분ㆍ황백(볶은 것)ㆍ인삼ㆍ백복령 각 3냥, 원지ㆍ창포ㆍ청대 각 2냥, 저근백피 1냥. 이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들고 청대로 겉을 입힌다. 생강과 소금을 넣고 달인 물로 50알씩 빈속에 먹는다. 《정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오조(惡阻)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심옹(心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by 한닥터
  5. 동의보감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by
  8. 동의보감 처방집 귀원산(歸元散)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녹각산(鹿角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청심환(淸心丸)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청심환(淸心丸)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저근피환(樗根皮丸)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청심환(淸心丸)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저령환(猪?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진주분환(珍珠粉丸)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귀원산(歸元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보정탕(保精湯)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녹각산(鹿角散)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고진단(固眞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정(精)] 정은 신체의 근본[精爲身本] 1397
[정(精)] 정은 지극한 보배[精爲至寶] 1386
[정(精)] 5장에는 모두 정(精)이 있다[五藏皆有精] 1064
[정(精)] 맥 보는 법[脈法]/정 1052
[정(精)] 정액은 잘 간직해야 한다[精宜秘密] 2601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0
[정(精)] 정을 단련하는 비방[煉精有訣] 1629
[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1177
[정(精)] 유정은 심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269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2
[정(精)] 몽설(夢泄)은 울증[鬱]과도 관련된다[夢泄亦屬鬱] 1084
[정(精)]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1857
[정(精)] 백음증(白淫證) 1348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7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68
[정(精)] 단방(單方)/정 1058
[정(精)] ☞ 도인법(導引法)㈜/정 833
[정(精)] 침구법[鍼灸法]/정 864